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퍼블릭 에너미 - Public Enemie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극장에서 꼭 보고 싶었던 영화였는데 놓치고 DVD를 애타게 기다렸다. 언제 나오는 지 알 수 없고 파일도 안 올라왔었다. 며칠 전, 자막이 이상하다는 댓글에도 다운받았다. 디비디도 안 나오면서 대체 왜 파일로딩을 왜 금지해놨는지!..-.-
기대했던 것만큼은 아니지만 마이클 만의 추종자 입장에서 나쁘지 않은 영화다. 몇 가지만 정리해보면,
1. 범죄영화를 만드는 데 마이클 만이 할리우드 장르 영화들과 다른 점은, 절대 선이나 절대 악으로 스케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할리우드 영화들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게 권선징악이다. 결국 선은 보상받는다, 라는 틀은 21세기에 먹힐 거 같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판타지를 영화가 구현하니, 이게 또 아이러니하게도 먹힌다. 그러니 할리우드는 계속 권선징악을 찍어댄다. 마이클 만은 이런 판타지를 구현하지 않는다. 영화에서도 크리천 베일이 평면적이라는 둥하지만 난 흥미롭게 봤다. 크리천 베일이 맡은 퍼버스는 공공 선의 집행자가 아니다. 그가 죽어라고 존 딜린저를 쫓는 이유는, 자기 경력에 오점을 남길 수 없기 때문이다. 최고의 체포율을 자랑하는 팀의 리더로서의 자존심을 위해 사냥감을 포획할 뿐이다.
2. 마이클 만식 팜므파탈은, 코믹한데가 있다. 사랑에 빠지는 악당은 <히트>에서 처럼 극한 상황에 처한다. 추적당할 뿐 아니라 일정한 거처도 없고 그러니 자기 소유의 침대나 가구가 없다. 매일 밤 '내 침대'가 아니라 다른 침대에서 잠을 자는 게 악당에게 가해지는 벌이다. 뭐든 살 수 있는 돈을 위해 강도질을 하지만 정작 아무 것도 가질 수 없는 강도는 이미 벌을 받고 있다. 그런 악당에게 유일한 소유물이 여자=사랑이다. 마이클 만 영화에서 이 부분이 대놓고 마초근성을 드러내 불편하게 하는 부분이기도하다. 쫓기는 중에도 딜린저는 사랑하는 여인에게 전화를 하고 여자가 걱정을 하는 말을 하자 당신이 알고 있는 걸 말해보라고 한다. 여자 왈, "I know you'll take care of me." 이런 식이다. 여자는, 마이클 만 영화에서 개체로서 비춰지기보다는 가장자리에 내몰린 남자 혹은 인간에게,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는 대상이다. 그래서 남녀의 소통을 보여주는 사랑이 아니라 굉장히 생경해지고 코믹해진다. 난 이런 관점도 좋다.^^;; 한국영화 정서가 가족이란 테두리에 집착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연대가 희미한 미국에서 여자에 대한 연대로 대체된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