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는 오래 전부터 생활의 필수품처럼 인식돼 왔음에도 커피와 질병 및 건강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여러 부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카페인이 주성분이므로 커피와 관계된 모든 효과가 카페인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카페인의 다른 성분들이 일부 질병이나 증상에 좋은 효과 뿐 아니라, 때로는 나쁜 효과를 나타낸다.


커피가 도움이 되는 질병 및 건강상태와 되레 도움이 안되거나 해가 되는 경우를 부산대 백병원 가정의학과 이가영 교수의 도움말을 통해 알아본다.


우선 커피가 도움되는 경우를 몇가지 들어보자.
커피의 카페인은 기관지를 늘어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800년대에는 카페인을 천식의 치료제로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이가영 교수는 말한다.
그리고 일본의 연구에 따르면 규칙적으로 하루 한잔의 커피를 마시면 천식 발생의 위험이 50% 줄고, 두 잔은 23%를 줄지만 3잔 이상 마시는 경우는 그 이상의 이득이 없다고 이 교수는 덧붙인다.

커피의 긍정적인 효과의 두번째는 뇌를 각성시킨다는 것이다.
적은 양의 커피를 마셔도 사고능력이 향상되고 정신이 맑아지며 정신적인 업무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음이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식후의 커피는 식곤증을 예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커피를 마시는 것은 도움이 안되고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일부에서는 오히려 커피가 수면을 촉진한다는 보고도 있다.

세번째의 긍정적 효과는 변비에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아침 일찍 마시는 커피는 장 운동을 촉진해 변비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이는 카페인 때문은 아닌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장기간 만성 변비약을 복용한 경우에는 커피가 변비를 더 악화시킨다고 한다.
이외에도 커피는 기분을 좋게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가지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ho 2004-05-03 0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변비에 효과가 있단 애긴 첨 듣네요. 천식에 좋단 애기도 첨 듣지만...^ㅡ^

행복한 파랑새 2004-05-03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천식 얘기는 처음 듣는답니다. 그냥 이런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변비는 어느정도는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물론 사람들마다 다르지만.
저 같은 경우는 조금 도움이 되긴하더라구요 ^^;
 

다림질을 잘못해 양복바지가 번들번들 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식초와 물을 1대2의 비율로 섞은 후 타월에 적셔 바지에 묻히고 다림질을 하면 된다.
바짓단 자국도 식초를 뿌려 다림질을 하면 없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조선시대 통털어 최연소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은?

->15세의 이건창으로 1866년[고종3] 강화도 별시문과에 합격했다.(김종서는 16세에 합격)


2) 최연소 장원급제자는?

->17세의 박호(밀양박씨)는 1584년(선조17) 친시문과에 장원급제했다. (임진왜란때 전사)


3) 무과출신 급제자중 최연소 인물은?

->17세의 남이(의령남씨) 1457년(세조3) 무과에 장원급제.(유자광의 모함으로 주살됨)


4) 최연소로 세자에 책봉된 인물은?

->영조의 아들 사도세자는 2세에 세자책봉 되었으나 그만 뒤주속에 갇혀죽는 비운의 주인공이되었다.
사도세자는 10세에 결혼하여 최연소 결혼기록도 가지고 있다.


5) 최연소로 영의정이 된 인물은?

->세종대왕의 손자인 이준(임영대군의 아들)으로서 28세 때 영의정에 특서됨.


6) 병조판서를 최연소로 역임한 인물은?

->권람의 사위인 남이가 27세에 병조판서가 됨.


7) 홍문관의 수장인 대제학을 최연소로 역임한 인물은?

->만인의 존경의 대상이었던 벼슬의 꽃 홍문관 대제학에 한음 이덕형이 31세에 올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면은 일반국수와 달리 꼬불꼬불한 면발이 어울려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그것은 첫째 좁은 공간(면적)에 많은 부피의 면발을 담을 수 있기 위해서는 직선보다는
곡선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고

둘째로, 지방등 영양가를 높이면서 유통과정에서
보존기간을 오래 지속하려면 튀김공정에서 빠른 시간에 많은 기름을 흡수하여 튀겨지
도록 수분증발을 도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곡선형이 유리하다는 점이다.
이는 조리시 꼬불꼬불한 사이로 뜨거운 물이 들어가 조리시간을 보다짦게 해주기도 한다.

셋째로, 미학적 기준에서 볼 때 유선형이 시각과 미각에 더욱 어울린다는 점과 꼬불꼬불해
짐으로서 유통과정상의 파손방지나 취급상에 용의성도 빼놓을 수 없다.
라면을 꼬불꼬불하게 만드는 방법은 라면을 날라주는 컨테이너 벨트의 속
도를 라면이 나오는 속도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라면가닥이 위로 겹쳐 올라가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 길이는 한 봉지에 대략 75가닥의 면발로 구성되어있다고 할 때 1가닥의 길이는 약 65Cm로서 총 길
이는 49m정도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날씨가 추워지면 많은 사람들은 추위에 반응하는 갖가지 신체적 변화를 겪는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떨림´이다. 간단한 떨림에서부터 입술과 온몸을 유난스레 떠는 떨림까지 그 양상도 가지가지다.

사람은 약 36.5℃의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체내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의 일부는 체온을 유지하는데 사용되고, 일부는 피부 표면을 통해 방출된다.

우리가 쾌적함을 느낄 때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열과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이 같을 때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인체 내부는 몸이 느끼는 추위를 몰아내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거나 열 방출량을 최소화하는 작업에 들어간다.

체온 조절은 간뇌의 시상하부가 담당한다. 낮아진 온도를 피부 감각점이 느끼면 간뇌의 시상하부는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한다.

뇌하수체 전엽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과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해 부신피질에서는 당질코르티코이드를, 갑상선에서는 티록신을 분비하게 한다.

당질코르티코이드와 티록신은 간과 근육에 작용해 물질대사를 촉진하며 열발생량을 증가시키는 물질이다.

이들은 골격근을 수축해 인체의 ´전율´을 주도함으로써 열발생량을 증가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