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본 것을 포함 영화 <무사>를 통틀어 세 번 봤다. 개봉당시 흥행에 성공하지도 그다지 평이 좋지도 못했지만 이 영화에서는 생각해볼 부분이 굉장히 많다.

 고려시대 사신으로서 명나라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은 이들의 실화를 토대로 꾸며진 영화이다. 사신으로 갔지만 간첩으로 오인받아 귀향지로 가고, 그곳에서 원나라 기병의 습격으로 사막에 고립된 채 살아남는다. 하지만 사막을 지나 도착한 객잔에서 명의 부용공주를 납치한 원기병를 습격 공주를 구해낸다. 부용공주를 좋아하게 된 노비 여솔과 장군 최정. 이후로도 두 사람은 부용공주를 놓고 대립하게 된다. 하지만 최정 장군은 주진군의 대장 진립과도 사사건건 대립하게 되는데...

 영화의 등장인물들은 영화가 진행되어가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캐릭터의 성격을 드러내준다. 그리고 이는 등장인물만이 아닌 영화를 보는 관객을 포함한 모든 인간의 각각의 다양한 인간상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최정은 뛰어난 장군의 아들로서 장군이 되었지만 어려운 상황에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스스로 무능한 장군이라 생각한다. 사적인 감정으로 결국 성공하긴 했지만 무모하게 부용공주를 구해내고 공주가 가고자 하는 곳으로 사람들을 이끌고 간다. 하지만 중간중간 생기는 크고 작은 어려움 속에서 그는 장군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주진군의 대장 진립은 최정과 달리 오랜 풍부한 전투경험과 탁월한 인품으로 시기적절한 대안과 방법, 그리고 자신의 윗사람과 아랫사람을 대함에 있어서도 깍듯하다. 윗사람에겐 공경을 아랫사람에겐 관용을... 그래서 그를 믿고 의지하는 사람이 많다. 활을 굉장히 잘 다루며 대부분의 전투에서 중요한 활약을 한 그는 마지막 전투가 끝난 후 살아남은 유일한 사람이다.

 노비 여솔. 부사 이지헌의 집안 노비로 이지헌이 죽으면서 그는 자유인이 된다. 그는 무예가 출중하고 창을 매우 잘 다룬다. 적장 람불화는 그를 자신의 사람으로 만들고자 하고, 장군 최정은 같은 편임에도 그를 미워한다. 자신보다 무예가 출중하고, 부용공주 역시 그를 좋아하기에 장군인 자신이 노비에게 열등감을 느끼는 것에 힘들어한다. 여솔은 처음에는 이지헌을 위해, 나중에는 부용공주를 위해 살아가다 죽는다.

 역관. 역관은 어찌보면 굉장히 이기주의적이고 자신밖에 모르는 인물이다. 전쟁통 속에서 살아남은 여자를 좋아하지만 정작 그녀가 위험에 처하게 되자 모른 척하고, 다시 살아오자 그녀를 반긴다. 끝내 적에게 죽을 위기에 처한 자신을 위해 대신 죽음을 맞이한 그녀를 지켜내지 못하기도 했다. 죽고 죽이는 전쟁통 속에서 그는 끝내 칼을 들지 않는다. 차라리 죽음을 당하면 당했지 누군가를 죽이지는 못하는 것이다. 그는 평화주의자이다.

 스님. 스님은 유학자인 역관과 대조되는 인물이다. 그는 살생을 금하는 불가의 스님임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전쟁에서 적군을 무참히 죽이며 활약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역관보다는 스님에게 더 좋은 점수를 주겠지만 역관이나 스님이나 모두 각자의 생각을 실천으로 옮긴 대단한 사람들이다. 전쟁속에서 사람을 죽이지 않으려는 마음도, 살생을 금함에도 사람을 죽이고자하는 마음도 모두 나름대로 존중받아야한다.

 최정의 부관 가남. 그는 최정의 아버지를 도왔고, 지금은 최정을 옆에서 보좌하는 장수다. 그는 계속 괴로워하는 최정을 옆에서 도와주며 신뢰받지 못하는 버림받은 최정을 끝까지 사수한다. 대단한 충성심을 가진 사람이다. 결국 최정을 도우러나간 전투에서 최정을 살아남고 그는 죽는다.
 
 영화의 줄거리와 구성이 전체적으로 일부러 짜맞춘 듯한 느낌도 들고 엉성해 보이기도 하고 그다지 재미가 잇는 것도 아니지만 각각의 인물들의 고뇌와 행동을 통해서 생각해볼 대목이 많은 영화이기에 나는 <무사>를 높이 평가한다. 나중에 잊혀질때쯤 다시 봐도 괜찮은 영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