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정치학>을 리뷰해주세요.
-
-
와인 정치학 - 와인 라벨 이면에 감춰진 불편한 진실, '최고급'와인은 누가 무엇으로 결정하는가
타일러 콜만 지음, 김종돈 옮김 / 책으로보는세상(책보세)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프랑스 북부지방을 현지 당일 패키지도 갔을 때 사과 농장이 포함돼 있었다. 사과를 재배하고 술을 만드는 과정까지 견학한 후 시음과 구매라는 일반적 프로그램이었다. 조그만 파란 사과인데 한 눈에 보기에도 맛이 없어보였다. 그리하여 이들은 사과를 술로 만들었다. 칼바도스란 사과주는 북부지방의 유명한 토산품이 되었다. 어떤 지역의 음식 문화는 기후와 토착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프랑스 북부에서는 남부만큼 안 더워 포도보다는 사과에 적합하다.
프랑스 남부에사 와인이 대량 생산되는 건 첫째 기후 때문이고 그리고 산업 지원 측면일 것이다. 미국의 기후가 프랑스산 포도재배에 적합하지 않았을 것이고 당연히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다. 정책적으로도 와인 산업에 대한 육성책이 프랑스와 다를 수 밖에 없다. 이런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내가 왜 이런 책을 읽고 있는 지 의아해하면서 훑어보았다. 저자의 관점은 미국의 와인 산업을 연구자 관점이다. 세계 와인 중 미국 와인을 프랑스 와인 산업과 경쟁 구도로 보고 와인산업사에 다가간다. 제3세계의 비열혈 와인 소비자로서 이런 정보보다는 와인을 고르는 기준 등이 더 유익하다고 하겠다.
우리에게 와인은 낭만, 세련 등등의 말과 동의어다. 와인을 즐겨마신다고 말하는 사람을 보면 취향 고급스럽다는 걸 암묵적으로 드러낸다. 프랑스에서야 대량 생산되니 소주나 다를 바 없이 매일 저녁 식탁에 올라온다. 석회 함량 많은 물 대신에 과일주를 마시니 장소나 분위기 보다는 실용성에 기인한다. 수퍼에서 3,4유로 정도면 사는 음료다. 우리나라 과실주(매실주, 모과주등)가 나이든 취향(?)으로 비춰진다. 그 이유인즉 술을 마시는 장소 때문인 것 같다. 매실주가 고깃집에서 주로 팔리는 반면에 우리는 (대부분 수입인) 포도주를 특별한 경우와 장소에서 마시기를 선호한다. 즉 와인 소비는 다른 문화적 기호를 소비하는 것과 같다. 시중 까페나 와인바에서 파는 와인은 맛에 비해 그 가격이 터무니 없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맛을 소비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맛은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 와인을 마실 수 있는 바의 분위기가 와인 품질에 우선한다. 가로수길이나 삼청동에 나가 보면 와인 소비자가 얼마나 늘었지 가늠할 수 있다.
이런 와인에 대한 문화적 취향과 기호를 부여한 게 바로 정치학이다. 와인은 맥주에 비하면 도수가 높은 술이지만 약한 술이라는 인식이 있다. 술은 못하는 데 와인은 마신다는 여자들이 많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을 볼 때마다 나는 사실 이해가 안 가지만 이해하려고 노력한 결과는 이렇다. 맥주나 소주는 한국인 음주 습관상 벌컥벌컥 마시지만 와인은 안 그런다. 한 잔만 마셔도 되는 술이어서 대부분이 가볍다고 생각하는 거 같다. 사실 와인을 벌컥벌컥 마시면 다음 날 그 어떤 술 보다도 고통스런 두통이 찾아 온다. 하루 종일 머릿속에 딱다구리가 있는 걸 한 번 경험하면 다시는 와인을 벌컥벌컥 안 마시게 된다.-,-
책 내용이 따분해서 흰소리만 늘어놨다. 어쨌든 와인은 정치적 술이라는 것. 무역자유화로 프랑스산 와인만이 아니라 여러 나라의 저렴한 와인을 쉽게 맛 볼 수 있다. 사실 우리는 와인의 품질에 너무 무지해서 첨가물에 대한 인식도 부족하다. 이 책이 알려준 사실을 보고 찝찌름했다. 와인 정치학은 와인이 주는 낭만을 몰아내기만 한다.
주의-와인을 고르는 일에는 별로 도움 안 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