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 재덕이 - 마음을 여는 동화 2
이금이 지음, 성병희 그림 / 푸른책들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사실 동화에는 눈꼽만큼도 관심이 없지만 - 아직 젊고 결혼에 대해선 별로 개념이 없고 애를 키운다는 것에 대해서는 더더욱이나 생각 밖의 일이라 그런지 - 어쩔 수 없이 동화를 읽어야 하는 사태가 자꾸만 발생한다. 토요일마다 나가는 초, 중, 고딩을 대상으로 하는 철학토론수업에서 초등학생 수업을 위해선 동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동화읽기 시작한지 다섯번째 되는 책. <내 친구 재덕이>는 창작동화쪽에서는 꽤 이름이 알려진듯 보이는 이금이씨의 작품이고, 그림은 대학에서 서양화를 전공했다는 성병희씨가 그리셨다. 오색찬란한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타일의 그림은 아니지만 목탄인지 뭔지 잘 모를 도구를 사용한 섬세한 터치가 돋보이는 그림이다.

 <내 친구 재덕이>에서는  초등학교를 나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어봤을 만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금이씨 또한 이 책의 머리에서 '내 마음 속의 재덕이에게'라는 편지로 머리맛을 대신하고 있다. 실화를 바탕으로 썼다는 말씀.

  초등학교 때 매 학년 올라갈 때마다 우리반에는 항상 덜떨어진듯한 아이들이 하나씩은 이었다. 그리고 반 친구들은 그 아이를 피하거나 놀리고 왕따시키기 마련이었다. 나는 적극 왕따놀이에 참여하는 아이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그를 감싸주거나 보살피는 가슴 따뜻한 아이도 아니었다. 그냥 원 밖에서 방관하고 있는 관찰자일 뿐이었다. 뭘 그리도 관찰하고 싶더냐. 대다수의 반 친구들이 그를 싫어했지만 어떤 한 아이는 그를 곁에서 도와주고 친근하게 대해줬다. 그런 친구 많지 않다. 한 반에 한명이라도 있으면 다행인 것이다.

  <내 친구 재덕이>에서 화자인 나는 그다지 공부를 잘하지도 못하고 특출난게 없는 평범한 아이다. 우리반에는 꽤재재한 차림새에 아이들이 놀려대도 실실 쪼개기만 하는 덜떨어진 아이가 하나 있다. 나이는 한살 많지만 그를 형으로 대접하게되면 나는 그보다 더 바보가 된다. 화자인 나는 처음에 선뜻 동네북이 되어버린 재덕이에게 다가서기 어려워하나 불쌍한 그를 감싸주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서서히 재덕이와 함께 어울리는 시간들이 많아지고 멍청하고 바보같으면서도 그를 돌봐준다. 세수도 씻겨주고 맛있는 사탕도 주고.

  이 동화는 흔히 나의 초등학교 시절의 그 '대다수'의 친구들과 같이 되기 쉽상인 지금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한 반에 한명쯤은 있는 약간은 바보같은 그 아이를 함부로 대하지 못하게 만들어주는 계기가 될지도 모르겠다. 적어도 그 아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시간을 주는 계기. 동화는 동화로 끝나지 않고 동화를 읽는 아이들의 실생활로 적용된다. 아이들은 이 동화를 통해 기존에 가졌던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