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빌리지>를 봤다. 이 영화에 대해 알고 있던 사전지식은 영화 <식스센스>의 감독이 만든 영화라는 것 하나! 그 영화에서의 의미심장함, 반전 등을 기대하고 관람에 임했다. 그리고 결과는 그럭저럭 만족한다. 이 영화를 이미 본 다른 관객들의 평을 보면 '최악 중의 최악'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그것은 아마도 이 영화에 어떤 극적인 반전이나 긴장감 등이 살아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마치 이 영화는 영화 <도그빌>을 보는 듯 했으니까 말이다. 사실 <빌리지>를 통해 <도그빌>을 떠올리다는 것은 좀 무리일 수도 있다. 도그빌에서는 영화촬영의 배경이나 장소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없는 캄캄한 공간에 하얀색으로 선을 그어 영역을 표시하고 그 안에서 사람들과 만나며 이루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빌리지>의 공간적 영화배경은 극히 한정되어 있다. 왜냐하면 영화자체가 고립된 숲속 마을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더 이상 공간확장을 한다면 이 영화는 전제를 무시해버리게 된다. 하지만 다른 이들의 혹평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영화에 상당한 만족감을 느낀다.

 사방이 모두 숲으로 덮힌 코빙톤 우즈라는 마을에는 소수의 가족들이 각자 자녀를 낳고 자립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하지만 그 어느것 하나 부족함을 느끼거나 심리적으로 불행하거나 하지는 않다. 그야말로 지상낙원인 것이다. 이 지상낙원은 1897년 산업화가 진행된 19세기 후반 사람들의 이기심과 정신의 황폐화, 사회부패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상처를 받은 가족들이 모여 만들어진 공동체이다. 하지만 이 숲을 벗어나면 정체를 알 수 없는 괴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들은 알고 있다. 그래서 이들은 단 한번도 숲의 경계를 넘어선 적이 없다. 이 괴물은 '빨갱이'는 아니지만 붉은 색을 좋아해서 마을에서는 절대 붉은 꽃을 기를 수 없고, 어떤 붉은 색도 용납되지 않는다. 마을의 대소사는 마을의 원로들이 모여 결정한다.
 
  그러던 어느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노아를 치료하기 위해 루시우스는 인근 마을로 가서 치료약을 가져오겠다고 자청한다. 숲을 가로질러서 말이다. 하지만 원로들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루시우스는 단독으로 경계선을 넘었다가 두려움에 다시 돌아온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이후 마을에 괴물이 나타나 집집마다 문에 빨간색으로 선을 그어 경고를 하고, 가죽을 벗겨 죽인 산짐승들을 각집의 문에 걸어놓기까지한다. 사람들은 괴물이 마을을 해칠 것이라며 두려워한다. 한편 아이비와 루시우스가 결혼을 하기로 약속하자, 아이비를 짝사랑했던 노아는 루시우스를 칼로 찌른다.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이비는 인근마을로 가 루시우스를 살릴 약을 구해오겠다고 자청한다. 원로들중 한명인 아이비의 아버지는 괴물에 대한 소문은 모두 거짓이며 지금까지 원로들이 아무도 마을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거짓말을 했음을 밝힌다. 하지만 아이비가 가는 숲길에서 괴물은 나타나고 아이비에 의해 구덩이에 떨어져 죽는다. 그러나 그 괴물은 노아였다. 앞이 보이지 않는 아이비는 그것이 노아라는 사실을 모른채 약을 구해 돌아오고, 결국 실제 거짓이었던 괴물의 존재는 사실이 되어버린다.
 
 왜 워커는 아이비가 다른 마을에서 약을 구해오는 것을 허락했는가? 이 마을에 정착한 1세대는 각자 산업사회와 문명의 폐해를 피해 이곳으로 왔지만, 결국 이곳에서도 노아에 의해 살인이 일어났던 것이다. 그저 평화롭기만 할줄 알았던 고립된 이 숲에서 살인이 일어나자 자신들이 세운 지상낙원이 더이상 '지상낙원'으로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유일하게 루시우스를 치료할 약을 구해오도록 허락했던 것이다. 계속해서 이 마을이 지상낙원으로서 독립된 공간으로 유지되려면 말이다.

 <빌리지>는 단지 문명사회를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화는 아닌듯 하다. 오히려 그에 반해 세워진 독립된 지상낙원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니 말이다. 결국 고난끝에 이 마을은 계속해서 지상낙원으로서 존재하게 되지만, 지상낙원에서 조차도 문명사회의 폐해를 피할 수는 없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영화는 매우 단조롭고 지루하기까지하며 특별한 긴장감을 주지는 않지만 많은 의문을 품게 만든다. 그리고 그 의문에 관객 스스로가 대답하면서 깊은 사유로 나아가는 것이다. 좋은 영화는 화려하고 웃기고 감동적인 영화일수도 있지만, 학문에서의 '철학'과도 같이 새로운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는 영화이기도 하다. 그런면에서 이 영화는 좋은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