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필요한 시간 -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
강신주 지음 / 사계절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래 만난 분은 이 책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심리학이 사람들을 치유하려는 책이 나오다가 이제 철학이 그 역할을 맡으려는 것 같다." 나 또한 동의한다. 많은 철학 교양서가 나오고 있는데, 그 중 상당수는 현실에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심리를 치유하기 위한 글이다. 재미를 찾는 사람들은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을 찾고,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은 책을 찾는 시대다. 철학이 그 흐름의 중심에 있다. 강신주 선생님의 <철학이 필요한 시간>은 이러한 독자들의 갈망과 출판의 흐름을 잘 포착했다.    

  장자와 노자의 철학을 새롭게 해석한 책을 낸 이후, 대중 교양 분야로 발을 넓혔다. 강단보다는 대중을 선택한 것이다. <철학, 삶을 만나다>, <상처받지 않을 권리>, <철학 VS 철학> 등은 이러한 시도에 대한 결과물이다. 그리고, 이번에 낸 <철학이 필요한 시간>도. 매일 같은 삶을 살아가는 직장인들이라면 "나는 왜 이러고 살지?"라는 의문을 한 번쯤 가져본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하고 잠들고, 다시 또 일하고 잠드는 일상을 반복한다. 이 책은 그들을 위한 '인문 공감 에세이'라고 한다.  

  부제도 '강신주의 인문학 카운슬링'이다. 제목에 저자 이름을 걸 수 있는 때는, 저자가 이미 알려진 사람일 경우다. 인문 교양서를 읽는 독자들은 정해져 있고, 그들 중 상당수가 강신주의 고정 독자라고 생각하지 않고서는 이렇게 하기 어렵다. "자기 위로와 자기 최면이 아닌 아파도 당당하게 상처를 마주할 수 있게 하는 인문학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칸트, 혜능, 데리다, 장자 등의 동서양, 한국 철학자들의 고전을 통해 상처를 대하는 법을 알려준다.   

  그러나 컨셉은 아주 잘 잡았지만, 책을 열어보면 기존에 나온 '책에 관한 책'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기존에 나온 다른 종류의 책들도 사실 '컨셉'을 걷어내고 나면 비슷한 책들이 많다. 책은 저자와 컨셉, 내용을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서 독자층과 판매량이 정해진달까. 그동안 그가 내놓은 책 중에서는 가장 많이 판매되었고,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았다. 출판사는 기존 고정 독자에서 벗어나 독자층을 넓히고자 했고, 그게 통했다. 그러나 강신주의 깊고 넓은 내공을 기대한 나로서는 이보다 더 나아간 뭔가를 원했다. 내공이 센 분이 쓴 책에 대해서는 그만큼 깊은 뭔가를 바라게 된다.  

  대중 강연을 많이 하면서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고, 그러한 경험을 철학에 접목하여 글로 풀어내려 한 시도는 괜찮았다. 경험과 철학 사이 어느 지점에서 포인트를 찾아야 했는데, 아무래도 '삶'보다는 '철학책'으로 쏠린 점이 없잖아 있다. 목차를 이렇게 잡지 말고 조금 다른 방식으로 풀어봤으면 어땠을까 생각도 든다. 좋은 책이지만 아쉬움에 말이 길어졌다. 강신주 입문서로는 나쁘지 않다.

  덧) 책의 맨 뒤에 몇 장에 걸쳐서 '더 읽어볼 책'을 몇 줄 안내글과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이런 방식은 아마도 책세상 문고판에서 처음 시도되지 않았나 싶다-이 책을 읽은 이후, 관심 있는 책을 찾아 읽기 좋게 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