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50
고미숙 지음 / 책세상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는 최근 고전 리라이팅 열풍의 시작이 된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쓴 고미숙씨의 초기작품이다. 98년부터 책을 써왔던 그녀에게 어쩌면 2001년에 나온 이 책은 초기 저작이라 하기엔 무리일 수도 있겠지만, 그녀가 대중에게 커밍아웃하는데 도움을 주었던 작품이라는 점에서는 이 책은 초기저작이다.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는 역시 값싸고 얇은 책세상문고판 시리즈의 50번째 작품이다. 철학자 탁석산 씨가 이 문고판 시리즈의 첫장을 장식한 이후로 이 시리즈는 학계의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재야 학자들의 데뷔무대가 되고 있다. 그런면에서는 고미숙씨 또한 예외는 아닐성 싶다.

 지금 이 시점에서 고미숙씨는 절반의 성공과 절반의 실패를 맛보았다. 절반의 성공은 대중들에게 그녀의 이름을 각인시킬 정도의 활발한 저작활동을 했고 그 저작들이 일정부분 그녀에게 명예를 안겨주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리고 절반의 실패란 그녀의 책을 읽은 다수의 독자들이 안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연예인들의 안티와 같은 조직적인 안티카페를 만들어 불매운동을 벌인다거나 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그녀의 글쓰기 방식과 내공에 딴지를 거는 이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그녀 스스로가 자신을 업그레이드 하는 수밖에는 없겠다. 하지만 대중적 글쓰기 라는 점에서 그녀의 글이 읽기 쉬운 것은 사실이고 이점은 장점으로 인정을 해도 좋을듯 하다.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를 통해 그녀는 지금까지의 한국의 근대성이 이론이나 사상사를 통해 이루어져 한국의 근대가 미화되거나 과잉 해석되었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녀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근대성을 체크해본다.'민족, 섹슈얼리티, 병리학'이라는 부제를 통해서 말이다.

 이 책은 매우 쉽다. 모든 장의 시작이 그녀의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담으로부터 시작해 보편담론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독자가 첫발을 디디기 쉽다. 그리고 다소 독선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그녀의 주장은 지금까지의 논의와 색다르기 때문에 '다양성'의 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그녀는 가라타니 고진과 미셸푸코와 같은 세계적인 석학들의 저서를 통해서 그들의 말을 그들이 본래 주장한 의도와는 상관없이 부분부분을 떼내어 자신의 논지를 전개하는데에 인용하고 있다.

 이 책 안에는 가라타니 고진과 미셸푸코 뿐 아니라 강유위와 신채호도 들어있다. 이는 순전히 그녀가 다방면에 관심이 있기 때문이리라. 하지만 너무 여러 방면에 눈독을 들이다보니 깊이가 떨어지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넓지도 깊지도 않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다지 학문적 깊이는 느끼지 못했다. 이점을 이 책의, 혹은 고미숙씨의 단점으로 지적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