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얼단상 - 한 전라도 사람의 세상 읽기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2년 10월
평점 :
<감염된 언어>에 이어 고종석의 또다른 저서 <서얼단상>을 읽었다. 부제로 '한 전라도 사람의 세상 읽기'라고 달았듯 그는 이 땅에서 전라도인으로 살아간다는 의미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는 이땅에서 전라도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서얼'과 같은 삶이라고 한다. 아버지는 같으나 어머니가 다른, 즉 배다른 어머니를 둔 서자는 적자와는 달리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한다. 태생이 천한지라 그는 비록 같은 인간으로 태어나기는 했지만, 이미 태어남과 동시에 사회적 불평등을 안고 있다. 이 땅에서 '전라도'가 그렇다. 반면 경상도는 그렇지 않다. 경상도는 이 땅에서 오랜 세월동안 주류였고 앞으로도 주류다. 경상도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적어도 보통이상의 삶을 의미한다. 이 땅에서 개인의 삶에 학벌만큼이나 사회적으로 크게 작용하는 것이 지역주의다. 천박한 전라도인과는 달리 경상도인은 이미 태생과 함께 우월함을 지닌다.
고종석은 이 땅에서 전라도인으로 살아간다는 의미를 기본적으로 고찰한 후 이와 함께 자신의 삶과, 다른 전라도인의 삶의 경험에서 그 흔적들을 하나하나 찾아낸다.
선거 때면 이 나라에서는 평소에는 그나마 잠잠하던 지역주의가 기승을 부린다. 전라도와 경상도로 구분된 지역주의는 그들 각자가 지지하는 후보에게 몰표를 행사함으로써 막을 내린다. 해가 갈수록 조금씩 나아지는 양상을 보이고는 있으나 아직 멀었다. 고종석은 '신분제로서의 지역주의'라는 첫 글에서 이런 말을 하고 있다.
"한국의 지역주의는 영남과 호남의 '대립'을 큰 틀로 삼는다. 여타 지역의 지역주의는 이 큰 틀에서 파생된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또는 맥락에 따라 영남은 '비호남'으로 확장될 수도 있고, 드물기는 하지만 호남이 '비영남'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인종주의가 그렇듯, 영남 대 호남의 '대립'도 대칭적인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 두 지역 주민집단이 지닌 지역주의가 동일한 질의 것은 아니다. 다소 거칠게 말하자면 여남의 지역주의는 패권적이고 적극적이고 공격적인데 비해 호남의 지역주의는 반작용적이고 소극적이고 방어적이다."
이어 그는 이런 말을 덧붙인다.
"그런데 인종주의라는 것이 우월하다고 인정되는 인종이 열등하다고 인정되는 인종에게 갖는 태도와 감정을 주로 가리킨다면, 지역주의도 우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주민집단이 열등하다고 인정되는 지역 주민집단에게 갖고 있는 태도와 감정을 주로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남에 대한 호남의 지역주의보다도 호남에 대한 영남의 지역주의가 더 전형적인 지역주의다."
나는 그의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한국 사회의 지역주의에 대해 이보다 심정적으로 정확히 해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비록 논리적인 명쾌함이 흐릿하기는 하지만 모든 것이 논리적 근거를 뒷받침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그의 해석은 저널리스트로써, 또 이 땅의 지식인으로써 오랜 세월 관찰해왔던 그의 시각을 통해 축적된 내공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 뿐만 아니라 나는 고종석의 글을 보면서 새롭게 깨닫는 바가 너무나도-'정말로'로 표현되기에는 '너무나'많기에 '너무나'로 표현했다- 많다. 그는 새로운 지식을 내게 전달해주기도 하지만, 오히려 그보다는 내가 보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나름의 해석을 전달해준다. 그것은 아직 내공이 약해 볼 수 없는 무대 뒷면의 것들이다.
그는 스스로 '희미한 우파'라고 하고, '자유주의자'라고 하지만, 우파가 되기에는 그는 이미 태생적으로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미 서얼이기 때문이다. 자칭 우파라 하지만 사실상 그는 진보적 자유주의자로 분류되는 진중권이나 강준만과 오히려 닮은 꼴이다. 나는 스스로 '좌파 자유주의자'라고 생각하지만, 나의 생각이나 행동은 오히려 우파라 자칭하는 그에게 손톱만큼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런 상황에서 그가 자신을 우파라 칭한다면 나는 고개를 들 수가 없다. 그는 우파이기에는 너무나 왼쪽으로 걸어왔다.
고종석의 글은 물 흐르는 듯한 자유연상적 글쓰기의 형태를 지니고 있고, 문장과 단어가 깔끔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주장에 대해 조심스럽고 약간은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김병익보다는 덜 방어적이지만, 거침없는 '전투적 글쓰기'-고종석은 이 단어가 껄끄럽다고 한다-를 하고 있는 진중권이나 강준만보다는 확실히 방어적이다. 하지만 또 다른 한편 그의 글은 김규항의 글에서 느껴지는 비장미는 아니지만 김규항만큼이나 현실에 천착되어있다. 경험적인 내용들을 바탕으로 두고 있다는 말이다. 나는 그의 글쓰기가 좋다. 김규항, 진중권, 강준만, 고종석 네 사람은 나를 항상 질책한다. 너는 왜 그것밖에 안되느냐고. 군 입대전까지 하던 글쟁이 짓을 지금은 안하고 있다. 삶이 너무 힘겹고 불안하기 때문이다. 이런 핑계를 들어 나는 당분간 글쟁이 짓을 미루려고 한다. 기껏해야 읽은 책에 관해 끄적이는 정도가 다 일 터다. 하지만 내가 글쟁이를 그만둔 것은 아니다. 비록 못쓰는 글이지만 나는 적어도 잘쓰려고 노력은 하고 있기 때문이고, 나이 먹은 뒤에는 나만의 문체가 드러났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