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하지 않으면 몸을 완전히 맡길 수 없어. 춤을 출 때만은 나를 사랑한다고 생각해!"

 <댄서의 순정>이라는 영화의 모든 것을 말해주는 대사이다. 영화 속에서 사랑하는 여자에게 버림받고 무릎도 다치게 된 1급 스포츠 댄스 트레이너 나영새. 그가 연변처녀 장채린에게 춤을 가르치며 던진 말 한마디. 영새는 채린에게 춤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 사랑을 가르친 것이고, 채린은 영새에게 춤을 배운 것이 아니라 사랑을 배운 것이었다.

 1급 스포츠 댄스 트레이너이자 댄서였던 나영새는 자신이 가르쳐서 파트너로 삼은 사랑하는 여자 세영을 라이벌이자 재력가인 현수에게 빼앗긴다. 그리고 대회도중 현수의 고의적인 행위로 무릎을 심하게 다쳐 그 바닥을 뜬지 오래다.

 하지만 선배 상두의 권유로 중국에서 나름대로 유명한 연변처녀를 파트너 삼게 되는데 이런! 기대했던 연변처녀는 안오고 그녀의 19살 먹은 동생 장채린이 와버렸다. 몸치다.

 하지만 영새는 순수한 그녀를 가련함 반, 동정심 반으로-그거나 그거나- 파트너로 받아들이고 몸치에서 최고의 댄서로 변신시킨다. 하지만 또 현수의 작업이 시작되고, 결국 그녀는 영새를 위해 현수에게 가고, 결국 댄스 스포츠 대회서 발군의 실력을 자랑하며 우승한다.

 어쩌면 <댄서의 순정>은 오직 문근영을 위한, 문근영에 의한, 문근영의 영화인지도 모른다. '문근영'이라는 이름 석자는 이제 더이상 우리에게 어린 여배우 정도로 인식되지 않고 다른 어떤 일급 여배우들과 견주어도 뒤쳐지지 않는 하나의 문화권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문근영' 이라는 이름만으로도 어느 정도의 상업적인 성공은 보장받는다.

 <댄서의 순정>이 아쉬운 점은 바로 그런 점이다. 어떤 사람은 이 영화를 향해 이런 지적을 했다. 우리나라에는 진정한 댄스영화가 없다. 댄스를 소재로 하고 있지만 정말 말 그대로 영화 속에서 댄스는 소재로서 쓰였을 뿐이라는 말이다. <댄서의 순정> 역시도 문근영이라는 자라나는 문화권력(?) 앞에서 댄스는 묻혀지고 말았다. 관객은 댄스를 보러 영화관에 가지 않고 문근영을 보러 영화관에 간다. 나 역시도 그러했고.

 어쩌면 이 영화가 댄스를 위한 영화가 되길 바라는 것은 우리의 소망일지도 모른다. 감독도 그런 의도로 작품을 만든 것이 아니고, 배우도 그런 의도로 연기를 한 것이 아닌데 일부 관객들이 그렇길 바라는 희망사항일 뿐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영화에 아쉬움은 표하지만 영화를 비판할 수는 없다.

 댄스가 주가 되기 보다 배우가 주가 되긴 했지만 어쨌든 문근영과 박건형은 이 영화에서 대단한 댄스 실력을 보여주었고 우리는 충분히 볼거리를 보상받았다. 아니 어떻게 저렇게 잘 출 수가 있나. 물론 카메라 효과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정말 단기간에 이와같은 댄스실력을 키웠다는 것이 대단하게 보인다.

 마냥 어리기만 할 것 같은 문근영이 이제 고3이 되었고, 곧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서서히 그녀는 연기변신을 시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바쁘고 공부 열심히 한다는 고3이 연기를 병행하면서 이만한 성과를 낸다는 것은 개인의 부단한 노력없이는 불가능할 것 같다. 그녀는 또 공부도 잘 한다고 하지 않는가. 이쁘고, 공부 잘하고, 연기도 잘 하고 뭐 하나 빠지는 거 없는 문근영. 그녀를 주목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