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력
다카이 노부오 지음, 은미경 옮김 / 명진출판사 / 2004년 4월
품절


3분력이 의미하는 스피드란 경쟁력을 갖춘다는 의미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삶의 여유를 갖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효율적으로 일하고 남은 시간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쓰라는 것이다. 일처리를 반듯하게 하면, 오히려 시간적인 면에서 여유가 생기고, 인생을 충실하게 사는 데도 도움이 된다. 최근 '슬로 푸드'운동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런 사고를 실천하기 위해서도 일에 관해서는 신속함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일에 미치고 나면 늦잠을 자든 게으름을 피우든 상관없다. -25쪽

"자신감이란 누가 인정해줘서 생기는게 아닙니다. 나무에 물을 주듯 스스로를 격려해야지요. 성공을 해서 자신감이 있는게 아니라 자신감이 있어서 성공한 겁니다."
(마쓰시타 고노스케)-41-42쪽

누구나 할 수 있는 말, 혹은 어디선가 한번쯤 들어봤음직 한 말로는 자신을 돋보이게 할 수 없을 뿐더러, 원하는 바를 제대로 챙길 수도 없다. 다소 부족하더라도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라고 명쾌하게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시작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61쪽

한 가지 덧붙이자면, 이야기의 초반을 매우 느린 리듬으로 이끈다는 것이다. 그리고 청중이 집중하고 이야기가 고조에 이르면 빠르게 이끌어간다.
이처럼 이야기의 시작을 천천히 꺼내는 것은 자신만의 리듬을 찾아가기 위한 전략이다.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리듬이 있다. 그 리듬을 자연스럽게 타지 못하면 자연히 말을 더듬게 되고, 그러다 보면 듣는 이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말머리를 천천히 꺼내는 것은 대단히 유리하다. -69쪽

사이를 두는 사람 앞에서는 억지로 말을 시키기보다는 상대방의 표정과 태도를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이 좋다. 손가락 끝이나 눈앞에 있는 커피잔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면 생각을 정리하는 중이라는 뜻이고, 시선을 피하거나 불안한 표정을 짓고 있다면 대화를 끝내고 싶다는 뜻이다. 전자라면 조금 더 기다려주고, 후자라면 "다음에 이야기할까요?"라고 얘기를 매듭지어주는 것이 좋다. 상대를 편안하게 해주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다음 대화에 오히려 신뢰감을 줄 수 있다. -72쪽

사람을 만나는 일을 하든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나는 이미 알고 있다"와 같은 자만심이다. 혹 상대보다 지식이 뛰어나거나 학력이 앞설지도 모른다. 그러나 상대에게도 그만의 인생이 있다. 그것은 내가 미처 경험하지 못한 것일수 있다. 내가 세상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단언할 수 없는 것이다. 자신에 대해 자긍심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진정한 자긍심은 그런게 아니다. "나는 뭐든 잘 안다", "나는 언제나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신이 얼마나 모르는게 많은지, 세상 물정이 어떤지를 전혀 모른다는 증명 밖에 되지 않는다. -132-133쪽

특히 정보화 사회에서 이 같은 증세는 하나의 질환으로까지 취급되고 있다. 이른바 '끄덕끄덕 신드롬'과 '질의응답 마비 증후군'이 그것이다. 끄덕끄덕 신드롬은 지식을 얻고 싶은 욕구보다 바보 취급당하는 것에 대한 공포심이 강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서, 세미나 또는 대화 중에 이해하지 못하는 말이 나와도 마치 자신이 잘 알아듣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연신 고개를 끄덕거리는 것을 말한다. 또한, 질의응답 마비 증후군은 회의나 세미나에서 질의응답 시간이 되면 주체할 수 없는 긴장감에 압도되어 아무말도 못 하는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한다. -134쪽

누군가를 막힘없이 설득하고 싶다면,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 鮮矣仁)'이라는 공자의 가르침을 되새길 일이다. "약삭빠른 말과 꾸미는 얼굴에는 군자의 근본인 인이 깃들기 힘들다"라는 말이다. 남을 감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막힘없는 말솜씨가 아니라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심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46쪽

"세계 역사는 네 종류의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인간이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고 확신했던 시대, 반대로 아무 것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시대, 지식인 등 일부 계층만이 지식을 갖고 뽐내던 시대,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는 대중 사이에서 자기 지식에 회의를 느끼는 인텔리 지식층의 시대가 그것이다."
(버틀란트 러셀, <인생에 대한 단장>)-171쪽

"신은 인간에게 두 개의 귀와 하나의 혀를 선사했다. 인간은 말하는 것의 두 배 만큼 들을 의무가 있다."(제논)-1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