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치 효과 Harvard Business 경제경영 총서 31
프란스 요한슨 지음, 김종식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47쪽
교차적 혁신의 특징
놀랍고 매력적인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비약시킨다.
참신한 분야를 개척한다.
창안자는 추종자를 끌어 모으며, 그들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
앞으로 몇 십 년간에 걸쳐 지향적 혁신의 원천을 제공할 것이다.
전례 없는 방식으로 세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155쪽
우리가 브레인스토밍을 제대로 실행하면 오히려 교차적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중략)
첫째, 그룹별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기 전에 구성원 개개인이 먼저 약 20분간 브레인스토밍을 미리 진행한다. 그러면 실제 브레인스토밍에서 아이디어를 잊어버릴까봐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브레인스토밍 진행자는 문제를 명확하게 진술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둘째, 그 다음에는 구성원들을 모아 집단 회의를 시작한다. 단 구성원들이 돌아가면서 목록을 읽어서는 안 된다(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서로의 아이디어에서 힌트를 얻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모든 참가자들로 하여금 회의 속도를 좀더 신속하게 하고, 또 이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한다. 끝으로 발언이 끝날 무렵에 참가자들의 아이디어에 대해 모두 난상토론을 실시한다.

162쪽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이를 즉시 판단하지 않고 조금은 미뤄두는 게 현명하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은 교차적 통찰력의 가치를 기존 분야에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것과 비교하여 판단하기 쉽다. 하지만 기존 분야는 우발적인 발상의 결합에서 비롯된 아이디어를 평가하기에 좋은 지침이 되지 못한다. 그 대신에 냉정한 관점에서 이 교차적 아이디어를 평가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교차적 아이디어를 생각할 시간을 두고서 판단하는 게 더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