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윤리학사
로버트 L. 애링턴 지음, 김성호 옮김 / 서광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의 한 부분인 윤리학만을 따로 떼어놓아 볼 수 있는 개론서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하는 분께 추천할 만한 '딱'인 책이다. 제목과도 같이 이 책은 '서양윤리학사'를 다루고 있다.

 조지아 주립대학에서 교수로 지내고 있다는 에링턴의 저서로, 윤리학 분야에 대해서는 많은 책을 남겼다고 한다. 또한 현재(이 현재가 어느 시점인지는 모르겠다) 20세기 윤리학에 대한 방대한 저술을 준비중이라니 사뭇 기대된다.

 이 책의 옮긴이 김성호는 익히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그의 이름 석자정도는 접해봤을 만하다. 그가 어떤 철학이론에 대해서 대가라서가 아니라 우리가 흔히 철학사를 배울 때 쓰고 있는 교재인 코플스톤의 <합리론>의 옮긴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는 어느 대학에서 교수자리를 쥐고 있지는 않지만 활발한 철학 번역 활동으로 철학 학부생에게도 이름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역시 기반을 확립하지 못한 철학 연구자가 자신의 이름을 빛내는 또다른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가 이를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간에 말이다. 또 의도했다 하더라도 외국의 좋은 철학서를 번역한다는 작업은 고되고 돈도 안되는 일이기에 그에게 더욱 힘내라 말하고 싶다.

 서론이 길었다. 본 책은 아무래도 국내에서는 딱히 다른 경쟁적인 윤리학사를 다룬 철학서가 없는 마당에 독보적인 윤리학 개론서로 읽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 책은 매우 두껍고, 각각의 철학자들에 대해서 세심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처음부터 이 책을 접한다면 질려버리고 말것이다. 하지만 어느정도 윤리학사, 철학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깔려있는 독자에게라면 그의 지식을 더욱 깊이있게 만들기에 적합한 책이라 생각된다.

 소크라테스는 물론이고 소피스트까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 그리고 중세의 윤리설, 홉스, 스피노자, 버틀러, 흄, 칸트, 헤겔, 니체, 20세기의 윤리학이라는 많은 목록을 지니고 있고, 더불어 더 읽어야 할 책을 소개함으로써 윤리학에 있어서는 자기 할일을 다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그 더 읽어야 할 책이 에링턴이 만든 목차 뿐 아니라 옮긴이가 현재 번역되어 있는 철학서 중에서 추천한 더 읽어야 할 책이 함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여기에 나와있는 '더 읽어야 할 책'은 모두 영어원서이기 때문이다.

 지은이가 이 책에서 각각의 철학자들의 윤리학부분을 엮어내면서 아무래도 해당 철학자의 윤리학 저서를 기본으로 하고 이를 풀어내는 형식으로 책을 만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해당 철학자의 윤리학 이론을 소개하면서 그와 반대되는 철학자의 비판과 문제점 모색, 반론 등을 함께 다루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윤리학 저서를 풀어냄으로써 한눈에 알아보기 힘들게 엮여져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는 물론 내가 철학사를 한 눈에 볼 수 없는 지경이기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아무튼 철학을 수박 겉 핥기 식으로나마 4년간 접했다는 내가 볼 때 그런 느낌을 받았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해본다. 그리고 그저 의심으로 끝낸다. 나의 내공의 한계 때문일거라는 스스로의 학문탐독의 소홀함으로 그 이유를 돌리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