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사 산책 16 - 제국의 그늘 ㅣ 미국사 산책 16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0년 12월
평점 :
강준만의 미국사 산책 16권. 9.11 이후의 미국의 모습을 그렸다. 민병대가 증가하고, 민간군사기업의 전쟁과 고문, 아웃소싱, 닫힌 이민정책, 애국주의 등 9.11 테러가 미국 사회에 끼힌 영향을 주목한다. 세련된 국제 깡패 부시의 재선 또한 이와 관련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인들은 더더욱 외부 반미 세력에 민감해졌고, 그들을 '악(惡)'으로 보게 되었다. 미국인들의 시선이 부시의 시각에 맞춰졌고, 선과 악, 하나님의 은총 운운하는 부시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단호한 대통령 이미지와 맞아떨어진 셈.
유엔인구기금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도 전 세계 이민자는 1억 7,50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세계인의 35명당 한 명 꼴이라는 것. 미국으로 유입된 이민자 숫자는 책에 나와 있지 않지만, 이들 중 다수가 미국으로 향하고 있음은 굳이 통계를 들이밀지 않아도 추측할 수 있다. 전 세계의 '있는' 집 부모와 자식들은 미국 국적을 획득하기 위해 이민을 감행한다. 없는 자는 이민의 대상이 될 수 없기에, 불법 이민을 할 수밖에 없다. 어딘가에서 들은 바로는 한 한국인이 브로커에게 돈을 주고 미국에 불법 이민을 했는데, 가보니 자기가 해야 할 일이 닭의 목을 치는 것이었단다. 그곳에서 도망쳤다가는 미국 이민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에 2년,3년 꾹 참고 그 일을 했다고.
미국과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멕시코도 불법 이민자들이 많다. 미국보다 경제적으로 많이 못 사는 나라이고, 국경을 접하고 있다보니 멕시코 사람들이 미국으로 몰래 들어와 취업을 하여 살아가려고 한다. 2003년 6월 미국 연방통계국의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2002년 7월 미국 인구는 2억 8,840만 명이었는데 이 중 히스패닉계가 13퍼센트인 3,700만 명이라고 한다. 그 중 60%가량이 멕시코인이다. 좀 오래된 조사이긴 하지만 1986년 멕시코인의 40% 정도가 기회가 있다면 미국에서 살겠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미국은 멕시코인의 불법 이민으로 몸살을 앓았는데, 9.11테러 이후엔 민병대까지 가세해 이들의 유입을 차단했다고. 전 세계 곳곳의 인재를 끌어모으는 미국이지만, 없는 자에겐 가차없이 폭력을 가한다.
한국 사회에선 이민이 아닌 조금 다른 형태로 변질된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원정 출산이 그것. 좀 가지신 분들은 자신의 아이가 미국 시민권을 가질 수 있도록, 산모가 배가 불러올 때쯤 미국에 갔다가 아이를 낳고 돌아오는 일이 많다. 2002년 5월 25일자 로스앤젤레스타임스 기사에 따르면, 매년 한국 신생아의 1퍼센트인 5,000여명이 원정 출산으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한다고. 워낙 많다보니 미국에선 아이를 곧 낳을 한국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원정 출산 사업까지 활발하다. 한 산후 조리원에서는 1,000달러면 공항 마중에서부터 출생신고와 시민권 취득까지 모두 도와준다고. 한국의 부모는 아이의 시민권과 병역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좋고, 미국 산부인과와 조리원, 브로커는 돈 벌어서 좋고.
이 책에서는 한국인의 미국 대학 박사 학위 취득자 비율도 다루고 있다. 굳이 순위를 살펴보지 않아도, 한국 대학의 교수들 대다수가 미국 대학에서 박사를 딴 것은 익히 알 수 있다. 박사 학위 수여자가 아닌 수료생까지 치면 그 규모는 더 커질 것. 해외 대학 출신자의 미국 박사 취득 순위는 단연 서울대가 1위이고, 미국 대학까지 포함시킨 톱15에서도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에 이어 서울대 출신이 다음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곧 서울대 학부 또는 석사를 나오고, 미국에서 박사를 받은 사람이 그만큼 많다는 것. 연세, 고려 등 여타 대학 출신자까지 포함하면 이 숫자는 엄청나다. 그러니, 한국 대학에선 미국 박사가 아니면 교수 임용에도 응하기 어렵고, 응해도 자기들끼리의 파벌을 형성해 떨어뜨리지.
이를 두고 수유너머 연구원 고병권은 "'서울대 넘버 투 사태는 그동안 서울대가 사실상 미국 대학원의 학부 노릇을 해왔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나는 서울대가 이 사건을 어떻게 대할지 궁금하다. 만약 대학원 중심 대학에 대한 서울대의 표방이 미국의 학부 노릇을 하다 대학원 노릇을 하려는 거라면 희망은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공부를 하겠다는 사람이 미국에서 학위를 받든, 일본에서 받든, 독일에서 받든 그건 기본적으로 본인의 자유이지만, 이와 같은 현상이 바람직한 것이 아님은 확실하다. 공부를 어느 나라에서 하느냐도 순전히 개인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보기도 어려워지는 셈이다. 미국 유수 대학에서 학위를 받으면 그만큼 한국에 돌아와서 먹어주니 말이다.
16권은 이처럼 9.11 이후의 미국 사회 여러 분야를 한국과 연계해서 살펴보고 있다. 소비 중독, 475배의 연봉 격차, 리무진 좌파, 성조기 논쟁, 미국 인구, 유학과 이민, 다문화주의, 세습 사회 등이 근래의 미국을 이야기하는 키워드가 될 것. 리무진 좌파에 대한 부분이 재밌었는데, 미국 대학의 교수 중 다수는 미국 사회에 비판적이고 좌파적인 성향을 띠며, 미국 사회에 가장 비판적인 지식인 촘스키는 미국의 자본주의에 의해 강연료와 인세 등 엄청난 수입을 올리고 있다고. 반공주의자이자 개혁주의 좌파를 자처하는 철학자 리처드 로티-실용주의의 대표주자로 이명박의 실용주의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좌파 순결주의'라는 딱지를 만들어 리무진 좌파를 비판했다고. "그가 말하는 개혁주의 좌파는 경제적 이기심을 완화하고 불필요한 사디즘을 경감시키려고 실천하는 자들이다."
여러 흥미로운 주제를 골고루 다루고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은 해당 부분만 찾아 발췌독해도 괜찮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