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생태계 살리기 - 자기기만과 무기력을 넘어
변정수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12년 9월
장바구니담기


그렇다면 책의 미래는 어떻게 하면 잃어버린 독자를 다시 만들어 낼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답은 다 나와 있다. 다른 삶에 대한 경험의 폭과 깊이가 삶의 질을 고양시키는 결정적이거나 최소한 유력한 요인이라는 믿음, 그렇게 축적된 인문적 교양이 자신이 속한 일상적 커뮤니티에서 자신의 존재를 존중받을 수 있는 결정적이거나 최소한 유력한 준거라는 믿음, 다름 아닌 책이 삶의 지혜를 구하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신의 처지에 대한 판단력을 기르는 데 가장 탁월한 매개라는 믿음을 복원하면 된다. 이 모든 것들이 ‘먹고살 만한’ 사람들이나 누릴 여유가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의 기본권이며 오히려 대다수가 그 최소한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조차 누릴 수 없는 세상을 조금이라도 바꿔나가기 위해서라면 더욱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자각이 우선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바로 이것이 ‘인문 정신’이다.-32-33쪽

책은 읽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고, 읽을 만한 가치가 있어야만 굳이 세상에 존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책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는 그것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은 가치가 있는 것인지 아무도 미리 알 수가 없다. 뻔하디 뻔한 얘기로 여겨지겠지만 이것이 출판산업을 붕괴로 치닫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이다. -47쪽

책 한 권의 ‘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순수하게 그 책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제작비’나 ‘편집비’ 따위가 아니라 실은 일종의 ‘보험료’이다. 애써 만들어낸 책이 결과적으로 팔리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밖에 없는 ‘매몰 비용’이 팔리는 책에 의해 벌충되지 않으면 출판 산업은 지속적인 재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48쪽

인문서 분야에서도 간혹 초대형 베스트셀러가 나오지만, 그 판매량의 대부분이 ‘서가 장식용’이 아니라 ‘독서용’이라고 믿는 순진한 사람들도 거의 없는 것 같다. 분야를 불문하고 책들의 외양이 ‘읽기 편하게’보다는 ‘들고 다니거나 꽂아두기에 폼 나게’에 더 치중하는 것이야말로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에 정직하게 대응한 결과일 것이다. -58쪽

(2008년 단행본 출판 시장의 전년도 대비 매출 30% 감소) 책이 일종의 생산재라는 교과적인 믿음과는 달리, 대중들에게 책이 선택가능한 소비재 가운데 하나로 기능하고 있음을 여실히 방증한다. 책은 더이상 ‘마음의 양식’이 아니라 언제든 다른 소비재로 대체될 수 있는 ‘즐길거리’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즐길거리’라는 측면에서만 보자면 대체로 가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낡은 문화상품이라는 것도 어김없는 사실이다.
-137쪽

책이 소비재로 기능하는 한, 출판산업에 미래는 없다. ‘많이 팔리는 책’이 꼭 ‘좋은 책’은 아니겠지만 단순히 유익하고 재미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라고 해서 ‘좋은 책’일 수도 없다. 책이 생산재로 기능하는 선순환 구조를 염두에 둔다면, ‘다른 책을 읽도록 이끌어 주는 책’이 ‘좋은 책’이다. -138쪽

한 사람의 독서 체험에서 중요한 것은 결코 ‘무슨 책’들을 읽었는가도 아니고, 무슨 무슨 책을 ‘얼마나 많이’ 읽었는가도 아니다. 다독은 무조건 권장해야 할 일임에 분명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독서 이력을 보여주기 위한 책 읽기란 공허하고 무의미한 시간 낭비일 뿐이다. 인생에서 가장 외부 세계의 지적, 정서적 자극에 민감한 성장기의 독서 체험이 이렇듯 ‘내면적 성장’과는 거리가 먼 ‘뽐내기를 통한 점수 따기’로 점철되어서는, ‘좋은 책’이 많이 팔리는 것이 아니라 단지 ‘많이 팔리는 책’이기 때문에 더 많이 팔리는 황폐한 출판 시장의 개선을 기대할 수 없다.-141쪽

출판 매체는 다른 매체들의 대체재가 아니라 보완재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책을 읽어야 할 필요, 더 넓게는 매체를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과 소통할 필요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책을 읽지 않는 대신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보고 인터넷 서핑을 하는 게 아니라, 그저 유행 상품을 소비하고 인터넷 게임을 즐기며 일상을 영위한다. 그것이 ‘독자들의 변화하는 욕구’의 정체이다. -147쪽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열 작업을 외주로 진행하는 데에는 또 그럴만한 까닭이 있을 터이다. 우선 상근 인력을 고용하기에는 작업량이 일정치 않거나 지속적인 작업량 유지가 불투명한 경우이다. 주먹구구 경영의 전형적 사례다. 살얼음판 같은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이해가 안 가는 바는 아니나, ‘발등에 떨어진 불 끄기’식의 출판으로는 점점 더 전망이 불확실해지는 악순환에 빠져들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니 그렇게 자신이 없다면 더 늦기 전에 출판을 접으라고 감히 조언하고 싶다.

정작 그보다 더 황당한 것은, 비용 면에서 유리하리라는 터무니 없는 착각이다. 상근 인력으로 고용했을 때 지급해야 할 임금보다 외주 작업비가 더 싸게 먹힌다면, 결과적으로 외주 작업자는 상근 편집자로 취업했을 때보다 더 많은 일을 해야 비슷한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일감이 끊이지 않는다는 요행이 덧붙지 않는다면 생계가 불안정해지는 부담까지 져야 한다. 고도의 정신적 집중을 요구하는 이 일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다면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발상이다. 언감생심 작업의 질을 기대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166쪽

아마도 매일 오후 정시 퇴근을 종용하고 휴일에는 쉬라고 입발린 소리를 늘어놓는 사장들과 중간 관리자들만 모르거나 혹은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것일 게다. 누가 보아도 무리한 작업 일정을 잡아 밤낮없이 매달리지 않으면 도저히 맞출 수 없는 마감을 강요하면서, 근로기준법이 정한 노동시간과 휴일을 지킨다는 선언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가. 회사에서 일을 못 하게 하면 집에 일거리를 싸짊어지고 가서라도 일정은 맞추어야 하는 것을. 이거야말로 ‘눈 가리고 아웅’이 아닌가.

게다가 이토록 단순한 이치를 내놓고 거스르기가 민망한 줄은 아는지 급기야 점점 더 고약한 방어 논리를 창안해내기에 이른다. 일정을 제대로 못 맞추는 것은 편집자의 무능이며, 무능하면 최소한 성실하기라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때 성실이란 남들 쉴 때 쉬지 않고 죽도록 일한다는 의미이다. 유감스러운 일이지만, 그것은 성실한 것이 아니라 미련한 것이고, 설령 일부 편집자들이 무능한 것이 사실이라 해도 편집자를 무능하게 만드는 장본인은 미련함을 예찬하는 작자들이다.-187-188쪽

무리한 일정은 반드시 그 일정을 강행한 사람들을 배반한다는 ‘일정 배반의 법칙’(강무성 전 정신세계사 편집주간이 북에디터 게시판에 올린 글)이 편집자들의 폭넓은 공감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대부분의 편집자들에게 ‘남의 일’이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189쪽

모든 기호가 기호일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의미’란 어차피 임의적인 것이다. 따라서 ‘의미’란 사람과 사람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삶의 관계망 속에서 태어난 것이며, 그러한 한 ‘의미’를 만들어내고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모든 행위는 그 자체로 ‘정치적’이다. 요컨대 모든 문화적 생산물은 그 존재 자체로서 정치적 맥락에 포섭되어 있다. 그 모든 맥락을 무시한 채 문화적 생산물을 가공한다는 것은 무책임한 일일뿐더러 실제로 가능하지도 않은 일이다.
-19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