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수, 화가에게 말 걸다
최병수.김진송 지음 / 현실문화 / 2006년 4월
장바구니담기


그는 달라진 것이 없었다. 그런 그를 생각하면 내 머리가 복잡해지곤 했다. 그는 늘 단호하고 투명하고 거침없이 말하고, 민첩하고 정확하게 행동했지만, 내가 보기에, 그를 둘러싸고 있는 세상은 늘 미심쩍고 모호하고 불안했다. 그는 거칠고 고집스럽고 직전적으로 말하고 안하무인에다 우격다짐으로 행동했지만, 내가 보기에, 세상은 그가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조금 더 절묘하고 신중하고 합리적으로 돌아갔다. 때로는 그가 매우 어리석고 무지한 운동가처럼 보였으며 때로는 그가 매우 현명하고 영악스럽게 자신의 의지를 실현해 가는 투사처럼 보였다.
-14쪽

화가가 되기 전 그의 직업은 무려 열아홉 가지다. 중국집 배달원을 시작으로 전기공, 웨이터, 막노동꾼, 배관공, 목수 등등. 그가 그렇게 많은 직업을 전전했던 이유는 '탓'이 많았기 때문이다. 사장이 돈을 떼어먹거나 부당한 일을 시키거나 손님이 마음에 안 들거나 몸을 다치거나 하는 그런 탓이다. 그만큼 그가 먹고살기 위해 선택한 직업의 세계도 녹녹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한번도 자신이 잘못했기 때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그는 여전히 싸우고 대들고 말썽을 일으켰다. 그리고 그것을 그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었다.-32쪽

언제부터인가 누군가의 투쟁은 누군가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묻혀 버렸다. 생각하고 싶지 않을 만큼 끔찍한 무관심이 일상화되어 있다는 사실조차 아무도 알지 못한다. -81쪽

그런데 이제 와서 자꾸만 나는 최병수를 그가 서 있는 자리에서 끌어내리고 싶었다. 어느 누구보다 실천적 삶에 충실한 그의 손과 발을 꼼짝 못하게 묶어놓고 싶었다. 그에게 신념보다는 갈등을, 확신보다는 의문을, 실천보다는 사색을, 단호함보다는 주저함을 말하고 싶었다. 그것은 솔직하게 말하자면 그의 언어를 다듬어낼 수 있는 내면적 깊이를 그가 가져주기를 바라는 심정이었다. 물론 이건 나의 오만일 것이며 주제넘은 생각이라는 걸 모르지 않는다. 하지만 나는 늘 그의 생각과 말과 행동이 이 사회에서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가치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불안했다. 그는 절대적으로 옳은 쪽으로 생각하고 사회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행동한다. 물론 그는 스스로를 '정당한' 이데올로그의 실천무기일 수 있지만 그 스스로 이데올로그가 될 수는 없다고 규정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럴수록 나는 그가 가지고 있는 생각들이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올바른' 가치들과 완벽히 일치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그의 생각의 여지가 많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왔다. 제발 너의 생각을 말해줘. 아니다. 그는 자신의 생각을 알아주지 않는 나를 답답해 하고 있을 것이다. -143-144쪽

신화적인 세계 속에서는 사물 혹은 동물은 인간과 항상 동등한 위치에 놓인다. 인간과 자연의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세계다. 우리들이 흔히 오해하듯이, 신화 속에서 곰이나 호랑이가 나타나는 것은 그 영물들이 오래전에 살았던 어느 부족이나 세력을 상징하기 때문이 아니다. 신화적 세계에서는 자연이나 동물들이 인간과 다름없이 말을 주고받거나 인간과 유사한 생각과 행동을 지니고 있거나 혹은 인간이 신과 엇비슷하게 변신하거나 신이 인간의 곁에서 더불어 살아간다. 그러나 그 세계가 인간 세계의 은유와 상징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인간과 곰이 동등한 입장에 있지 않는 세계 속에서는 신화가 창조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신화적 상상력은 사물과 현상에 대한 인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적편견'이 가득한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오늘날 신화가 창조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2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