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니가 가출했다 ㅣ 힘찬문고 41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 지음, 한기상 옮김, 최정인 그림 / 우리교육 / 2007년 1월
평점 :
[언니가 가출했다]는 우리나라 동화가 아니다. 작가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가 오스트리아 사람이니까 유럽 동화라고 해야겠지. 그런데 이 동화의 주인공들의 이름을 살짝 은지, 영순 등의 이름으로 바꾸면 우리나라 동화라고 여겨질 만큼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상과 많이 비슷하다.
주인공 에리카는 재혼 가정에서 살고 있다. 원래 아빠와의 사이에서 언니 일제와 에리카가있고 재혼한 아빠에게서는 동생 둘이 있다. 예쁘고 세상물정에 훤한 언니, 삐걱거리는 분위기가 싫어 숨죽이며 사는 에리카, 아이들을 잘 키워보겠다고 하지만 부모로써의 자격증 시험이 필요할 만큼 무지한 엄마, 그리고 사람좋은 아저씨, 말썽꾸러기 두 동생이 함께 살고 있다. 이야기는 언니가 가출한 시점에서 시작해 돌아온 날로 끝이 난다. 언니가 없는 날동안에 아니 없는 시간 동안에 에리카가 회상을 하며 가출할 때까지의 상황을 이야기 해주는 식이다.
동화를 읽으면서 난 내 안의 상처들을 끄집어 냈다가 다시 집어 넣기도 하고, 딱지 앉은 상처를 쓰다듬기도 하고, 아직 덜 나은 곪은 부분에선 살짝 짜증을 내기도 했다. 그리고 결과론적으로는 에리카나 일제에게 나를 투영하기보다 엄마에게 나를 투영하고 있었다. 언젠가 나는 부모가 될 것이다. 안될지도 모르지만 가능성은 있다. 그런데 이런 생각, 부모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만 하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보고 배운것 없는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윽박지르고 때리기나 하는건 아닐까. 아이의 말이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는 있을까. 사랑으로 보듬어주고 감싸줄 수는 있을까...
에리카의 엄마는 두번째 결혼이기에 이번엔 실수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누구보다 제대로 아이들을 교육시켜 재혼 가정에서도 아이들이 잘 크는구나 증명해보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에리카의 엄마는 어떻게 하면 제대로 할 수 있는지 잘 몰랐다. 모를 때 묻고 공부하기보다 자신의 방법으로 아이를 다그쳤다. 때리고 윽박지르고 집안에 갇워놓고... 오히려 그것은 더 역효과를 가져와 일제가 가출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만 것이다.
얼마 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 [부모들은 착각을 한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여기서 부모란 내 엄마, 아버지가 아닌 자녀를 가진 모든 사람을 칭하는 말이다. 내 친구도 될 수 있고, 언니, 동생이 될 수 있다. 부모가 되면 지금까지 알지 못하던 것을 마치 다 알게 되는 양 군다는 것이다. 뱃속에 열달동안 아기를 갖고 있었을 뿐, 출산으로 인한 극도의 고통을 겪었을 뿐 그 전과 달라진 건 없다는 것이 우리의 결론이었다. 그러므로 부모가 되기 위해선 부모자격증 시험이라도 봐야한다는 것이었다. 부모로써 갖추어야 할 소양, 지혜 이런 것들은 배우고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절대 아이를 낳았다고 해서 저절로 생겨나지 않는다. 인생은 단 한번이기에 키우면서 시행착오를 겪기에는 아이에게 주는 상처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먼저 인생을 살아온 선배들이 얼마나 많은가. 또 시간과 노력, 모든 학문을 동원해 일궈놓은 연구의 성과물. 책들은 또 얼마나 많은가. 이런 것들을 통해서 부모가 되어가야 한다. 진정한 부모말이다.
우리아버지, 어머니 또한 많이 부족한 분들이셨다. 사랑은 했지만 도시를 지향하는 어머니와 안정적인 생활을 지향한 아버지는 많이 달랐고 자식들은 어떻게 되든 말든 우리앞에서 무식하리만치 과격하게 싸워댔고 이혼을 하셨고 우리는 할머니 손에 맡겨졌다. 나 5학년, 언니 중학교 2학년, 오빠 고1때의 일이었다. 우리는 모두 사춘기를 겪고 있을 때였고 아직 어렸던 나였지만 그때의 기억들로 인해 지금도 나에게 큰 소리를 치거나 이유도 묻지 않고 싫은 소리를 할때면 심장이 쿵쾅거리고 눈물부터 나곤 한다.
에리카의 모습은 나의 모습을 닮았다. 밖으로 뛰쳐 나간 일제보다도 그 모든걸 감내하고 있는 쪽의 에리카가 더 마음에 와 닿는다. 성경에 돌아온 탕자 이야기가 있다. 아버지가 살아계심에도 불구하고 유산을 달라하여 세상을 돌아다니다가 다 탕진하고 거지가 되어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아버지가 잔치를 베풀어 받아준 이야기이다. 난 이 이야기에서 동생이 나가있는 동안 불만없이 집안일을 모두 건사했던 큰 형에게 더 마음이 쏠렸다. 큰 형에게는 잔치 한번 베풀어 준적 없으면서... 내게도 불만이 쌓였다. 나는 항상 그래왔다. 참고 견뎠는데 결과는 그냥 아무것도 아닌것이었고 파격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내비쳤던 언니 오빠에게는 경계도 관심도 쏠렸다. 난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래서 지금 내게 너무도 잘해주는 태양님께 그동안 쌓여왔던 화나 악을 막 쏟아붓는다. 무서울정도로 쏟아 붓는다. 그래서 부모가 된다는 것이 겁이 난다. 내 아이에게 쏟아 부을까봐 말이다.
[언니가 가출했다]는 분명 동화다. 아이들의 모습을 그린 동화이고, 아이들의 마음 상태를 그린 동화이다. 그래서 더더욱 부모들의 필독서가 되어야 할 동화이다. 내 어린시절을 되돌아 볼 수 있고, 부모된 지금의 나를 바라볼 수도 있고, 어떻게 키워야 하는건지, 어떤 부모가 되어야 하는건지 고민 할 여지와 시간을 마련해주는 책이다. 내 안의 상처는 이 세상의 이혼한 부모들에게 외친다 "못키울 것 같으면 낳지를 마라!!!" 기대와 행복감 속에서 부모가 되고 싶다. 지금처럼 불안과 두려움속에서가 아닌... 언제쯤 내안의 상처들이 나을까... 이런 책을 읽을때마다 사실 두려움이 더 커진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기도가 되고 준비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진정한 부모되기... 어렵겠지만 허락한다면 열심히 가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