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강유원 지음 / 미토 / 2004년 12월
절판


기호의 생산이나 해석은 기호 그 자체만 가지고서는 불가능하고 반드시 여러 가지 사회적 학습의 성과들이 은연중에 결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기호를 제대로 만들어내고 해석하는 일은 정확한 기의를 확실한 기표에 담는 일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당사자들의 학습 배경과 수준에 달린 일이기도 한 것이다. -20쪽

텍스트를 이루고 있는 기본 요소인 기호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에 이어 텍스트의 정의에 포함된 다음 내용으로 넘어가기로 하자. '어던 코드들에 입각해서 통일성을 이룬 기호학적 체계'라는 규정을 한마디로 다시 쓰면 '기호들의 통일적 질서'이다. 여기서 '질서'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기호들이 여기저기에 아무런 배치나 의도 없이, 말 그대로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으면 그것은 단순한 기호 덩어리일 뿐 텍스트는 아니다. 텍스트는 기호들이 일정한 질서에 따라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누가 그 질어의 원리를 만들고, 누가 그것에 따라 배치하는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기호들이 생명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움직여 어떤 배치를 이루었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 기호에 질서를 부여하고 배치하는 이는 인간, 즉 저자, 기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생산하는 자이다.-22쪽

예수 그리스도는 어떤 물건을 소유했던 것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사용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며,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야 할 수도사들은 재물을 소유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교황은 재물을 소유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교회의 우두머리로서 황제를 임명하는 권한까지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던 교황 요한 22세가 이를 못 마땅해 했던 건 당연한 일이었다. ...중략...
이미 요한 22세에 의해 파문을 당하고 그에 대응하여 교황을 배교자로 비방했던 신성로마 제국 황제 루드비히와 이단으로 몰리고 있던 프란체스코 수도회가 손을잡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결말이었고, 이들은 교황파에 대립하는 황제파를 형성하게 된다. -31-32쪽

"철학은 이 웅장한 책, 즉 우주에 쓰여진다. 이 책은 우리 시야 앞에 항상 펼쳐진 채 서 있지만, 그 언어를 이해하고 그 언어를 쓴 문자를 해석하는 법을 먼저 배우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다. 그것은 수학의 언어로 쓰여져있으며, 그 문자는 삼각형, 원 및 그 밖의 기하학적 도형이다. 이것들이 없다면 인간의 힘만으로는 단 한 단어도 이해할 수 없으며, 이것들이 없다면 우리는 캄캄한 미로 속에서 방황할 것이다."
(갈릴레이)

"이 세상 만물은 그림과 책처럼 우리에게 거울로 나타난다."
(알라누스데 인술리스-프랑스 신학자이자 시인)-47쪽

수도사만이 서책을 탐하는 것이 아니다. 세상의 쓴 맛이 온 몸에 배어들어오는 것을 못마땅해하는 이들도 서책을 손에 잡고 서책에서 얻는 한 모금의 위안에 안도하곤 한다. 서책이 위안을 준다 해도 이들이 서책에 중독되는 일이란 없다. 그들의 한 발이 서책 밖의 세계를 딛고 있는 한, 그들은 세상에서 서책보다 즐거운 것이 발견되면, 바로 그 순간 서책을 팽개친다. 그 즐거움이 죽을 때까지 계속되면 그들은 평생 다시는 서책을 잡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서책이 삶의 거짓 모방이라는 것을 몸으로써 안다. 서책은 그런 것이다. 그렇게 중독되고 그렇게 버려지는 것이다. -112-113쪽

"인간이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들 가운데 가장 놀랄 만한 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책이다. 다른 것들은 신체의 확장이다. 현미경과 망원경은 시각을 확장한 것이며, 전화는 목소뢰의 확장이고, 칼과 쟁기는 팔의 확장이다. 그러나 책은 다른 것이다. 즉, 책은 기억의 확장이며 상상력의 확장"이다. (보르헤스) -151쪽

담론은 순수한 학적 언설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언설이 은닉하고 있는, 넓은 의미에서의 정치적 권력관계까지도 담고 있다. 이 권력관계에는 발언자의 사회적 위치와 배경, 발언 시점, 발언이 전달되는 매체 등도 중요한 요소로서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이 고려될 때 담론분석은 권력분석이 되는 것이다. -168쪽

중세의 공부는 독해에서 시작한다. 이는 주어진 텍스트를 읽는 것인데, 다시 또 3단계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가 텍스트에 대한 문법적 분석이다. 읽는 이는 이 분석을 통해서 문자의 뜻을 알아낸다. 그 다음에는 논리적 설명을 시도하여 의미를 찾아낸다. 마지막으로 학문과 사고의 내용을 드러내는 주석을 통해 텍스트 주해가 완성된다. 어떤 텍스트가 주어지면 이처럼 형식과 내용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거친 후에 그러한 독해 결과를 놓고 토론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토론의 첫번째 절차는 질의이다. 학생은 이제 텍스트를 질문의 대상으로 삼으며 그에 답을 하는 교사는 자기 나름의 해답을 찾아내어 결론이라는 사색의 작품을 창조한다. ...중략...

중세 스콜라의 학문 방법은 낡은 것으로 간주되어 근대의 학자들에게 배척당했다. 근대의 학자들은 텍스트의 권위에 기대어 끊임없이 전거만을 찾는 것이 새로운 것을 발견할 수 없는 방법이라 보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데카르트같은 이는 자신의 학문의 출발점으로 모든 것을 의심하는 방법론적 회의주의를 세우기도 하였고, 베이컨은 '새로운 기관'을 정립하기도 하였다. 근대의 학문 방법이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해서 중세의 독해, 쟁의, 쿠오들리베타가 가진 깊은 사색의 힘까지 배척되어서는 안된다. 중세의 교사들은 그러한 사색과 쟁론을 통해서 진정한 독토로 doctor - 이는 본래 '교사'라는 뜻을 가졌다 - 로서의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168-170쪽

윌리엄은 '이름은 사물의 궁극'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이름은 사물의 본질과 무관하게 아담이 임의로 붙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 입장에 따르면 '장미'라고 불리는 사물도 그것이 무어라 불리든 그 본질은 '장미'라는 이름과는 무관하다. 그 사물의 이름이 무엇이건 그것은 그것 자체인 것이다. 아담이 사물에 임의로 이름을 붙였듯이 모든 이름은 사람이 약정을 통해 붙이는 것이다. -172쪽

권능이란 권위와 물리적인 힘이 합쳐진 단어이다. 즉 형식과 내용의 권위를 갖춘 상황에서 힘까지 가진 상태가 권능이다. 베르나르 기가 로마 교회의 권능을 믿느냐고 레미지오에게 묻는 것은 레미지오가 로마 교회가 지닌 헤게모니, 즉 동의된 권력을 인정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178쪽

"가짜 그리스도는 지나친 믿음에서 나올 수도 있고, 하느님이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사랑에서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성자 중에서 이단자가 나오고 선견자들 중에서 신들린 무당이 나오듯이 (......) 아드소, 선지자를 두렵게 여겨라. 그리고 진리를 위해서 죽을 수 있는 자를 경계하여라. 진리르 위해 죽을 수 있는 자는 대체로 많은 사람을 저와 함께 죽게 하거나, 때로는 저보다 먼저, 때로는 저 대신 죽게 하는 법이다."
(<장미의 이름>의 윌리엄 수도사)

"인류를 사랑하는 사람의 할 일은, 사람들로 하여금 진리를 비웃게 하고, 진리로 하여금 웃게 하는 것일 듯하구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집착에서 우리 자신을 해방시키는 일 (......)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좇아야 할 진리가 아니겠느냐?"
(<장미의 이름>의 윌리엄 수도사)
-192-19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