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하는 글쓰기 - 발설하라, 꿈틀대는 내면을, 가감 없이
박미라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11월
절판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열 수 없는 것, 그것은 마치 인간의 입과도 같다. 인간은 말할 수 있는 입을 가지고 있지만 말해서는 안 되는 것들의 긴 목록도 가지고 있다. 미움, 시기, 질투, 경쟁심, 원망 같은 것들을 말해서는 안 된다. 고통, 절망, 슬픔, 분노, 수치감 등도 말할 수 없다. 때로는 외로움이나 우울감 등도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기 때문에 거부당한다. 문화에 따라서는 자기를 설명하고 표현하는 것도 문제가 되며, 심지어 피해자임을 폭로하는 것도 제지당한다. 어쨌든 우리는 어둡고 부정적인 것들을 말할 때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26쪽

훌륭한 상담자라면 상대의 입을 열게 하려고 애쓰기보다는 그가 침묵으로써 보여주는 자기표현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말하기의 방식이 다양하듯이 침묵의 모습도 다양하다. 그의 침묵은 분노가 원인일 수도 있고, 관심을 받고 싶어서일 수도 있으며, 발설을 열망하지만 아직 용기가 나지 않기 때문에 지속되는 것일 수도 있다. 우리는 그런 상대의 모습을 가만히 지켜볼 필요가 있고, 또 침묵하는 당사자도 자신의 침묵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알아줘야 한다. 왜 나는 침묵하는가, 스스로에게 물으면서 말이다.
물론 그보다 더 기본적인 과정이 있다. 발설의 주인공이 보여주는 태도가 무엇을 말하는지 분석하기 전에 그런 모습 자체를 인정해주는 일이다. 상담자가 침묵이 발설만큼이나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인정하면서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태도를 보일 때 내담자는 치유를 경험한다. -36-37쪽

그러나 비판은 정확한 것이든 그렇지 않든 자칫 상대의 생명력과 창조성을 짓밟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상대가 그 비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는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니 칭찬이 우선이다. 좋은 점과 강점과 미덕을 먼저 칭찬한 뒤에 서로에 대한 신뢰감이 쌓였다면 조금 진지한 언어로 깊이 있는 얘기를 나눌 수도 있지만 그때도 반드시 혹독해질 필요는 없다. 사실 칭찬도 습관이 된다. 자기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칭찬을 해주기 시작하면 칭찬하고 싶은 부분이 점점 더 많이 보인다. 칭찬을 받고 자신감을 얻은 사람이 마음의 여유를 찾으면 스스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고, 또 자신의 매력을 더 잘 발휘하게 되기도 한다. -82쪽

타인의 말을 어떻게 잘 들어줄 것인가에 대해 얘기하면 어떤 사람들은 막중한 의무감과 부담감에 시달린다. 그동안 남의 이야기를 들어주며 사느라 지쳤던 이들이 그렇다. 만약 그런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면 남의 이야기를 들어준 만큼 자신의 고민도 털어놓기를 권한다. 소통도 균형의 경제학을 가지고 있다. 남의 고백을 들었다면 내 마음도 어느 정도는 열어놓아야 하며, 지금까지 애써 상대의 이야기를 들어주었다면 나 역시 그에게 고민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어느 쪽이든 일방적인 관계는 건강하게 발전하기 어렵다. -88쪽

타인에 대한 공감은 결국 나 자신의 문제와 연결된다. 타인의 고통과 문제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국 내가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이나 틀에 박힌 사고방식,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야 한다. 상대의 한계조차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줘야 하고, 지나친 욕심을 부려서도 안 된다. 어찌 보면 타인을 공감하기 위한 노력은 나 자신을 해방시키고 자유롭게 만드는 훈련이기도 하다. 아니, 분명히 그렇다. 우리는 자신이 해방되기 위해서 상대를 이해하고 상대의 감정에 공감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공감하는 과정에서 힘든 것은 상대의 고통스러운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내 자신의 틀을 깨느라고 힘든 것이다. 만약 자신으로부터 해방되고 싶거든, 영혼까지 자유로운 삶을 원하거든 타인의 이야기에 완전히 몰입해보라. 그러면서도 쉼 없이 공감하고 있는 이 순간이 상대가 아닌 나 자신을 위한 순간임을 자각하라. -98-99쪽

인터뷰 역시 일종의 대화기법 글쓰기이다. 다만 질문하는 이와 대답하는 이를 좀더 명확하게 구분해서, 대답하는 이에게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대답하는 이가 상대에게 압도당하지 않고 표현할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대답하는 이가 질문하는 사람에게서 충분한 사랑과 존중을 받고 있다는 걸 느끼게 하기 위해서이다. 인터뷰 대상도 아주 다양하다. 그 무엇을 대상으로도 인터뷰할 수 있으며, 글을 쓰기 시작하면 창조성의 문이 열리면서 무한한 얘기들이 쏟아져 나온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188쪽

가치란 인간이 본래부터 추구하던 어떤 지향성이나 삶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시킬 때, 그 사람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도록 돕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결국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가치와 일치하는 일을 할 때 가장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10쪽

사실 글의 탐식성은 무섭다. 어떤 영역이든 손을 뻗어 활자화시키고야 마는 대단한 장악력을 가지고 있다. 글로 그림과 영화와 자연풍경을 묘사하고, 감정의 내밀한 부분을 그려내며, 소리와 촉감까지 표현하려고 한다. 마치 우리가 한 편의 영화를 보듯이, 글 속의 등장인물을 만나 직접 접촉이라도 하듯이 글을 통해 생생한 가상체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248쪽

가슴의 울림이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위에서 말한 눈물을 비롯해 온몸을 휘도는 열감, 근육경련, 통증이나 목이 메는 것과 같은 신체적 증상도 있지만 가슴이 쿵쾅거리는 느낌일 수도 있고, 분노 때문에 터질 것 같은 상태일 수도 있다. 가슴이 싸하게 아려오거나 서늘해지거나 따뜻해지는 느낌, 환희에 벅차오를 수도 있고, 쥐어짜는 느낌일 수도 있다. 그 어떤 것이든 반갑게 맞이하고 충분히 느끼면서 글을 써야 한다. 글을 쓰다가 가슴의 울림이 느껴지거든 자신의 느낌을 종이의 여백에 기록해도 좋다. 글을 다 써야 한다는 목적의식 때문에 서두르지 말고 이 아픔이 어디서 오는지 가만히 들여다볼 수 있다면 더욱 좋다. -2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