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탄핵안 가결로 인해 직무정지된 노무현 대통령이 관저에서 열심히 보는 책이 김훈의 '칼의 노래'였다. 나는 '칼의 노래'를 산다는 것이 서점에서 잘못 집어 카운터에 올려놓고 계산 다 끝낸게 다시 바라보니 '현의 노래'였다. 웃지못할 실수를 하고 말았지만 이미 끝난 계산이야 어쩌랴. 돈은 한정되어 있고 '현의 노래'를 계산한 마당에 '칼의 노래'까지 살 수는 없지. 어쩔 수 없이 '현의 노래'를 먼저 읽기로 결정. 아직까지 '칼의 노래'는 읽지 못했다.
오랜 세월 기자생활로 글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해왔던 작가 김훈은 그의 수십년(?)의 글쓰기와는 다른 형태의 글쓰기인 소설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칼의 노래'가 2001년 동인문학상을 받은 것인데, 그 전에도 김훈은 '너는 어느쪽이냐고 묻는 말들에 대하여', '밥벌이의 지겨움' 등으로 이미 주목을 받기 시작한 글쟁이였다.
어쨌건 그가 너도나도 다 아는 문학인 반열에 오른 것은 그의 소설 '칼의 노래'다. 더군다나 노무현 대통령이 이 책을 읽고 있다하여 더욱 유명해졌다.
'현의 노래'는 '칼의 노래'에 이어 김훈의 두번째 소설이다. 첫번째 것이 이순신을 다루었다면, 두번째 것은 가야의 악사 우륵을 다루었다.
제목은 '현의 노래'라고 했으나 이 책을 읽는 내내 듣는 생각은 왜 제목이 '현의 노래'일까 라는 물음뿐. 오히려 이 책에는 '현'보다는 '칼'이 더 많이 등장한다. 그렇다면 '칼의 노래2'인데... 글을 다 읽고 난 지금도 마무리가 현으로 끝났기 때문에 '현의 노래'라는 제목에 그저 고개를 끄덕끄덕 해줄 뿐이지 오히려 비중은 칼이 더 높았다는 생각이다.
한편, 책의 내용보다는 김훈의 문장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의 소설을 보면 문장을 이루는 단어나 어조가 마치 노자의 도덕경이나 장자의 장자를 읽고 있는 듯, 물 흐르는 듯한 구성을 갖추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는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가야의 악사 우륵과 대장장이 야로를 통해서 그대로 드러난다.
"소리는 본래 살아 있는 동안만의 소리이고, 들리는 동안만의 소리인 것이요. 집사장께서 이승과 저승의 사이를 헤아리지 못하시는구려. 살아있는 동안의 이 덧없는 떨림이 어찌 능침을 편안케 하고 북두를 전정시킬 수가 있겠소. 소리가 고을마다 다르다 해도 쇠붙이가 고을들을 부수고 녹여서 가지런히 다듬어내는 세상에서 고을이 무너진 연후에 소리가 홀로 살아남아 세상의 허공을 울릴 수가 있을 것이겠소? 모를 일이오. 모를 일이로되, 소리는 본래 소리마다 제가끔의 울림일 뿐이고 또 태어나는 순간 스스로 죽어 없어지는 것이어서, 쇠붙이가 쇠붙이가 소리를 죽일 수는 없을 것 아니겠소?" (우륵의 말)
"병장기는 본래 그러한 것입니다."
"흘러서 끝이 없는 것입니다. 이 세상과 같은 것입니다."
(야로의 말)
그의 문장에는 힘이 들어가 있지 않고, 애써 무엇을 수사하려고 하지도 않으며, 그저 힘을 쭉 뺀 채 화선지에 붓을 흘리듯 하다. 꾹꾹 연필로 눌러 쓴 글이라고는 하나, 실제로 그의 문장엔 힘이 없다. 마치 소설속에서의 나라의 길과, 병장기의 길, 소리의 길을 보는 듯 하다. 글의 내용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할지라도 글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김훈의 문체를 보여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