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구할 것인가?
토머스 캐스카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일시품절


77-78
행위 자체가 도덕적으로 선하거나 적어도 중립적이어야 한다.
행위자가 나쁜 결과를 적극적으로 기도하는 것은 안 되지만 나쁜 결과를 허용할 수는 있다. 나쁜 결과 없이 좋은 결과를 얻을 방법이 있다면 그렇게 해야 한다.
좋은 결과는 적어도 나쁜 결과만큼 직접적으로 행위에서 기인해야 한다. 말하자면, 좋은 결과는 나쁜 결과로부터가 아니라 행위로부터 직접 생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행위자는 좋은 목표를 달성하려고 나쁜 수단을 쓰는 격이 되는데, 이는 결코 허용되지 않는다.
좋은 결과는 나쁜 결과의 용인을 정당화할 만큼 바람직해야 한다.
-미국 가톨릭 주교 회의를 대표하여 페드로 오쇼그네시 주교가 발표한 법정 의견서(2013년 4월 19일) 중

96
약자는 강자에게 지배당하고 싶지 않지만 맞붙어서 이길 도리가 없으니, 원한에 사로잡혀 강자에겐 ‘악’이라는 이름표를 붙이고 자신에겐 `선`이라는 이름표를 붙여요. 말하자면 선과 악은 패배자가 정의했다는 거예요. 우리는 기독교의 영향을 받아서, 누가 한쪽 뺨을 때리면 다른 뺨도 돌려대는 것을 선하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니체는 우리가 다른 뺨을 돌려 대는 이유는 상대의 뺨을 올려붙일 만큼 강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강자에게 `악`이라는 이름표를 붙여 복수하는 것밖에 도리가 없다고 여긴다고 말하죠. 니체는 ‘자연적` 가치란 선과 악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가치와 병약한 가치로 나뉜다고 말해요. 강자는 힘을 휘두르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껴서는 안 돼요.(미네소타 주 로체스터에서 온 마브 펠드먼, NPR 토론, 내셔널 퍼블릭 라디오, 2013년 4월 20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