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노릇 7개월째 접어들며 이제 낮에 쇼파에 누워 케이블 티비보는 것이 버릇이 됐다. 참 나쁜 버릇 하나 들었다. 해야할 공부는 안하고 이 짓거리를 하고 있는 내가 항상 못마땅하면서도 항상 그 짓을 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곤 한다. 오늘은 '바람난 가족'을 보았다.

<처녀들의 저녁식사>, <눈물> 등을 만든 임상수 감독은 영화판의 비주류 감독 중 하나이다. 주류와 비주류를 나누는 기준이 모호하고 주관적이지만 난 이 감독을 비주류로 분류한다. 그가 만드는 영화들이 대중의 지지를 얻기에는 변두리적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고, 영화에 나오는 이들이 대부분 일종의 아픔이나 상처를 지닌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바람난 가족>은 임상수 감독의 영화 중에서는 그래도 어느정도 상업적 성과가 드러난 작품이 아닌가 한다.

<바람난 가족>은 제목 그대로 가족들이 죄다 바람이 난 영화다. 돈 안되고 정의로운 일이라면 도맡아하는 30대 변호사 영작은 아이러니하게도 정의, 윤리와는 거리가 멀게도 한참 어린 여자와 바람이 났고, 전직 무용수였고 동네 무용학원에서 춤추는 그의 아내 호정은 옆집 고딩와 바람이 나 섹스를 한다. 영작의 어머니는 알콜 중독자로 간암말기 선고를 받은 할아버지와는 섹스를 안한지 15년이 지났고, 이제서야 할머니는 초등학교 동창과 눈이 맞아 섹스를 한다. 온 집안이 다 바람난 것이다.

아마 애초에 임상수 감독은 '가족이데올로기'를 깨자고 이 영화를 만들었을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사회가 변해갈수록 우리사회에서 대가족은 핵가족화되었고, 이제는 핵가족마저도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가정이란 그저 선택적일 뿐이다. 씨족사회를 의미했던 가족은 이제 그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집합이 되었고, 부부간의 관계에서도 서로를 의무적인 존재로 바라보기 보다는 좋으면 계속 같이 살고 아니면 헤어지고 식의 사고방식으로 맺어진 관계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둘이 사랑해서 결혼했으나 세월이 흘러 아니다 싶으면 다시 깨지고 또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모양새가 된 것이다. 여기서 결혼은 그다지 큰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요새는 오히려 동거를 하다 결혼을 한다는 커플이 늘어나는 추세라 한다. 어느 것이 옳고 그르고를 따지는 것은 여기서 적절하지 못해 보인다.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닌듯 하다. 옳고 그름은 '가족이데올로기'의 전제에 다름 아니다.

가족 모두가 바람이 난 상황에서 이 영화속의 가정을 어떻게 봐야할지 참 난감하다. 자기 좋은 삶을 찾겠다고 바람이 났지만 결국 상황은 더욱 악화될 뿐이고 바람이 난 개인 스스로도 자기좋아 바람난 것에 이건 아니다 싶은 심정을 지닌채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영작과 호정은 깨지지만 둘의 깨짐은 둘의 만족으로 발전하지는 못한다. 가족이데올로기를 깨자구 했지만 결국 가족이라는 틀이 깨지면서 구성원인 개인 또한 상처를 입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쯤되면 영화는 '가족이데올로기'를 옹호하지도 반대하지도 않는 듯 하다. 너는 어느쪽이냐고 묻는 것은 별 의미가 없어보인다.

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이들에게, 혹은 바람난 이들에게 영화는 각자에게 나름의 메세지를 전달했으면 그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