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희랍 철학 입문 - 탈레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W.K.C.거스리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0년 4월
평점 :
<희랍철학입문>은 내가 경제학과에서 철학과로 전과를 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구입한 책이다. 당시 막 철학을 시작하는 나는 코플스톤의 <그리스 로마 철학사>와 함께 이 책을 읽었고-읽었다는 말은 순전히 학교 수업시간에만 읽었다는 말이다. 사실 졸업을 3주앞둔 마당에도 난 둘다 제대로 읽지 않았다- 그리스철학을 접한 접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희랍철학입문>은 제목 그대로 희랍철학에 들어서는 입문서로서 적당한 책이다. 저자 또한 이 책은 원래 고전 이외의 과목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저자가 강연한 것을 토대로 해서 재집필 한 것이라고 하였다.
저자는 거스리라는 사람으로 켐브리지 대학의 고대철학 교수였다고 한다. 그의 최대 저작인 6권으로 이루어진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의 축약본이 이 책이라고 하는데, 그만큼 이 책이 희랍철학의 중점사안들을 요약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번역자 박종현 또한 우리나라에서 철학을 시작한 사람들 중의 한 사람으로 이미 플라톤의 <국가>라는 두꺼운 책을 번역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나는 이 책을 꼼꼼히 읽지는 않았다. 이미 학부시절 그리스 로마 철학을 너무 많이 접해-제대로 알지는 못하지만- 비슷한 문장과 내용을 반복해서 보는 것에 이력이 났고, 앞으로도 봐야하는데 짜증이 더해질까봐 속독했다.
그러나 이 이 책의 앞 부분 3장인 '운동의 문제'까지는 제대로 읽었다. 왜냐하면 1장에서 3장까지에 걸쳐서 철학에 자주 등장하는 헬라어가 소개되어 있으며, 간략하게 그 단어 하나하나들을 짚고 넘어가면서 뜻풀이를 해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철학을 공부했다고 하나 그러한 기본적인 헬라어마저 머리에서 가물가물 거리고 있는 내가 한심스럽기도 하지만 나중에 다시 '가물가물' 거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그 부분은 짚고 넘어갔다.
이 책의 장점은 그것이다. 철학의 아주 기본적인 논쟁거리와 기본적인 개념들을 짚어주고 있다는 것. 그러나 단점은 설명이 다소 장황하고 지나치게 세부적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입문자들이 읽기에는 지루한 감도 없잖아 있다. 난 입문자라고 칠 수 없음에도 지루했다. 그래서 오래끌기전에 속독해버린 것이다.
참 한가지 더 말하자면, 이 책의 마지막에 붙어있는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지도는 철학사를 공부하며 나오는 지명들을 익숙하게 만들어줄 것이라고 본다. 어느 철학책에도 이런 지도는 나와있지 않았는데 참고하기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