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은 논증이다 - 탁석산의 글쓰기 2 탁석산의 글쓰기 2
탁석산 지음 / 김영사 / 2005년 11월
장바구니담기


좋은 논증은 반드시 반박이 가능해야 한다. 아주 중요한 조건이다. 완전무결한 논증은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좋지도 않은 것이다. -71쪽

좋은 논증이 되기 위해선 반드시 예상되는 반박을 잠재우는 전제가 등장해야 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반박이 불가능한 논증은 잘못된 논증이므로 잘못된 논증이 아니라면 반드시 반론이 있을 것이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지 못하면 논증이 무너지게 된다. -75쪽

논술이나 어떤 문제에 대해 논할 때는 어느 한쪽에 서야 한다. 왜냐하면 논술은 결론의 내용을 보는 것이 아니라 결론에 이르는 과정을 보는 시험이기 때문이다. -146쪽

논술에서는 배경지식을 넓히려고 너무 애쓸 필요가 없다는 거야. 있는 것을 어떻게 논증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배우고 연습해야 한다는 거지. -159쪽

첫째, 논제를 열심히 읽는다. 뭘 요구하는지를 알아야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
둘째, 논제에 찬성이든 반대든 어느 한쪽에 서라. 양비양시론은 결론이 없어 보여 강인한 인상을 주지 못한다.
셋째, 결론에 대해 가장 강력한 반론이 무엇이 될 것인가를 생각하라.
넷째, 전제를 쓴다.
다섯째, 반드시 예상되는 반박에 대한 대안을 쓴다.
여섯째, 글을 쓰기 전에는 논증 형식으로 구성한다. 전제 1,2,3 등으로 번호를 붙이고 전제와 결론 사이에 선을 그어서 이것이 논증임을 확인한다.
일곱째, 여기서 잠깐. 글로 옮기기 전에 과연 자신의 논증이 좋은 논증인지를 검토한다. 즉 관련성, 전제의 참, 충분한 근거, 반박 잠재우기 등의 조건을 적용시킨다. 이때 찬찬히 따져서 부족한 점이 있으면 고치거나 보완한다.
-172-1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