-
-
고독의 우물 1 ㅣ 펭귄클래식 22
래드클리프 홀 지음, 임옥희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8월
평점 :
1. 동성애와 이성애의 구분 기준은 전적으로 생물학적 원리에 근거한 건 아닐까. 사회적 성 역할은, 알려졌다시피, 학습된다. 이 책의 주인공인 스티븐의 부모는 아들을 원했고 딸이란 생물학적 성에 맞춰 기르기보다는 아버지의 바람대로 아들이 학습할 수 있는 교육을 받도록 길러졌다. 스티븐은 자라면서 여자 아이들이 흥미롭다고 여기는 주제들에 관심이 없는 걸 괴로워했다.
2. 사람이 사람을 좋아하는 기준은 까다롭다. 각자 다른 부분에 끌리기 때문이고 외로움을 어느 강도로 느끼는 지도 사람에게 끌리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 스티븐은 남자가 자신을 좋아하는 걸 거북해했지만 자신을 좋아하는 남자와의 대화나 우정에는 편하게 느낄 뿐 아니라 우정이 깨지자 견딜수 없는 '고독의 우물'로 빠진다. 우정이든 사랑이든 받침대는 공감의 힘이다. 혈육이 아닌 누군가의 절대적 지지를 주고 받는 게 사랑이다. 스티븐이 성 정체성을 혼란스러워할 때도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다르게 보지 않고 넘치는 사랑을 베푼다. 아버지가 죽은 후 스티븐의 번민은 깊어지는데 절대적 지지자를 잃어버린 상실감이 큰 탓일 수 있다.
스티븐의 첫 연인은 남편이 있는 이성애자였다. 그녀가 스티븐에게 의지를 한 이유는 남편한테서 정서적 유대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핑거 스미스>를 보면 운명이 뒤바뀐 두 여인이 사랑을 하는데 그 사랑을 단순히 동성애 코드로 분류할 수 없다. 그들이 자란 환경 속에서 공감할 수 있는 사람을 만난 적이 없었다. 힘겨운 일을 함께 극복하고 현상을 바라보는 각도가 같은 사람이 공교롭게도 동성이었다. 여러 음모와 배신 속에서 믿고 의지할 사람이 우연히도 동성이고 육체적으로 혈기왕성하고 성적 호기심이 많았다...그럼 동성애도 이런 상황이 배제되면 사라질까..글쎄..
스티븐의 경우를 보면, 후천적인 요소가 중요하지만 선천적 요소의 영향력이 없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스티븐은 여성스럽게 예쁘지는 않아도 매력적인 여인이었다. 스티븐을 흠모하는 남자가 스티븐한테 고백을 하자 설명할 수 없는 분노가 일어난다고 묘사한다. 이건 환경적인 측면보다는 태어날 때 성향하고도 관계있어 보인다.
3. 이 소설은 두 권으로 이루어져있는데 1권은 스티븐의 성 정체성에 관한 혼란이라면 2권은 후천적 성을 받아들인 과정을 묘사한다. 동성애를 다룬 많은 작품들이 이성애적 사랑의 구도를 벗어나지 못하는데 이 소설 역시 그렇다. 스티븐이 사랑하게 되는 두 연인, 특히 두번째 연인을 바라보는 관점은 남자가 여자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서술이 된다. 나는 왜 동성애에서도 이런 구도가 나타나는지 궁금하다. 이 책이 쓰여진 후 시간이 많이 흘렀어도 여전히 동성애자들의 사랑은 이성애자의 사랑 구도와 비슷하게 묘사된다.
4. 절대적 지지를 주고 받는 사랑에 대한 내 경험의 한계 때문에 올 수 있는 의문들인데 이성애자의 사랑이 그런 절대적 지지를 주고 받도록 되어있는 건가. 그래서 동성애자들도 이성애적 사랑의 구조를 취하나...이런 의문만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