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아무리 내 가족 이외의 것에 관심이 없는 이들이라 하더라도 세계의 절반, 좀더 엄밀하게는 지구의 남반구 국가들에 가난하고 먹지 못해 죽어가는 이들이 많다는 사실은 알고 있다. 다 알지만 역시, 내 문제가 아니고, 내 가족, 나아가 내 친구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관심을 쏟지 않을 뿐이다. 솔직히, 나도 '부정의'에 유독 민감하게 반응하는 듯 하면서도 관련된 신문기사나 책을 읽거나, 뉴스를 보지 않으면 일상에서 아무렇지 않게 살아가는 범인 중 한명이다. 그러나 누가 물으면 나는 대답할 수 있다. 지구의 남반구, 특히 아프리카는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 죽어가고 있다고.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분명 지구 반대편에는 먹다 남긴 음식이 산더미 같이 쌓여만 가고, 음식쓰레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고민하면서, 왜 지구 반대편에서는 못 먹어서 죽어가는 이들이 그 반대편의 음식쓰레기만큼이나 많을까. 유엔이며, 세계식량기구며, 기타 등등의 온갖 NGO단체들이 활약하고 있는 이 시점에도 왜 아프리카에서는 사람들이 굶어죽어갈까.

  문제를 인식하면 해결책이 나올거라 생각하지만, 이 책을 읽고는 단순한 문제가 아님을 깨달았다. 사람들은 그러면 한쪽의 남는 음식을 다른 한쪽에 가져다주면 되지 않느냐고 간단하게 말하겠지만, 이건 매우 무식한 발언이다. 서양사람들이 즐겨먹는 햄버거나 초코렛, 땅콩쨈 따위는 이들에게 트럭으로 가져다준다고 해도 아무런 도움이 안된다. 하다못해 잠깐 체해서 몸이 안좋은 우리들도 다음 날 바로 밥을 먹기보다는 죽이나 따뜻한 국을 찾는데, 오랫동안 굶어 몸이 허약해진 이들에게 땅콩쨈이나 초콜릿 따위를 먹으라니. 이 책에서 저자는 영국(?)의 한 수송기가 아프리카 어느 나라에 먹을 것을 잔뜩 떨궈주는 장면이 신문에 실렸는데, 당시 언론은 이 장면을 두고 "OO에도 구호의 손길이!"라는 멘트를 날렸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 꾸러미 안에 이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아프리카는 오랜 식민지 생활을 했고, 독립국가로 선 지금은 부족 간의 피튀기는 싸움 때문에 국제기구가 그곳에 발을 디딜 수 없는 형편이다. 한 번은 그들을 도우러 간 어느 단체 직원들을 태운 비행기 한 대가 격추당해 전원 사망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엔을 비롯한 여러 기구들은 그들을 도우러 그곳에 간다. 목숨을 걸고. 

  식민지였던 아프리카는 당시 땅콩을 재배하는 곳은 땅콩만 재배하고 차를 재배하는 곳은 차만 재배하는 등 주로 한 가지 작물만을 집중 재배하고 있었다. 그들을 지배한 국가가 그런 환경을 강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먹으려야 먹을 음식이 없다. 썩은 물을 마시며 죽어가고, 먹을 작물을 생산할 수 없어 죽어가고, 바다 밖으로부터 여러 국가나 국제 기구가 도와주려고 해도 부족 간 전쟁으로 쉽게 도움의 손길을 주기 힘든 상황이다. 국제 기구가 도와준다고 해도 일시적일 뿐 이들이 스스로 기아에서 벗어날 방법은 없어 보인다.

  세계 식량 시장 또한 이들의 굶주림을 지속시키는 요인이다. 시장에서의 식량 가격은 절대 이들에게 우호적으로 정해지지 않는다. 부자 국가들과 거대 기업들은 돈이 없으면 남는 식량을 썩히거나 버리는 한이 있어도 절대 이들에게 공급해주지 않는다. 그들은 '구호천사'라는 수식어보다는 돈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런 세계 식량 시장은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에 의해 움직이는데, 외견상 가장 많은 도움을 줄 것 같은 이들이 따지고 보면 가장 악랄하다.

  왜 세계의 절반이 굶주리는지는, 먹을 것 없어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이 시대에 아직도 지구 반대편에서 굶어죽어가는 이들이 많은 역설적인 상황이 연출되는지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우리는 ARS 버튼을 눌러 천원씩 기부하거나, 아니면 좀 더 마음을 쓰는 이들은 국제 단체에 정기적으로 돈을 넣음으로써 스스로의 마음의 짐을 덜고 - 그나마 이 정도도 안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 있지만, 이 책을 보면 그들의 기아는 단순히 돈이나 먹거리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저자는 "기아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국이 자급자족 경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이룩하는 것 외에는 진정한 출구가 없다"고 말한다. 말은 쉽고, 누구나 동의하는 명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이어 말한다. "무엇보다도 인간을 인간으로서 대하지 못하게 된 살인적인 사회구조를 근본적으로 뒤엎"고, "인간의 얼굴을 버린 채 사회윤리를 벗어난" 시장원리주의 경제(신자유주의)와 "세계를 불평등하고 비참하게 만"드는 폭력적인 금융자본을 깨야 한다고 말한다.

  그럼 누가 할 수 있는가. 수렁에 빠진 88만원 세대를 구할 수 있는 건 결국 88만원 세대의 연대와 기득권 세대의 양보이듯, 이들을 구할 수 있는 것도 개념있는 거대국가들과 기업, 그리고 어려움에 처한 그들 자신의 연대로 수렴된다. 이 말은 곧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는 말과 동의어가 된다. 그들이 스스로 양보할리도 없거니와 어려움에 처한 이들이 똘똘 뭉쳐 연대를 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책엔 자립경제를 이룩한 한 인물이 등장한다. 결국 친구의 손에 살해당하고 일찌감치 생을 마감했지만 상카라는 인구 1000만으로 구성된 극도로 가난한 부르키나파소를 살려냈다. 대통령에 취임한 그는 자주관리정책을 채택해 자치제로 전환하고는 주민들이 스스로 관리도 뽑고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 도로건설, 수도건설, 보건의료 등의 서비스를 실시하도록 하고, 대규모 철도 사업을 벌였다. 주민들을 보수가 없는데도 쌀 몇 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한다. 또한 인두세를 폐지하여 가족 경제를 되살렸고, 토지를 국유화해 수요에 따라 재분배했다. 4년도 안되어 농업생산량이 크게 늘어나고 자급자족이 가능한 경제체제가 되었다. 그러나 외국세력과 결탁한 군부세력에 의해 살해당했고, 그를 살해한 콤파오레가 대통령이 되었다. 부르키나파소는 그냥 보통의 아프리카로 돌아갔다고 한다. 

  암울한 결론이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어떤 문제점들이 시정되어야 하는가는 알 수 있었다. 이제 빈곤은 단순히 돈와 식량지원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았다. 무엇을 할지는 세계 각국에 흩어진 아프리카에서 굶어죽는 이들과는 아무런 연고도 없는 많은 사람들에게 달렸다. 돈 한푼에 마음을 놓기보다는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와 싸우는 쪽이 이들의 빈곤을, 기아를 해결하는 빠른 방법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10-14 0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0-14 08: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0-14 07: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0-14 09: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10-14 15: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itmedusa 2009-01-07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ver Opencast의 "風林火山의 분야별 대표 도서 소개"(http://opencast.naver.com/BK175)라는 캐스트의 캐스터 風林火山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제 캐스트에 발행했는데, 혹시라도 발행을 원치 않으시면 '캐스터에게 한마디'에 적어주시거나, itmedusa@gmail.com으로 메일 주세요.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마늘빵 2009-01-08 09:21   좋아요 0 | URL
아 아녀. 사이트 들어가봤는데 무슨 사이트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대충 봐서는 발행(?)하셔도 될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