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티즌 - 애플리케이션이 만든 신인류
이동우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4월
장바구니담기


‘앱티즌’은 애플리케이션 시민이라는 뜻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시티즌을 조합한 말이다.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감각기관을 확장하고 도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우리의 삶이 너무나도 많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고, 이 정의를 바탕으로 미래 모습을 그려야 할 것 같다는 생각에 앱티즌이라는 말을 만들어봤다.
사실 근본적으로 원인을 분석해보면, 우리가 살펴보고 있는 모든 현상의 중심에 바로 ‘커뮤니케이션’ 개념이 존재하고, 그 개념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졌으며, 그 모든 것을 활용하는 ‘앱티즌’이 존재한다. -36-37쪽

플랫폼이라는 단어는 다소 생소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플랫폼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다. 우리가 말하는 플랫폼은 개인과 단체 혹은 기업이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 하고자 만든 매개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플랫폼은 의사소통의 기준과 규범을 만들어 서로 정보와 아이디어를 교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광의의 개념으로 플랫폼을 인식하면 인류는 대화를 나누기 시작한 이래 플랫폼을 공유해온 것이며, 더 나아가 인간 활동의 모든 면에서 표준과 규범을 갖는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87쪽

앱티즌은 기본적인 마인드가 다르다. 스마트폰에는 영역구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같은 위치에 놓여 있고, 어느 것이 중요하고 어느 것이 덜 중요하다는 기준 자체가 없다. 따라서 중요도에 대한 구분이 없고, 모두 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된다. 통합과 융합이라는 것이 앱티즌에게는 너무나도 당연하고 기본적인 사항에 해당된다. 이것은 그동안 우리가 길들여져 온 이분법적 고정관념, 나아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어떤 분야의 내용이 필요할 것인지를 고민하는 과정 자체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들의 뇌 구조가 기본으로 통합과 융합이 맞는 것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불필요한 일이 사라진 셈이다.-135쪽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바꾼 앱티즌의 성격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는 성향이다. 실제로 앱티즌의 행동 양상을 분석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앱티즌은 하루 종일 일과 생활을 하면서 일일이 누구에게 묻지 않는다. (중략) 이러한 행동 양식은 지금까지 인류가 생활해오면서 갖고 있었던 기본적인 행동 패턴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148-149쪽

지금의 집단 지성이 가능한 이유는 바로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언어의 한계성을 인식하고 발전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 덕분이다. 구전 효과를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단 한 명에서 시작해서 100명 혹은 1000명에게 전달되어도 동일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서도 가능한 ‘베껴두기’ 기능과 ‘붙이기’ 기능 덕분이다.
-160쪽

충격적인 것은 시각화와 디지털화가 되면서 기존 문자와 언어 체계에서 인식되는 자료, 정보, 지식, 지혜의 구조는 사라지고, 지식보다는 자료와 정보가 더 우위에 오르는 기묘한 현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164쪽

결국 앱티즌이 시장을 선도하는 방향은 콘텐츠 중심과 사용자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이다. 기존에 우리가 모바일 비즈니스를 추구하던 방식은 콘텐츠 중심이 아니라 하드웨어 중심이었고, 이는 사용자 중심이 아니라 공급자 위주의 생산 결과물이었다. 이만큼 만들면 사용자들은 충분히 만족하고 구매할 것이라는 상황 판단의 오류와 오만이 존재했다는 말이다.
-19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