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고교생들의 우화철학
알렝 르 니네주 지음, 김웅권 옮김 / 이루파(범조사)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기대했던 만큼은 아니었다. 역시 책은 서점에서 직접 살펴보고 구입해야한다는 진리(?)를 또한번 깨닫게 해주는 선택이었다. 철학교육에 관한 대중서를 찾던 중 <프랑스 고교생들의 우화철학>이 눈에 띄었고, 그다지 많이 팔린 책은 아니었지만 내가 원하는 종류의 책일거라 믿고 구입했다. 책의 내용은 제목에 걸맞았다. 하지만 같은 제목이라할지라도 보는 사람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읽혀질 수 있는가, 제목을 보고서 어떤 내용들을 추리할 수 있는가 하는 부분은 각각 다를터, 난 지나치게 많은 것을 이 책에서 기대했던 모양이다. 기대가 컸으니 실망도 컸다.

  초반 '옮긴이의 생각'에도 드러나듯 프랑스는 철학이 매우 강한 나라이고, 중고등학교 때부터 철학을 하기 때문에, 우리네 대학에서 하는 철학은 그들에겐 수준이하의 것인지도 모른다. 바칼로레아 라는 그들의 대입시험은 철학적 논술을 다루고 있고, 당연히 대학 입시가 철학논술이다보니 모든 중고교생들이 철학을 중시할 수 밖에 없다. 우리네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금에 와서 논술이 강화된다 어쩐다 하지만 그 논술 또한 시험자의 깊이있는 사고방식을 엿보기 보다는 지식과 어학능력을 테스트하는데 몰두하고 있으니 다를 수 밖에 없다.

  <프랑스 고교생들의 우화철학>은 우화 한 두개를 가지고 각 장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풀어나가고 있다. 불안을 이야기하면서는 '싯다르타에게 나타난 네 번의 계시' '율법의 파수꾼'과 같은 우화를, 지식과 비지식을 논할 때는 '탈레스와 하녀 트라케' '동굴의 맹인들과 포로들'이라는 우화를 가지고 풀어내고 있다. 철학적 주제를 탐구하는데 있어서 우화를 사용하는 것은 철학지식을 딱딱하고 하늘 저 높이 있는 것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또하나의 길을 열어주는 것과 같다. 우화는 애초 어떤 교훈을 위하여 재밌게 쓰여진 글을 말하므로 누구에게나 친근하다. 그 친근함을 바탕으로해서 철학적 사유를 열어가는 식이다.

  하지만 우화를 이용해 하나의 주제를 펼쳐나가는 이 강의는 지나치게 많은 철학자들의 말을 인용하며 현학적으로 보이게하고, 그렇다고 주제에 깊이 접근하지도 않는, 이래저래 아무런 성과도 끌어내지 못하는 듯이 보인다. 실제 이것을 토대로 한 강의를 듣는 것과 그 강의를 글로 옮긴 것을 읽고 있는 차이인지도 모르겠다. 강의는 충분히, 쉽게 머리 속으로 전달되지 않고 밖에서 겉돈다. 친숙하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예문이나 우화들도 우리에게 친숙한 것이 아닌 그들에게 친숙한 이야기들이라 흥미를 유발하지도 않는다. 그저 프랑스 고교생들 대상으로 이런 강의가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아는 차원으로 이 책에서 의미를 가져야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