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서주의자의 책 - 책을 탐하는 한 교양인의 문.사.철 기록
표정훈 지음 / 마음산책 / 2004년 10월
품절


"나는 군중을 싫어한다. 군중이 모인 곳에서는 저항할 수 없는 신비한 영향력과 괴상하고 참을 수 없는 불편함을 느낀다. 사람이 혼자 있을 때는 지성적이지만 군중과 섞이면 지적인 창의력, 자유의지, 분별있는 사고력과 통찰력 등이 사라진다. 그래서 나는 축제가 벌어지는 거리에도, 극장에도 잘 가지 않는다." (모파상 인용)-49쪽

"한 권의 책은 한 명의 저자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무한한 수의 저자들을 갖는다. 그것은 그 책을 읽은 사람, 읽는 사람, 읽을 사람들 전체가 창조행위에 있어서 책을 쓴 사람에게 마땅히 보태어지는 까닭이다. 쓰여졌으나 읽히지 않은 책은 온전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반존재만을 가졌을 뿐이다."(미셸 투르니에의 <흡혈귀의 비상>에서)-130쪽

"모든 사물 현상과 세계를 정확히 알고 모든 문제를 투명하게 생각하고 풀어나가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말의 의미를 정확히 규정해서 사용하는 일이다. 한 낱말의 올바른 의미규정을 개념이라고 부른다. 개념이 분명하면 할수록 그 대상에 대한 인식이나 사유는 그만큼 상대적으로 확실하고 분명해진다."(박이문 <사유의 열쇠>중)-222쪽

"책과 마주치는 기쁨은 사람과 마주칠 때의 기쁨과 똑같다. 독서의 기쁨은 해후의 기쁨이다. 그런데 모든 역사적 사건이 단순한 우연이 아닌 것 같이 독서에서의 해후도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해후란 말은 한편으로 어느 필연성을 뜻해야 한다. 완전히 우연하게 마주친 것 같지만 그것이 역시 필연이었다고 끄덕일 수 있는 것이 해후이기도 하다. 그것은 단순한 외적인 필연성이 아니라 오히려 내적인 필연성이다. 이래하여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해후했고, 괴테와 실러도 해후했다. 독서에서도 똑같이 혹은 스승으로서의 혹은 친구로서의 책과 해후하게 된다. 일생 이런 해후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아무리 많은 책을 읽어도, 결국 아무것도 안 읽은 것으나 마찬가지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그런 해후를 경험할 수 있을까? 스스로 구해야 한다. 구하는 것이 없는 자는 마주치는 일도 없을 것이다. 가령 마주친다해도 그것임을 모르고 지나칠 것이다." (미키 기요시 <독서론>)-121쪽

"결혼이란 최상의 칭호를 달아준다해도 일종의 독점이며 가장 불쾌한 것들 가운데 한 가지다. 세상의 신혼부부에 나타나는, 특히 신부의 얼굴에서 풍겨지는, 혼자 봐줄 수 없는 그 득의만면한 꼴하고 만족해하는 꼬락서리라니, 그 이상 나의 비위를 건드리는 것은 없다." (찰스램 <엘리아 수필집> )-124쪽

"내가 여태까지 이야기한 사람들보다도 더 무서운 약탈자가 있다. 바로 책을 빌려가는 족속들 말이다. 장서를 훼손시키는 자들, 서가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자들, 짝이 맞지 않는 책을 만들어내는 자들."(찰스램 <엘리아 수필집>)-124쪽

"책이 우리의 내면에서 활동할 때 우리는 조금도 수동적이지 않다. 책읽기는 무미건조한 일인가? 우리는 우리가 읽은 것으로 만들어진다. 까맣고 하얀 차원이 없는 철자들이 줄 서 있는 데서 우린 색깔을 만든다. 냄새와 동작, 그리고 울림을 만들어 낸다. 책에서 아픔과 불안이 나타날 경우 그것이 우리가 경험했던 아픔과 불안과 더불어 인생에 자극을 주지 못하면 책은 단지 종이로 남아 있을 따름이다."(마르틴 발저 <어느 책 읽는 사람의 이력서>)-130쪽

"내가 다른 사람들과 같은 정도로 책을 읽었다면 다른 사람들과 같은 정도에 머무르고 말았을 것"(토마스 홉스)-266쪽

"책읽기 가장 좋은 곳은 침상, 말안장, 화장실이다. 책 읽고자 하는 뜻이 진실하다면 장소는 문제될 게 없다." (송나라 구양수)-26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