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첫 십년의 한국 - 우리시대 희망을 찾는 7인의 발언록 철수와영희 강연집 모음 2
리영희 외 지음, 박상환 엮음 / 철수와영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3년 1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일곱차례에 걸쳐 열린 성균관대학교 양현재 콜로키움의 내용을 엮어, 2008년에 내놨다. 왜 지금인가. 3-4년이나 지난 이야기를 왜 지금 책으로 엮어 내는 것인가. 엮은이 박상환의 말처럼 "당시 제기한 문제는 아직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3년이란 시간을 보내고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된 시점인 2008년에 그 내용이 책으로 엮여진 것은, 책을 팔아먹기 위한 적절한 시점을 제대로 선택하기 위함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아니 어쩌면 애초 책으로 낼 의도는 없었는데, 그때 했던 이야기들이 지금 내놓으면 먹힐 것 같자 내놓은 건지도 모르겠다.

  리영희는 "나의 책이 읽히지 않고 또 읽힐 필요가 없는, 그래서 팔릴 필요가 없는 사회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한다. 읽히지 않길 원하고, 팔리지 않길 원하지만, 여전히 내놓으면 팔리고 읽히는 시대이기 때문에, 리영희를 포함한 여기 저자로 이름을 찍은 이들은 여전히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저자로 이름 올린 이들 중 익숙한 이는 손호철과 홍세화 뿐이다. 다른 이들도 이름은 들어봤지만 글은 제대로 읽어본 적이 없어 이들 각각에 대해 뭐라 말하긴 어렵다. 이 책에서 이들은 각기 다른 주제를 가지고 각자의 목소리를 낸다.

  여기 실린 글 중 리영희와 홍세화의 글이 인상적이었다. 리영희는 내가 그동안 갖고 있던 국가주의와 반공주의에 대한 반감과 맞물려 가슴에 들어왔고, 홍세화의 똘레랑스는 오래전부터 접해왔지만, (영어식 표현을 빌리자면) 아무리 반복해 말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여전히 우리 사회에 절실히 필요하다. 두 분 중 리영희의 말을 빌려 말해보자.

  "우리는 시민이어야 합니다. 시민이란 어떤 권위나 권력도 어느 누구도 지배하지 않는 평등 사회인 시민 사회 속에 존재하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을 말하기 때문입니다. (중략)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은 독자성을 가지고 자기 결정적이며 자유로워야 합니다. 진정한 의미의 자유인으로서 시민의 삶은 자유로운 인간의 가치를 부정하고 억압하고 탄압하는 정의롭지 않은 것에 대해 항거하며 싸울 때 보람을 느낍니다. 그런 저항 없이 ‘편안한’ 사회가 이루어진다면 우리에게 소망스런 일이기는 하지만 우리 개개인의 삶에 있어서 의미랄까 뭐 이런 것이 박탈되거나 퇴색되는 사회라고 볼 수 있지요."

  지금 이 촛불 정국에 다시 '시민'을 생각한다. 우리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인가. 독자성을 가진 자기 결정적이며 자유로운 인간인가. 우리는 자유인인가. 반은 그렇고 반은 아니다. 한국 땅에 살아가는 한국인의 절반이 그렇고 절반이 그렇지 않다는 말이 아니다. 광장에 나가 촛불을 들고 싸우는 이들이 그렇고, 무슨 일이 있냐는 듯이 집과 직장을 왕복하며 매일을 보내는 이들이 그렇지 않다는 말이 아니다. 아니. 다시. 이 말도 절반은 그렇고 절반은 아니다. 어느 정도 맞다.

  하지만, 촛불을 들고 촛불을 들지 않고, 촛불을 지지하느냐 촛불을 지지하지 않느냐를 가지고 무 자르듯 싹둑 잘라내어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자유로운 '시민'과 국가 공동체 안에서 살아가는 하나의 구성원이고자 하는 '국민'을 나눌 수는 없다. 그러나 타인의 아픔을 나의 아픔으로 느끼고, 부당한 공권력의 폭력을 보고 거리로 나온 그들은 분명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이다.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개인은, 홀로하지 않는다. 타인에 의해 사고하지 않으며, 타인에 의해 움직이지 않으며, 국가에 의해 조정당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흔들리지 않는 불편부당성을 갖고 세상을 둘러본다. 그리고 판단이 끝나면 행동한다.

  리영희가 읊은 '반지성적이고 반이성적인 대한민국'은 지금을 향한다. 그는 분명 3년 후를 예측하고 이같은 발언을 하진 않았다. 이명박을 염두에 두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의 메세지는 노무현보다 이명박에게 더 알맞다. 물론 노무현의 과오를 그냥 지나쳐서는 안된다. 하지만 전두환을 연상시키는 이명박의 권력의 횡포와 독재는 '지성적이고 이성적인' 시민을 그때보다 더 강력히 요구한다. 그리고 시민들은 거리로 나가 자신의 분노를 보여줬다. 그들은 진보와 보수의 정치성을 떠나 광장에 나왔다. 이명박과 꼴통들은 어떻게든 색깔론을 뒤집어 씌우며 진보와 보수의 대결로 몰아가려 하지만, 이건 진보와 보수의 싸움이 아니다. 상식과 비상식의 싸움이다. 정의와 부정의의 싸움이다.  

  <21세기 첫 십년의 한국>에 실린 모든 저자와 그들이 쓴 글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잘 몰라서 따라가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다. 통독인 동시에 마음을 흔드는 곳에 서서 정독을 하며 전체적으로 발췌독을 했다. 각각의 저자들에게 얼마나 동의하느냐 여부를 가지고 이 책에 평가를 내리긴 힘들 것 같다. 전체적으로 이 책은 서로 다른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자기 이야기를 하는 일곱 저자의 이야기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 냈기 때문인지 조금 어수선하다. 글도 쉽게 잘 들어오진 않는다. 애초 성균관 양현재 콜로키움에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이야기한 내용이어서인지도 모르겠다. 썩 친절한 책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