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
가토 히사다케 지음, 표재명 외 옮김 / 서광사 / 199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사보는 데에는 상당한 돈이 지불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관심가는 책이 눈에 띄더라도 흥분된 마음을 자제하고 집에 묵혀둔 책들로 눈을 돌리곤 한다. 갈수록 돈 들어갈 데는 많고 사고픈 책들은 많은데 양자 사이에 절충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현대 윤리에 간한 15가지 물음> 이라는 책은 99년에 내가 경제학부에서 철학과로 전과한 뒤 들은 첫학기의 수업 '윤리학'을 통해 알게 되었다. 주교재는 아니었고, 단지 수업중 교수님께서 잠깐 언급했을 뿐이었지만 처음 철학에 입문한 나는 뭘 읽어야할지 몰랐기 때문에 일단 수업중 언급되는 책들을 중심으로 사보기 시작했다.

<현대 윤리에 관한 15가지 물음>은 가토 히사다케라는 일본의 철학교수가 지은 책을 그의 제자인 경북대 윤리교육학과 출신 김일방, 이승연씨가 번역하고, 고려대 철학과 표재명 교수가 최종적으로 검토해 출간한 책이다.

가토 히사다케는 본래 도쿄대학 철학과를 나와 헤겔철학을 전공했으나, 이후에 윤리학에 관심을 보이며, 생명윤리, 환경윤리, 응용윤리 등 각종 윤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한다. 나는 잘 모르지만. 그렇다고 하더군.

본래 일본에서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에서 원고로 읽히던 것을 책으로 엮어낸 것인데, 일단 일본에서 윤리학을 가르치는(?) 혹은 윤리학을 다루는 대중을 상대로 하는 라디오 방송 프로그램이 있다는 현실이 부럽다. 방송에서 이렇게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일단 이 방송 프로그램을 들을 만한 청자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라디오 방송의 원고를 듣는 형식이 아닌 읽는 형식으로 바꾸어 책으로 낸 것이 이 책인데, 사실 나는 이 책을 읽는 동안 저자가 대중을 상대로 썼다는 의도는 알겠는데, 대중이 이를 얼마나 알아들을지가 의문이었다. 이 책의 단점은 첫째가 그것이다. 일반 대중이 듣기에는 다소 어려운 면이 보였기 때문이다. 물론 대중을 상대로 하기 위해 각종 다양한 예시를 들은 것에는 긍정적 평가를 내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는 윤리학적 이론의 지식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런점에서는 그다지 대중적인 책이라고 하기엔 무리이지 싶다.

두번째 단점은 번역상의 문제다. 이 책에는 쉽게 우리말로 번역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을 대상으로 한 책이면서 철학자들만이 알아듣는 단어 사용을 한 곳이 곳곳에 눈에 보인다. 일단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 프리오리(A priori)'라는 단어로 이는 본래 라틴어로서 '보다 앞선 것으로부터'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우리말로는 '선천적'이라고 번역해도 무방할 것이다. 칸트에게 있어서는 이 개념은 좀더 세밀하게 분류할 수 있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논리학의 형식적 규칙들이 아프리오리하게 인식되는 유일한 것이 아님을 증명하려고 했다. 우리가 세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은 아프리오리한 요소에 근거를 둔다. 대상은 이 형식 안에 주어지며, 인식은 오성의 아프리오리한 개념에 근거를 둔다. 우리는 이 개념을 통해서 대상을 사유하고 경험을 조직한다. 칸트에게 아프리오리는 '선험적'과 '초월적' 두가지로 나눌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독일어 tranzendental은 칸트에게 '선험적'이란 뜻이며, 이는 tranzendence 인 '초월'과 '경험'의 중간에 위치하는 개념이다. 뭐 '아프리오리'라는 개념의 번역을 어떻게 하느냐는 문제 때문에 칸트를 언급하기는 했지만, 칸트가 언급되는 부분이 아니니 '선천적'이라는 우리말로 번역해도 무방하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어쨌든 이러저러한 이유로 이 책은 별로 추천하고픈 책은 아니다. 언급한 대중성과 전문성 사이에서의 부적절한 위치나 번역상의 다소간의 문제점, 그리고 각각의 15가지 질문들과 대답이 엮어내는 체계성과 완결성의 부족함으로 썩 읽고싶게 만드는 책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