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임지현 vs 조희연 ‘박정희 논쟁’


조희연(49·사회학) 성공회대 교수와 임지현(46·역사학) 한양대 교수가 박정희 시대에 대한 평가를 놓고 지상 논쟁을 계속하고 있다.

임 교수가 저서와 학술 세미나 등을 통해 박정희 시대를 ‘대중독재론’(지배자의 강압과 민중의 동의가 결합돼 독재가 출현했다는 입장)으로 평가하자, 조 교수가 계간 ‘역사비평’ 지난해 여름호에서 이를 비판하고 나섰다. 조 교수는 대중독재론이 대중의 순응적 침묵을 전면적이고 능동적 동의로 확대해석함으로써 박정희 독재를 정당화하는 보수 우익에 이용당할 우려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조 교수는 또 박정희 시대는 군대까지 동원해 유지됐으며 박 전 대통령이 최측근에게 암살된 것은 민중의 저항이 권력의 내부균열을 낳을 만큼 강력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역사비평’ 지난해 가을호에 바로 반론을 제기했다. 임 교수는 조 교수의 인식에는 민중을 영웅시하고 독재자를 악마시하는 도덕적 이원론이 작용하고 있다며, 대중독재론이 우익화에 이용당할 것을 우려하는 것은 학문의 영역이 아니라 정치의 영역이라고 반박했다. 임 교수는 오히려 독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메커니즘을 철저히 해부함으로써 새로운 독재의 대두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대중독재론은 소수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씌우고 대중에게는 면죄부를 부여하는 방식의 과거 청산이 아니라, 과거를 반성적으로 성찰하는 사회적 기억을 만들어내는 작업”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역사비평’ 올해 봄호를 통해 재반론을 폈다. 조 교수는 “대중독재론은 폭압과 저항을 강조하는 진보적 분석의 정반대의 지점(보수적 입장)으로 이동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그는 또 사실상 박정희 체제는 1987년 6월 민주항쟁 전까지 유지됐다고 주장하며 “박정희 독재에 대한 분석의 출발점을 6월 민주항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이어 박정희 체제에 대한 현재의 동의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라는 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 교수는 여름호에 다시 반론을 제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임 교수는 “대중독재론은 박정희 체제뿐 아니라 북한의 김일성 체제에도 적용되는데, 조 교수가 대변하는 진보 진영에서는 박정희 체제만 문제 삼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치권의 과거사 청산과 맞물려 이 논쟁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

임지현교수의 <일상적 파시즘>논쟁의 연장선상에 있는 논의입니다.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arine 2005-03-03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대중독재론에 한 표를 보냅니다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따라 주지 않는다면 정치인 한 사람의 힘으로 병영국가를 이루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임지현의 말처럼 독재자 한 사람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 씌울 것이 아니라 대중 역시 함께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조희연의 주장처럼 자칫하면 보수우익에게 이용당할 수도 있는 민감한 문제지만요

비로그인 2005-03-03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부 쓸데 없는 짓...... 그 머리로 사회발전에 기여나 해라...

마태우스 2005-03-03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당근 조교수님 편! 군대가 아니었다면 유지될 수 없던 정권이 대중의 동의를 전제로 한 거라고 생각지 않아요

2005-03-03 1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5-03-03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뻘줌 구경만 하다.. 저도.. 투표(!)할래요! 전 조희연 선생님께 한 표 던지겠습니다. 박정희 정권에 동의했던 사람들은 일반 대중이 아니라 군부세력에게 기생했던 조선일보같은 언론들이었겠죵.. 임지현 교수의 말을 조선일보측에선 아주 좋아라, 활용하겠는데요. 임 교수님 자꾸 왜 그러신댜..헷갈리게..임교수의 양비론 뒤엔 조선일보가, 조선일보 뒤엔 박정희가..크크..

드팀전 2005-03-03 14: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돌이님>좀 복잡한 문제라....또 임지현-조선일보 문제까지 생각하면 더 그럴수도 있지요.학자의 이론이 정치적으로 어떻게 이용되는가의 문제까지 그 학자가 고민해야하는 가는 또 다른 문제 제기가 되겠지요? 그게 학자의 잘못이라 해야 하는지 아님 학문과 지식이 가진 본질적인 협력관계때문일지... 근데 임지현-조선일보-박정희 이렇게 구획화하는 건 좀...다르게 생각합니다.좀더 다층적인 문제일 듯 해요.

도서관여행자 2005-03-03 16: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임지현의 대중독재론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일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모든 대중들이 열광적으로, 적극적으로, 박정희 체제에 동의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겠죠. 독재 체제에 대한 대중들의 격렬한 저항에서부터 수동적인, 또는 적극적인 협력과 동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들이 벌어졌겠죠. 그러니 일부의 독재권력층(가해자)/저항적 대중들(피해자)의 도식으로 그 시대를 단정하는 것도 피상적, 도식적입니다. 마치 일제강점기엔, 죄다 친일파와 독립운동가들만이 살았던 시대로 거칠게 파악하는 것과 유사하지 않을까요. 임지현의 견해들이, 그렇다고 독재체제 옹호에 이용되지 않았으면 하네요^^

릴케 현상 2005-03-08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문열의 '선택'이 생각나네요. 당시 사람들도 독재정부 아래서 '살기'를 선택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