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보지 않아도 대충 어떤 내용의 영화이겠거니 짐작이 가는 영화. 그리고 영화를 본 뒤에도 역시 그랬군 하고 영화보기전의 예상을 다시 확인하는 영화. <우리형>은 그런 영화다. 잔잔한 감동을 기대했고, 역시 영화는 튀지 않고 무난하게 잔잔했다. 함께 영화를 본 무리 중 어떤 이는 사람이 죽기 때문에 다소 놀랬다 라고 하기도 하지만 내게는 그냥 그렇게 잔잔했다. 그래서 특별함이 없기에 대박날 영화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있는 감성을 건드리는 영화이기에 실패할 위험부담도 적은 영화다. 신인영화감독 안권태는 그래서 무난한 출발한 셈이 됐다.

 감독이 신인이기에 감독은 위험부담이 적은 영화를 만들어야했고, 무난한 줄거리에, 영화 친구를 연상케하는 구수한 부산사투리, 그리고 원빈과 신하균이라는 뛰어난 배우를 집어넣음으로써 안전빵에 들었다.

 흔히 '언청이'라고 불리우는 선천성 기형아인 형은 항상 공부 1등을 도맡아 한다. 하지만 그의 동생 종현이는 싸움이 1등이다. 그래서 학교에서의 이들의 별명이 '형제는 용감했다'다. 둘이서 공부와 싸움으로 학교를 주름잡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맞짱대결에서 종현에게 모래를 뿌려 비겁한 술수를 쓴 상대방에게 종현이 두들겨맞자 싸움도 못하는 성현은 동생을 구하기 위해 달려들어 물씬 두들겨 맞는다. 이 장면에서 정말 '형제는 용감했다'.

 이들의 어머니는 일찍 남편을 잃고 억척스럽게 살아가며 둘을 키워냈다. 형인 성현이 수술을 정기적으로 받아야하기에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어머니는 형을 끔찍이 아끼지만 동생에겐 차갑다. 종현은 언제나 그런 어머니가 밉다.

 하지만 성현은 자기가 먼저 좋아하기 시작한 미령이를 종현이가 찜하고, 자기가 그리고 써놓은 시를 찢어가 미령이에게 주며 둘이 친하게 되자 화가 난다. 종현은 성현의 이런 마음을 알고 자신을 좋아하는 미령이를 떠나보낸다.

 성현은 고교졸업후 서울대 의대에 들어갔고, 종현은 재수를 하다 때려치고 깡패인 미령의 오빠 밑으로 들어가 동네 사람들이 빌린 돈을 받아내는 일을 한다. 친했던 두식이네 집을 발칵 뒤집어 놓고 돈을 받아냈지만 마음은 너무 아프다. 그래서 일을 그만두지만 미령오빠가 그냥 놔둘리 없다. 비오는 날 실컷 두드려맞고, 한편에서는 종현에게 맞았던 두식이가 종현이 즐겨입었던 옷을 입고 걸어가던 성현의 머리를 돌로 내리찍어 죽인다. 성현이가 종현인줄 알았던 것이다. 두식이는 결국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인 성현이를 자기손으로 죽여버린 셈이 되었다.

  결국 성현이는 종현이로부터 "형"이라고 듣고싶었던 하나뿐인 소원을 듣지 못하고 저 세상으로 가버렸다. 종현이는 비로소 종현이가 죽은 뒤에야 "형"이라고 부른다... 우리...형...

P.S.

  <우리형>에서는 로맨스의 비율은 그다지 크지 않다. 종현이 미령을 떠나보낸 뒤 언젠가 다시 등장할 것 같았던 미령은 이제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이후의 구도는 순전히 형제에게 집중된다. 로맨스는 그냥 양념정도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미령의 역을 맡은, 장길산 귀례아기씨 이보영은 첫 영화출연을 무난하게 소화해냈다. 영화를 보면서 어디서 많이 봤다 싶었는데 장길산의 귀례아기씨였던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부후사 2004-10-10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곽경택 일파가 만드는 부산 사투리 시리즈는 정말 싫답니다.

마늘빵 2004-10-11 0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오랫만에 오셨네요. 부산 사투리에 대한 안좋은 기억이 있으신가요..? 좋고 싫고는 취향문제인듯... 지역의 정치적 성격과는 달리. 아마도 님은 정치색때문에 그런것 아닌지... ^^;

노부후사 2004-10-11 2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치적 색깔이니 하는 거창한 이유와는 무관하고요. 저는 경상도 사투리의 억양이 무섭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