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구판절판


"배고픔의 경우에는 요구의 표시가 점진적으로 나타나며, 시간의 경우에 따라서 그 요구의 흐름을 인식할 수 있다."-24쪽

"전화는 전화를 하지 않는 연인의 악마 같은 손에 들어가면 고물 도구가 된다. 이야기는 전화를 거는 사람의 손에 놓여있다. 전화를 받아야 하는 사람은 그 이야기의 전개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다. 따라가기만 할 뿐이다. 전화가 걸려왔을 때 대답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전화는 나를 수동적인 역할로 묶어놓았다."-30쪽

"지하철에서 어떤 여자의 다리가 지금처럼 내 다리를 스쳤다면 나는 그냥 지나쳤을 것이다. 그러나 클로이의 경우 나는 의미가 자체 내에 담겨 있지 않고, 문맥에 의해서, 독자에 의해서 부여될 수 밖에 없는 행동을 이해하려고 했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35쪽

"구애하는 위치 때문에 나는 내 마음에 드는 것은 무엇일까? 하고 묻지 않고 그녀 마음에 드는 것은 무엇일까? 하고 묻게 되었다. 내가 보기에 내 타이가 어떤가? 하고 묻지 않고 그녀가 내 타이를 어떻게 볼까? 하고 묻게 되었다. 나는 사랑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의 눈을 상상하고 그 눈을 통하여 나 자신을 보게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 가 아니라 나는 그녀에게 누구인가? 였다."-44쪽

"진정한 자아라는 것은 같이 있는 사람에 관계없이 안정된 동일성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전제한다."-45쪽

"구애란 연기의 한 형식으로, 자연스러운 행동에서 청중에 의하여 결정되는 행동으로 옮겨가게 된다. 배우가 관객의 기대를 어느 정도 파악해야 하듯이, 구애하는 사람도 사랑하는 사람이 무슨 말을 듣고 싶어할지 알아야 한다. 따라서 사랑받기 위한 거짓말을 결정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주장이 있다면, 그것은 구애하는 배우는 자신의 관객이 무엇에 감동을 받을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연기를 정당화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원래대로의 행동과 비교할 때 그것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54쪽

"생각만큼 섹스와 대립하는 것은 없다. 섹스는 육체의 산물이다. 무분별하며, 디오니소스적이며, 직접적이며, 이성의 굴레로부터의 해방이며, 희열을 동반한 육체적 욕망의 해소이다. 이와 비교하면 생각은 병, 질서를 강제하려는 병적 충동, 흐름에 굴복하지 못하는 침울한 정신의 상징과 다름없어 보인다. 내가 섹스를 하는 동안에 생각을 했다는 것은 성적 교류의 근본 법칙을 어긴 것이며, 타락 전의 생각없는 영역조차 제대로 보존하지 못하는 죄를 저지른 것이다."-58쪽

"정신이 전통적으로 비난을 받아왔다면, 그 이유는 정신이 분석불가능한 것으로 여기지는 원인들에 대해서도 통제력을 포기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62쪽

"인간은 둘로 나누어져 행동을 하는 동시에 뒤로 물러서서 자신이 행동하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분열로부터 반성이 나타난다. 그러나 보는 자와 보이는 자 사이의 분열을 다시 통합할 수 없다면, 어떤 활동에 참여하면서 자신이 그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을 수가 없다면, 그것은 자의식 과잉이라는 병이 된다."-63쪽

"사랑을 바라지만, 자신의 진정한 자아가 드러나면 상대가 실망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이 마르크스주의의 고전적인 사고방식이다."-76쪽

"당신이 지금 나를 사랑한다면, 그것은 당신이 내 전체를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일 당신이 내 전체를 보지 못하고 있다면, 언제 당신이 내 전체를 보게 될까 초조해하며 당신의 사랑에 익숙해져가는 것은 바보짓이다."-76쪽

"알베르 카뮈는 우리가 다른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것은 그 사람이 밖에서 보기에는 육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나 '모두'아주 완전해 보이고, 주관적으로 자신을 보면 몹시 분산되어 있고 혼란스럽기 때문이라고 말했다."-81쪽

"가장 사랑하기 쉬운 사람은 우리가 얼굴이나 목소리에서 읽을 수 있는 것 외에 자기 자신에 대해서 말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어쩌면 맞을지도 모르겠다."-90쪽

"차이를 농담으로 바꿀 수가 없다는 것은 두 사람이 서로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표시이다. 유머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일어나는 짜증의 벽들을 따라서 늘어서 있었다. 농담 뒤에는 차이에 대한, 심지어 실망에 대한 경고가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이제 긴장이 완화된 차이였고, 따라서 상대를 학살할 필요 없이 벽을 넘어갈 수 있었다."-110쪽

"플라톤은 요소들이 서로 상응할 때에만 대상이 적절한 균형을 통해서 역동적 고요와 자기 완결성을 지닐 수 있다고 했는데, 바로 그것이 그녀에게는 빠져 있는 셈이었다. "아름다움과 탁월함을 구성하는 것은 언제나 치수와 비례라는 특질들"이라는 플라톤의 말이 맞다면, 클로이의 얼굴은 아름다움과 탁월함을 결여한 셈이었다."-113쪽

"사랑이 없으면 우리는 제대로 된 정체성을 소유할 능력을 상실한다. 사랑 안에서 자아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161쪽

"사랑의 경계에는 두 가지 해체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너무 많은 시선 밑에서 살아감으로 해서 생기는 해체이며, 또 하나는 너무 적은 시선을 받으며 살아감으로 해서 생기는 해체이다."-163쪽

"사랑이 거울처럼 우리의 모습을 되돌려주는 것이라면, 고독은 거울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다. 그러면 상상력은 우리의 얼굴에 있는 베인 상처나 점을 자기 마음대로 꾸며내게 된다. 거울의 폐해가 무엇이든, 적어도 우리에게 우리 자신에 대한 느낌을 되돌려준다는 점, 우리의 가없는 상상력에 대응할 수 있는 분명한 윤곽을 부여한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165쪽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철학자들은 정체성을 보장받는 다는 것이다. 정체성이란 무엇인가? 어쩌면 그것은 사람의 경향을 둘러싸고 형성되는 것일지도 모른다 :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내가 누구냐 하는 것은 많은 부분 내가 무엇을 원하느냐로 구성된다."-189쪽

"나는 클로이를 사랑했고, '그리고 나서' 클로이는 떠난 것이 아니다. 내가 클로이를 사랑'했기 때문에' 클로이가 나를 떠난 것이다."-252쪽

"죽음이란 그 의미를 문자 그대로 따르는 행동이라서 나에게 상대가 그 비유를 읽어내는 것을 볼 기회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러니였다."-259쪽

"자살의 쾌락은 유기체를 죽이는 끔찍한 일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죽음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에 있었다. 따라서 나 자신을 죽이는 것은 죽게 되면 나의 소멸이라는 멜로드라마로부터 어떤 기쁨도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린 행동일 터였다."-259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3-14 1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