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침묵 - Into Great Silenc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포기하지 않는 자는 내 제자가 될 수 없나니..."
1. 시적 감상
도를 수행하는 것 또는 신의 제자가 된다는 게 무슨 의미일까.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포기하기로 결심하고 실천하는 행위다. 사계라는 자연의 시간에 따라 추우면 추운데로 더우면 더운데로 순응하는 자세다. 춥다고 거위털이나 밍크털로 내 몸을 두르려고 동물을 대량으로 길러 죽이지도 않고 덥다고 에어컨을 가동해서 온실가스를 집이나 사무실 밖으로 내뿜지 않는 것만으로도 내가 가진 일부를 포기한 거 일 수 있다. 아주 사소하지만 현실에서 실제로 실천하기에는 힘들다.
수도원은 물질적 욕구를 모두 안드로메다로 보내버리고 만물을 살핀다는 신의 교리대로 따르기도 약속한 공간이다. 물질적 삶의 간소함은 일부일 뿐이고 정신적으로 신을 향한 하나의 생각만을 남기도 온갖 욕망과 시기를 버리기로 하는 일이다. 최소한의 가구가 있는 독방에서 지내면서 주로 기도를 하고 성경을 읽고 필사하면서 지낸다. 다 같이 예배를 드리는 의식 속에서도 대화는 거세되고 신을 찬양하는 나지막한 노래를 합창한다.
그들의 소박하고 절제된 일상은 번잡한 내 일상을 떠올리게 한다. 종교활동을 하지 않고 신의 존재를 필요할 때만 믿는 내 눈에도 그들의 삶은, 한편으로는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수도사들은 철저하게 비우는 삶을 지향한다. 한 끼 식사조차도 눈과 혀의 즐거움을 금지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철저하게 고립된 수도원에서 신을 위해 기도만 하는 게 과연 신이 원하는 삶일까, 하는 의문을 품게 한다.
눈이 쌓인 수도원 산길에서 수도사들이 미끄럼을 타면서 천진한 어린 아이들처럼 즐거워하는 마지막 장면을 보면 금욕적 생활 속에서도 작은 즐거움은 누려하는 게 인간 아닐까..하는 처연함도.
2. 영화적 감상
영화가 늘 새롭고 흥미로운 이유는, 플롯 때문이 아니다. 플롯은 영화를 이루는 중요한 한 가지 요소일 뿐이다. 영화 속 화면에는 현실에서는 잡아둘 수 없는 빛에 관한 기록이 있고 시간을 가둬둘 수 있어서 언제든지 되감아서 들여다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찰라의 빛과 시간에 관한 기록이다. 찰라를 모아 놓으면 세월이 되고 매일의 똑같은 일상이 이를 수 있는 곳을 암시한다.
수도원은 양면적 가치를 가진 곳이다. 계몽주의 시대가 되면서는 수도원은 성스러운 곳이 더 이상 아니었다. 에코가 쓴 <장미의 이름>에서처럼 수도원은 부패와 악이 존재하는 곳이기도 하고 또 피터 뮬란 감독이 만든 <막달레나 시스터즈>에서는 인권을 말살하는 곳으로 그려진다. 수도원의 일상을 알지 못할 뿐 아니라 수도원에서 무엇을 하는지 대체로 모른 채 수도원을 배경으로 하는 책과 영화들을 봐왔다. 픽션이고 부조리한 부분만을 확대해서 가공했지만 새빨간 거짓말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영화는 다큐로 일체의 인공조명을 안 쓰고 촬영했고 실제 수도사들의 삶을 담았다. 그러나 이것도 일부일 뿐이다. 수도사들의 묵상과 기도할 때 기록했다. 그들의 기도 내용이나 마음의 동요 혹은 평온은 카메라로 담을 수 없다. 감독은 씬과 씬을 원하는대로 배치해서 카메라가 담지 못한 생각을 담으려고 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이름이 "위대한 침묵 속으로"이고. 우리는 카메라가 말해준 침묵 속으로 들어갈 수 있지 수도사들이 들어간 침묵 속으로는 아쉽게도 들어갈 수는 없다.
음악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서 수레 바퀴소리, 돌 바닥에 신발이 부딪치는 소리, 심지어는 옷자락 스치는 소리에도 청각이 반응을 한다. 기도문을 외우는 소리는 음악같다. 신을 믿는 의식 중 하나가 기도문이나 찬송가다. 기도문이나 찬송가로 신심을 엿보는 건 비신자한테는 조금 힘들고 아름다운 의식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