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회를 다녀왔다. 종로에 위치한 피카디리 극장 개관기념 시사회였나보다. 26일에 개관을 앞두고 사람들에게 다시 극장이 열었음을 알리기 위한 시사회여서 그런지 같은 영화를 두고도 여러 상영관에서 동시에 시사회를 가졌다. 한국 영화관의 오랜 역사인 서울극장과 피카디리, 그리고 단성사. 이제 피카디리가 개관했고, 단성사 또한 맞은 편에서 공사 완공을 기다리고 있다. 이제 서울극장으로 편중되던 종로의 영화관객들이 세 곳으로 분류되면 한층 복잡스러움이 가실 것으로 여겨진다.
영화 <노트북>은 정말이지 감동이었다. 다른 어느 로맨스보다도 깊은 여운과 잔향을 일으키는 영화였다. <병 속에 담긴 편지>와 <워크 투 리멤버>를 영화화 한 원작 소설가 니콜라스 스파크스의 또다른 원작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또 이 영화는 작가 스파크스의 장인의 실제 러브스토리라고 하여 더욱 감동을 배가해준다. 스파크스가 장인의 러브스토리를 듣고서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니 그에게도 이 작품은 이전 작품과는 다르게 다가왔을 것으로 보인다.
17살 여름 어느 한 시골마을에 놀러온 도시 소녀와 목공 일을 하는 시골 청년과의 뜨거운 사랑. 그리고 7년간의 헤어짐. 재회. 그리고 사랑. 그 사랑이 맺어졌고, 두 노인이 함께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에서는 눈물이 흐른다. 힘겨운 사랑이었고, 힘겹게 맺어진 사랑이었던 만큼 이들의 사랑은 노년에 이르러서도 절실하다. 마치 17살 처음으로 두 젊은이가 사랑에 빠졌을 때처럼 말이다.
7년간의 공백동안, 두 사람에게는 각기 연인이 있었다. 노아에게도 마을의 전쟁미망인이 있었고, 엘리에게도 돈많고 근사한 마음착한 청년 론이 있었다. 어쩌면 이들 두 사람은 노아와 엘리의 사랑으로 인해 상처를 받은 또다른 아픔의 주인공들이다. 엘리는 노아를 다시 만나기전까지 론을 무척이나 사랑했으니 론에겐 이 사실이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다. 물론 노아에겐 언제나 미망인을 대함에 있어서도 그녀의 눈에서 엘리를 찾았지만 말이다.
무척이나 감동적이었고 중간중간 간혹 두 사람의 서투른 행동과 엉뚱함 때문에 즐겁기도 했던 영화였다. 다시 보고픈 영화.
P.S.
뒷 좌석에는 어떤 나이 지긋한 할아버지 혼자 오셔서 영화를 봤는데, 아니 시사회를 어떻게 신청하고 오셨을까 하는 궁금증도 들었고, 그리고 왜 또 혼자오셨을까 하는 의문도 있었다. 이 할아버지는 영화 내내 "아 참 감동적인 영화야" "사랑은 저렇게 하는거야" "나도 17살에 좋아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우리 지선엄마랑 함께 와서 봐야지" 등등의 영화해설(?)을 하는 바람에 영화에 감정몰입하기 힘들었지만 재밌기도 했다. 할아버지~ 늦지 않았습니다. 할머니와 이쁜 사랑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