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중이 돌아왔다. 그런데 강력계 꼴통 형사가 아니라 강력계 꼴통 검사로 업그레이드(?) 되어 돌아왔다. 여전히 그가 꼴통인건 사실이지만 예전과 같이 마냥 계획없는 꼴통이 아니라 너무나 정직하고 순수하고 정의감에 넘쳐서 '원칙'만을 고수하는 꼴통이다. 검사도 너무 원칙주의자면 주위 사람이 피곤하다.

 <공공의 적 2>를 보고난 감상은 전편만큼의 톡쏘는 듯한 유머감각은 없고 범죄단위는 더 커지고 대범해졌지만 보는 이로 하여금 적에게 분노를 느낄 수 있는 만큼은 아니었다. 죄목만으로 치자면야 정준호가 이성재보다 훨씬 심하지만, 이성재만큼의 악독한 면은 없었다는 말이다. 어쩌면 정준호라는 배우자체가 지금껏 너무나 순수하고 착하고 다정한 역할만을 해왔기에 그리고 그의 외모에서 풍겨지는 푸근함이 악독한 범죄자가 되기에는 부적합했는지도 모른다.

 오로지 감으로 믿고 기획수사를 하는 강철중 검사와 느낌으로 수사하는 그의 수사관들은 밤낮 할 것 없이 제대로 먹고 자지도 못하면서 수사를 강행한다. 이들에겐 오로지 나쁜 놈 때려잡는 것만이 다른 욕심을 대신하는 길이다. 그것도 '그냥 나쁜 놈'은 안된다. '공공의 적'을 잡아야한다. 겉으로는 사회 저명인사이면서 항상 웃고 다정한 사람이 속으로는 그만큼 독할 수가 없다. 아버지 살해 교사, 형 살해 교사, 청소부 살해, 거래자 폭행, 현직 검사 살인 미수, 검사 대신 수사관 살해 교사, 환치기 등 그의 범죄목록은 끝이 어디인지 안보인다. 순박한 검사 강철중은 오로지 그를 잡기 위해 목숨을 건다.

 영화 <공공의 적 2>의 또다른 매력은 <공공의 적 1>에서 나왔던 인물들이 고스란히 화면 속에 보인다는 것이다. 그의 상관이었던 형사반장은 부장검사로 태어났고, 1편에서 그를 졸졸 따라다녔던 두 양아치는 영화 마지막에 '그냥 나쁜놈'으로 다시 등장한다. 1편을 봤던 사람이라면 2편을 보면서 내가 아는 이들이 다시 나오는 재미 또한 느꼈을 것이다. 2편에서 부장검사로 태어난 강신일씨는 그의 본명을 따 영화 속에서도 김신일로 불리우며 전편보다 더 비중있는 역할을 한다.
 
 또 한가지 엄정화의 동생 엄태웅이 정준호의 수행비서로 나오는 것도 볼거리다. 그다지 대사도 별로 없는 역할이었지만 이 영화를 통해 톡톡히 관객에게 얼굴도장을 찍은 셈이다. 

 이 영화는 오늘날 아무렇지 않게 벌어지고 있는 악독재벌과 정치권의 결탁을 보여주고, 부패에 찌든 검사와 함께 정의가 살아있는 검사를 함께 등장시킴으로써 아직 우리에겐 약자를 위한 '법'과 '정의'라는 것이 남아있음을 느끼게 해준다. 정의가 살아있다는 것은 힘겨운 현실을 살아가는 다수의 약자들에겐 힘이다. 이 영화가 짜릿한 쾌감을 전해주는 것은 바로 정의가 살아있기 때문이다.

 다음달 사법고시를 볼 나의 친한 친구 재성이에게 이 영화를 추천하고 싶다. 그는 검사를 꿈꾸고 있다. 바로 강철중과 같은 정의사회를 구현하는 정의로운 검사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