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하다 죽어라 - 눈 푸른 외국인 출가 수행자들이 던지는 인생의 화두
현각.무량 외 지음, 청아.류시화 옮김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이런 무서운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책을 종로의 대형 서점에서 목격했을 때 분명 중고생들을 향해 시험공부에 몰두하여 '수능점수 높은' 대학에 가라는 주문이나 하겠지, 정도로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아니었다. 도대체 이건 또 무슨 책이기에 이렇게 대형서점 한복판에 수십권씩 자리를 깔고 탑을 쌓아놨을까, 하는 호기심에 열어봤더니 외국인 스님들의 강연을 글로 옮겨 엮은 것이었다. 내 인생의 힘겨운 시기에 나를 위로해주었던 책 <만행, 하버드에게 화계사까지>를 쓴 현각 스님을 비롯해 무량, 명행, 무심, 무진, 청고 등 한국의 스님으로부터 계를 받은 외국인 스님들과 달라이 라마 등으로부터 계를 받은 외국인 스님들의 강연 내용을 번역해 옮겼다.
책을 읽기 전에 그렇다면, 책 제목인 '공부하다 죽어라'는 두 가지 의미 중 한 가지일 것이다 라고 가정했는데, 하나는 역설적인 제목으로, 주변을 둘러보지 않고 자기계발에만 몰두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공부하지 말라는 반대의 메세지를 품고 있을 것이라는 가정이었고, 또 하나는 여기에서 말하는 '공부'가 우리가 흔히 이해하는 '공부'가 아닌 '수행'을 뜻할 것이다는 가정이었다. 책을 읽고 난 후 제목의 의미는 후자였음을 알았지만, 전자로 봐도 무방하다. 제목은 극단적이고 무섭기까지 하지만 두 가지 의미를 모두 잘 담아내고 있다.
2003년 초겨울, 대전의 한 절에서 국내외 외국인 스님들이 모여 영어로 대중 법문을 시작했고, 그 법문은 꼬박 일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것을, 법회를 주관한 청아 스님 그리고 류시화 시인이 말을 글로 옮기고, 영어를 한글로 번역해 책으로 묶었다. 이 책은 불교 대중서라고 봐야 할 만큼 불교의 기본 이론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특히나 한국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스님들보다 외국에서 건너온 스님들의 말씀에서 이론적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마음으로 공감하기에는 거리감이 있고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현각 스님이나 명행, 무량, 무진 스님들의 말씀은 그보다는 인간의 삶과 연관된 철학적 메세지가 주를 이루어 한결 마음으로 접할 수 있었다.
특히나 현각 스님의 법문을 읽으면서 옛날 생각이 다시 났는지 심하게 '마음이 움직이기도'(감동) 했다. 전체적으로 스님들의 메세지는, 현실에서 우리가 집착하는 것들, 돈, 명예, 권력 등으로부터 멀어져 수행을 통해 참나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세상에는 참으로 많은 집착이 있고, 결국 그러한 집착으로부터 고통이 시작된다. 그러한 생각으로부터 고통이 시작된다.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집착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고통은 생각에서 나오는데, 지금 세상에는 너무 많은 생각과 너무 많은 집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무지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무지란 다만 생각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생각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닙니다. 그러나 내 생각이 실체라고 믿거나, 내 생각은 실재하는 것이라고 믿거나, 내 생각이 영원하며 가치 있는 것이라고 믿을 때, 그것이 무지이며 그래서 그런 문제들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주변 사람들과 자신을 비교하는데서부터 고통은 시작하지 않나 생각한다. 오로지 나만을 놓고 본다면 그 어떤 것에 대해 집착할 필요가 없는데, 나에서 나아가 남을 바라보면서, 나는 왜 쟤보다 더 못한 대접을 받고 있지, 쟤가 나보다 나은게 뭔데, 내 친구가 이번에 집을 샀는데 집값이 수천만원 올랐다더라, 구두 신상품 나왔는데 너무 이쁘다 꼭 갖고 싶다, 등등의 생각들로부터 고통이 시작된다. 교과적인 말이지만 오랜 옛날보다 지금은 고통을 주는 요소들이 너무나 곳곳에 널려있다. 한적한 시골마을이 아닌 도심지에서 살아서 그런지, 의무교육을 받은 후에 대학과 대학원에서 또 교육을 받아서 그런지, 주변에 잘 나가는 사람들이 많이 보여서 그런지, 내가 내 능력을 과대평가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내게 고통을 주는 요소들이 너무나도 많다.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라고 말하는 스님들은 모든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일까. 스님들은 진정 어떤 것에 대한 집착이 없는 것일까. 그들의 생각은 모든 것으로부터 떠나있는 것일까. 책을 읽으면서 계속 그런 생각들이 떠나지 않는다. 과연 그것이 가능한걸까. 스님들은 모두 외국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아니면 그곳에 온 한국의 스님들로부터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는데, 그들은 정말 깨달음을 얻은 것일까. 나이를 먹을수록, 공부를 할수록, 사람들을 더 만날수록, 내가 집착하는 요소가 더 많아지는 느낌을 받는다. 오히려 차라리 의무교육만을 받고 시골 어디 한적한 마을에 가서 마을 사람들하고나 함께 생활하면서 살아간다면 지금과 같지 않을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하면 내가 자유로울 수 있을까, 를 고민하고, 자유로워지기를 갈망하지만, 나는 여전히 어디엔가 매어있고, 내 몸조차 가까운 어디로도 떠날 수 없음을 안다. 감각세계를 멀리하고, 나를 버리고 나를 만난다는 것은 내겐 너무나 힘겹다. 그렇다고 스님들의 말씀이 전혀 의미없는 머나먼 세계의 말이라는, 구름 잡는 말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그 분들의 말씀은 당연하고, 옳아보이지만, 그것에 도달하기까지는 지금의 나로선 너무나 멀리 있다는 생각이다. 끊임없이 수행하고 나를 닦으려는 노력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다보면 서서히 변하고 있는 나를 발견할테니까.
불교에 관심이 있으면서 절에는 한 번도 간 적이 없다. 종교로서의 불교가 아닌 철학으로서의 불교, 삶의 깨달음을 주는 불교로서의 불교를 접하고 싶다. 현각 스님의 책을 통해 마음이 '동(動)'했을 때, 현각 스님을 만나뵙고 싶기도 했다. 결국 아무데도 못가고 방안에 머물러 있었지만. 64년생인 그가 미국에서 숭산 스님을 만나 출가를 결심한게 1990년, 그리고 그간의 경험을 풀어 책을 쓴게 1999년이다. 우리 나이로 스물일곱의 나이에 출가를 했고, 서른여섯의 나이에 그가 출가를 결심하게 되기까지의 고민과 생각을 풀어 썼다. 그로부터 또 9년이 흘렀다. 그의 책을 접한 때가 2000년, 그로부터 8년이 지난 지금, 나는 거기서 더 나아가지 못했다. 어떻게 하면 참나를 찾을 수 있을지, 어떻게 하면 집착하는 나를 버릴 수 있을지, 아직 모른다.
이 책은 큰 깨달음을 줄 수 있는 책은 아니다. 마음의 큰 감동을 줄 수 있는 책도 아니다. 그런 책을 원한다면 절판된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접하기를 바란다. 푸른 눈의 외국인 스님들의 법문을 현장에서 경험했다면 조금 다를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 책은 깊은 마음의 움직임을 주지는 못한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독자에 따라 어떤 글줄을 읽다가 멈춰서서 생각에 잠길 수는 있을 것이다. 많은 스님들의 법문을 한데 모아 짧게 엮다보니 지면의 한계로 메세지가 깊이 전달되지 않은 까닭도 있을 것이고, (한국에 머무는 외국 스님들이 아닌) 외국에서 온 스님들의 불교 이론에 관한 해설이 오히려 마음보다 머리로 읽도록 했다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괜찮은 책이며, 이 책을 계기로 한글로 출판된 다른 스님들의 책도 읽어 감동을 얻는다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아직 접하지 못한 무량스님의 책을 읽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