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본능 - 마음은 어떻게 언어를 만드는가?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문미선.신효식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원하는 정보는 하나도 얻을 수 없는 책이다. 책을 사고 목 빠지게 기다리면서(주문해서 내 손에 들어오는 데 폭설 여파로 꼬박 일주일이 걸렸다) 언어 사용과 뇌는 어떤가..에 대한 실마리가 있지 않을까 기대했다. 물론 뇌와 언어사용과의 관계를 설명하지만 내가 기대했던 건 언어를 잘 사용하는 뇌였던 거 같다. 그러나 700페이지에 육박하는 내용은 인간은 태어날 때 언어 본능을 가지고 태어난다, 이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그래서? 인내심있게 긴 주장을 읽은 수고가 조금 아까워지려고 한다. 길게 설명하고 있지만 저자가 허무할 정도로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다.   

언어에 관한 대부분의 시각은 문화적 산물이고 공시성과 통시성을 가지고 진화 내지는 변형한다고, 배워왔다. 생각을 문자와 소리로 나타낼 수 있는 건 인간이 유일한 존재고,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는 명제에 의문을 안 품는다. 저자는 이런 당연한 명제에 반기를 든다. 화성인이 지구인을 본다면 하나의 언어체계 속에 하나의 방언이 존재한다는 말로 시작해서 학습 이전에 아기들은 자체 언어프로그램 모듈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아기의 옹알이, 종류별 실어증 환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언어 기능 수행과 뇌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말을 배우기 전에 어떤 언어도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이 있던 아기들은, 모국어 또는 환경상 주로 말해지는 언어에 빈번하게 노출되면서 무수한 언어수행관련 시냅스들이 점점 퇴화하고 주로 사용하는 말로 단순화한다고. 이런 일련의 연구결과를 국어 교재를 만드는 회사 마케터들이 두 팔 벌려 환영한다. 외국어를 어렸을 때부터 시켜야한다는 광고가 이런 결과를 재빨리 응용한 부정적 부산물이다.  

부제가 마음은 어떻게 언어를 만드는가?인데 마음이 언어를 만드는 법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두꺼운 책이 허전한데는 언어를 잘 구사할 수 있는 뇌의 메커니즘이 아니라 보편적 언어구사의 물리적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언어사용의 세부적 환경이나 기능이 아니라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데 환경이나 학습, 문화 이전에 근본적으로 한 뿌리로 보고 언어사용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말이 사람의 생각을 지배하는 게 아니라는 걸 증명하려고 애쓰는데 공감하기 힘들다. 첫째, 언어는 인간의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고 오랫동안 학습받아왔기 때문이다. 둘째, 저자가 말하는 언어 본능은, 한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 전의 기능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뇌가 태어날 당시에 보유했던 풍부한 언어 모듈이 자라면서 고착화되고 잃어버렸을 때의 차이를 설명하지 않는다.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유일하고 독특하게 만드는 건 그 사람이 지닌 무수한 사소하고 하찮은 습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모두 비슷한 언어본능을 지니고 태어났더라도 물리적, 자연적 습관에 따라 언어구사력이 달라진다. 그럴 때의 뇌 작용, 이런 게 난 궁금했다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