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문,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 조선 과거시험의 마지막 관문
김태완 엮음 / 소나무 / 2004년 8월
구판절판


"다산 정약용이 과거의 폐단과 모순을 심각하게 느끼고, 추천을 통한 인재선발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했을 때, 프랑스 계몽주의자들은 오히려 과거야말로 철인이 다스리는 이상국가의 인재선발 방식이라고 생각했다는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이다."-12쪽

"세상에는 생기기 쉬운 폐단과 구제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습니다. 생기기 쉬운 폐단은 사물의 폐단이고, 구제하기 어려운 폐단은 정신의 폐단입니다. 구제하기 어려운 것이 먼저 나타나고, 생기기 쉬운 것은 뒤에 나타납니다. 정신의 폐단은 원인이고, 사물의 폐단은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나무가 병이 들면 좀이 쓸고 젓갈에 악취가 나면 구더기가 들끓는 것처럼, 술의 폐해가 어찌 정신의 폐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겠습니까?"(김구, 1488-1534, 성종 19-중종 29)-67쪽

"사회의 모순은 가난이 문제가 아니라, 분배의 불균형이 더 큰 문제이다. 빈부의 차이가 심할수록 사회는 불안정하고, 변화와 개혁을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결국 정치적 안정을 이루는 길은 극심한 빈부차이와 같은 사회경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다."(박광전, 1526-1597, 중종 21-선조 30)-223쪽

"문화란 예의와 절도의 결인데, 곧 '문리가 상세하고 분명하다'라고 할 때의 문화입니다. 공경함이란 '경건해서 안을 곧게 한다'는 뜻의 공경함입니다. 먼저 경건함으로써 안을 곧게 하고, 그 다음으로 문화로 바깥을 분명하게 드러내야 합니다. 그렇게 하면 인재를 얻는 근본이 여기서 갖추어질 것입니다."(김효원, 1532-1590, 중종 27-선조 23)-242쪽

"당쟁이란 정치이념이나 정치적 지향점이 서로 다른 당파가 정치이념을 두고 투쟁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쟁 그 자체는 정치의 후진성을 나타내는 현상이거나 사회분열을 초래하는 원인이라 할 수는 없다. 오히려 당파 사이의 당쟁이 없는 전제나 독재체제가 제도적 측면에서는 더 후진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선시대의 붕당을 근대적 정당에 곧바로 연결시킬 수는 없다. 근대적 의미의 정당이 정치적 이상의 실현을 위해 같은 정견을 가진 사람끼리, 정치권력에 참여할 목적으로 결성한 정치 단체라는 점에서는 붕당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정당은 국민 대다수의 의사를 반영하는 기구라는 점에서 대의 정치의 기반이 되는 조직이다.
이에 반해 붕당은 근본적으로 관료집단의 이해관계와 이념을 중심으로 결합된 조직이다."-250쪽

"재능은 평상시라면 쓸 수 있지만, 비상시에는 쓸 수 없습니다. 그러나 덕은 비상시에나 평상시에나 일관되게 쓸 수 있습니다. 그러니 과연 비상시에 쓸 수 없는 재능으로 비상사태를 만나서, 정도로 대응하거나 이치에 어긋나지 않게 할 수 있겠습니까?"(김의정, 1495-1548, 연산군 1- 명종 3)-266쪽

"원래 교육이란 글자에는 가르치고 길러서 선으로 이끌어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敎는 위에서 베푸는 것을 아래에서 본받는 것이고, 育은 자식을 길러서 착하게 만드는 것이라 했다. 위에서 베푸는 것이란 어른이 모범되는 것을 어린이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아래에서 본받는 것이란 어린이가 어른이 전해준 모범을 몸에 익히는 것이다."-319쪽

"교육은 국가가 필요한 인력을 공급하는 수단만이 아니다. 교육의 고유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어린이가 한 성인으로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세계관과 건전한 의식을 갖도록 이끌어가는 것이다."-3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