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을 언도받은 죄수가 형 집행 바로 직전에 어쩌면 최후의 순간에 이르러 집행유예를 받게 될지도 모른다는 환상을 갖게 된다." (집행유예의 환상 중)-31쪽
"강제수용소에서 살았던 우리들은 막사 앞을 지나가던 죄수가 다른 사람들에게 위로의 말을 던진다든가, 그들에게 마지막 남은 빵조각까지도 주고 가던 광경을 아직도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할지 모르지만 그들은 한 가지 만족할만한 확증을 제시하고 있다. 즉 한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갈 수 있어도 단 한가지, 주어진 어떠한 환경에 놓이더라도 자기의 태도를 선택하고 자기 자신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남은 자유만은 빼앗아 갈 수가 없다는 사실이다."-112쪽
"모든 개인을 구별하고 개인의 실존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특이성과 유일성은 인간에게 베푸는 사랑 못지 않게 창조적인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사람이 자기를 대신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 자신의 존재에 대한 책임과 계속 살아 남아야 할 책임이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게 된다. 한 사람이 그를 지극한 애정으로 기다리고 있는 인간에게나 완성되지 않은 작업에 대해 지고 있는 책임감을 의식하게 된다면 그는 결코 자기의 삶을 내던질 수 없게 될 것이다. 그는 그가 실존해야 할 '이유'를 알고 있으며, 어떠한 곤경에도 참고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134쪽
"모든 일이 꿈속에서 느끼는 것처럼 실제 같지도 않고 비슷하지도 않게 보인다. 우리는 자유가 진실이라고 믿을 수 없었다. 흘러간 몇 년간 우리들은 꿈속에서 얼마나 자주 속아왔던가!(비인격화 현상)" -148쪽
"정신분석에서 인간이 본능적인 것에 관하여 의식하게 되는 반면에 실존분석이나 로고데라피에서는 인간이 그 어떤 심령적인 것, 혹은 실존적인 것을 의식하게 된다. 왜냐하면 인간적이 된다는 것은 인간의 영성, 혹은 실존의 관점에서만 책임지는 존재라는 말로 묘사될 수 있기 때문이다."-237쪽
"나는 인간적이 된다는 것은 실존적으로 그 자신의 실존에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240쪽
각주에서... 프리드리히 폰 쉴러 "영혼은 이야기를 하는 그 즉시 이미 이야기를 하고 있는 영혼일 수는 없다."-300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