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이면 충분해
로라 스콧 지음, 이문영 옮김 / 빅북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11
아이를 낳으면 나의 마음이 바뀔 거라고도 했다. 그들은 아이 때문에 인생의 기쁨과 경이를 느낀다고 말했다. 내가 그 기쁨을 알지 못한다는 사실에 답답해하고, 슬퍼했다. 그들에게 나는 인생에서 어떠한 경험을 ‘놓치고’ 있으며, 그 경험의 결여로 온전하지 못한 사람이었다.

232
"출산을 권장해야 한다는 믿음은,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은 사람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많은 연구에 나타나듯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어쩔 수 없이 아이를 낳지 못한 사람과 아이를 낳은 사람에 비해, 자발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은 사람은 사회적으로 덜 환영받으며, 적응력과 성숙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더 물질적이고, 더 이기적이며, 더 개인주의적이라고 흔히 인식된다."(크리스틴 박, 논문 ‘무자녀 선택’)

243
이 용어(딩크)는 상대적으로 부유하며 아이가 없는 사람들을 의미하지만, ‘여피’와 같이 돈을 잘 쓰고 물질주의적인 생활방식을 일컬을 때 흔히 사용된다.

245
아이가 없으니 일을 더 해도 괜찮지 않느냐는 오해는 여전히 널리 퍼져 있다. 대기업의 임원인 클라우디아는 이렇게 불평한다.
"우리가 아이가 없다는 이유로 일주일 내내 24시간 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공평해요. 인생에서 일이 전부가 아니잖아요. 아이가 없는 사람에게도요."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동감하지 않는 것 같다. 아이가 없는 사람들에게 일 이외의 삶은 없다고 생각한다. "아이가 없으세요? 그럼 뭘 하세요?"

252
출산을 장려하는 사회에서는 출산의 의무를 거부하거나 부모가 되는 일을 탐탁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을 ‘아동혐오증’이나 ‘이기적’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추정과 소수집단이라는 위치 때문에 많은 ‘무자녀’ 부부가 ‘이방인’의 범주에 속하며, 여전히 오해와 비난을 받는다.

263-264
"아이를 키우는 친구들은 항상 우리에게 아이를 낳으라고 압박했어요. 그때 아이 때문에 심하게 골머리를 썩는 친구를 보면 항상 저는 ‘봐라. 그래서 내가 아이를 안 낳는 거잖아’라고 말했지요. 그러면 그들은 예외 없이 정신을 차리고 ‘오, 그래도 보람을 많이 느껴’라고 말해요. 물론 그럴 거예요. 그리고 그들에게는 좋은 일일 테고요. 하지만 우리는 보람을 못 느껴요, 개인적으로."(닉)

264
자기계발 분야의 권위자인 필 맥그로는 "위대한 가족을 만드는 7가지 원칙"이라는 책을 쓰기 위해 2000명 이상의 부모를 조사했다. 그들 중 3분의 1에 가까운 사람이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 알았더라면 아마 아이를 낳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항목에 동의했다.

270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은 사람들은 ‘부모가 되는 일은 좋은 것이라는 관념’에 질문을 던짐으로써 의도적으로 ‘가치의 충돌’을 유발한다. 왜 아이를 낳지 않았는지 ‘사람들은 상세히 모르고, 어느 정도는 자세하게 알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 없는 사람들이 최악의 동기를 지닌다고 비난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세상을 보는 방식에 근본적으로 도전하기’ 때문이다."

272
"무자녀 혁명"을 쓴 매들린 캐인은 아이 없는 여성들이 말한 ‘무수한 혜택’을 강조했다. 그중에는 경제적, 정서적, 시간적 압박감으로부터 해방된 자유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그녀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는 무자녀 부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또한 끈질기게 지속된다고 지적했다.
"참으로 역설적이다. 우리는 은퇴한 이들이 여행하며 즐기는 일은 지지하지만, 젊은 사람들이 그러는 꼴은 보지 못한다."

301
제이슨은 모든 동물과 인간에게 종을 번식시키려는 본능이 있다고 믿는 과학자다. 하지만 지구가 그 종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을 때 그 종의 수가 감소한다고 믿는다. 대부분의 환경 전문가들은 지금 인구 성장을 제한하는 방법을 찾지 않으면,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아서가 아니라 병, 기아, 유아 사망의 증가 등으로 인구가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311
두 사람 모두 아이를 낳을 거라고 예상하면서도 결혼하기 전에 ‘아이 대화’를 나누는 경우는 드물다. 두 사람 모두 정말로 아이를 원한다 해도 아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일은 꼭 필요하다. 인생 계획에 따라, 몇 명을 낳은 것인지, 아이를 낳지 않을 수도 있는지 등을 이야기하라. 이렇게 대화를 하면 두 사람 모두 실제로 일이 닥쳤을 때 상황 판단을 제대로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 사람 혹은 두 사람 모두 억울함을 느낄 위험이 적어진다.

312
"정말로 아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아이를 원하지 않는 배우자를 만나게 됩니다. 왜냐하면 낳고 싶은 아이의 수에 대해 의견이 다를 때, 그보다 더 빨리 관계를 깨뜨리는 요인은 없으니까요. 한 사람은 아이를 원하지 않고 다른 한 사람은 한 명 혹은 둘셋 이상을 원할 때 특히 그렇죠. 타협이란 있을 수 없어요. 중간 입장이 불가능해요. 아이를 반쪽만 낳을 순 없잖아요. 그리고 어떤 사람에게는 한 명도 너무 많아요."(제리)

319
아이가 없는 사람은 다양한 사회의 공동체에서 여전히 다른 존재로 취급당하거나, 대체로는 무시된다. 무자녀 부부의 숫자는 수백만이지만, 눈에 전혀 띄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은 사람들은 하나의 인구 집단으로 목소리를 내고, 부끄러움이나 조건 없이 아이를 낳지 않기로 한 결정을 당당히 표현할 때가 되었다. ‘우리는 아이가 없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의 선택이었다. 다른 방법은 없었다.’

321
"의도적으로 아이를 낳지 않았다고 저에게 어떤 문제가 있는 건 아니에요. 이는 본질적인 부분으로, 제가 살아갈 인생을 제가 선택한 거예요."(조디)

327
아이를 낳지 않은 6대 동기 
1. 지금 이대로의 생활, 부부관계에 만족한다. 아이를 낳는다고 삶이 더 좋아지지 않을 것이다. 
2. 자유와 독립에 가치를 둔다. 
3. 양육의 책임을 짊어지고 싶지 않다. 
4. 아기를 갖고 싶은 욕구, 모성, 부성본능이 없다. 
5. 아이를 키우면서는 하기 힘든 일을 인생에서 성취하고 경험하고 싶다. 
6. 시간과 에너지를 관심사나 욕구, 목표에 집중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