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 - 그 많던 언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다니엘 네틀·수잔 로메인 지음, 김정화 옮김 / 이제이북스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내가 처음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미 논쟁의 열기가 다 식어버린 시점이었다. 고종석에 대한 관심은 복거일로 옮겨갔고, 복거일에 대한 관심은 그로부터 시작된 영어공용화론으로 옮겨갔으며, 이 논쟁에 참여한 학자와 지식인들이 쓴 책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언어'는 내 안에 들어왔다. 영어공용화론에서 이제는 전 세계 언어의 생성과 사멸에 대해 생각한다. 범위는 넓어졌고 관심은 깊어졌다.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은 이와 같은 관심에서 접하게 되었다. 이 책은 예전에 읽었던 <언어의 죽음>이라는 책과 매우 닮아있다. 논지 전개 방식이며 담아내는 내용까지.
<언어의 죽음>에서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전 세계의 언어 분포를 보여주면서, 지구상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나라 수와는 별개로, 수많은 부족들이 존재하고, 부족들의 수 만큼이나 많은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그는 언어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명백한 사실로 받아들이며, 그 증거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로부터 뻗어나간 호기심은 그렇다면 언어가 어떻게 죽어가고 있는가,에 맞춰진다. 그는 그 원인을 두 가지로 요약하는데, 하나는 자연재해 때문이요, 다른 하나는 문화흡수현상 때문이라 한다. 태풍이나 지진, 해일에 의해서 언어사용자가 사라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언어 또한 소멸을 맞이하는 것이 첫번째, "한 문화가 좀 더 지배적인 문화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특성을 잃어 가기 시작하면서, 결과적으로 구성원들이 새로운 행동 양식과 습속을 받아들이"며 언어가 사라지는 것이 두번째에 해당한다.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의 저자 다니엘 네틀과 수잔 로메인이 말하는 언어의 소멸과정 또한 그와 다르지 않다. "과거에는 이러한 멸종이 대개 인간의 개입과 관계없이 발생했지만 이제는 인간의 개입을 통해, 특히 인간이 환경을 바꾸어 놓음으로써 유례 없는 규모의 멸종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p39) 데이비드 크리스털과 마찬가지로 다니엘 네틀과 수잔 로메인은 자연재해에 의한 언어의 소멸보다는 인간의 개입을 통한 환경 변화에 의한 언어 소멸에 주목한다. 자연재해에 의한 언어소멸은 우리가 막을 수 있는 부분이 아니지만, 후자는 분명 누군가에 의해 저질러지고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명백한 '언어 살해'다.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의 저자들은 이러한 언어 살해의 원인을 좀더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오독한 것 아니라면, 저자들이 말하는 언어 살해는 분명 후자에 가깝지만, 전자와 무관하지 않다. 자연 재해로 인한 언어 소멸은 환경의 변화가 곧 언어사용자의 감소로, 그것이 또 결국 언어의 소멸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들에 따르면 현재 언어는 환경에 의해, 생태계의 붕괴로 인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말하는 언어의 소멸 과정은 문화흡수현상보다는 자연재해에 의한 소멸과정과 닮아있다. 단지 다른 것이 있다면, 순수하게 자연에 의해서 언어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인간이 개입한다는 사실이다. 인간에 의해 생태계의 붕괴가 일어나고, 생태계의 붕괴는 결국 언어 사용자의 감소와 언어의 소멸로 이어진다.
"보다 큰 그림에서 볼 때, 언어들의 멸종은 전 세계적인 생태계 붕괴 현상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소위 생물언어적 다양성의 위기가 발생하게 된 이면에는, 인간이 지구 생태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오류가 있는 것이다."(p39)
언어는 분명 죽어가고 있다. 저자가 인용한 <민족담화>에 의하면 "전 세계의 90퍼센트가 가장 많이 쓰이는 백 개의 상위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최소한 6천 개 정도의 언어를 세계 인구의 10퍼센트에 불과한 수가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럼 나머지 언어들은 어디로? 결국 시간을 두고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고종석씨에 따르면, 언어는 감염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우리말이 신라나 조선시대의 것과는 분명 다르고, 그 당시의 사람들이 살아돌아온다해도 우리와는 서로 말이 통하지 않을 것이다. 말뿐 아니라 글도 안 통한다. 그렇다면 굳이 어떤 언어가 자연스럽게 감염되고, 어떤 언어가 자연스럽게 사라져 가는 현상에 대해서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런 반응은 '언어의 감염'과 '언어의 (인위적인) 소멸'을 동일시 했기 때문이다. 언어는 분명 감염되는 것이 맞다. 몇 십년전의 한글 맞춤법과 지금의 한글 맞춤법이 같지 않듯이, 지금의 한국어는 계속해서 감염되고 변화하고 몇십년 후에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어의 '인위적인 감염'(감염은 엄밀히 인위적일 수 없다는 생각이다. '감염'이라는 말 자체에 자연스러움이 내포되어 있다.)을 자연스러운 감염과 구분해야 할 것이다. 누군가에 의해 인위적으로 언어가 변화해가고, 사라질 운명이라면, 그것을 막는 것이 도리다.
분명, 한국어는 세계 10대 언어 중 하나로, 수십년이 지난 뒤에도 생존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언어가 사라질 예정이 아니라고 해서 현재 세계 곳곳에서 자행되고 있는 언어 살해 행위를 두고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지금과 같은 속도로 언어가 사라진다면 수십 년 뒤에는 한국어가 멀쩡히 살아있을지 몰라도, 수백년 뒤에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지금 당신이 살아있은 동안에는 적어도 소멸할 일은 없다, 고 말하시는 분께는 더 말 할 가치를 못 느낀다. 라디오 프로그램 중 '전통의 소리(?)'에서는 지금은 들어보기 힘든 옛 가락과 옛 소리를 할 줄 아는 분들을 찾아다니며 녹음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걸로 아는데, 먼 미래에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을 찾아 녹음을 하고 다녀야 할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왜 언어를 지켜내야 하는가. 책을 읽다보면 그런 의문이 생긴다. 언어가 소멸되면 다른 언어 공동체 속으로 들어가 살아가면 되지 않을까. 한국어를 못하면 영어를 하면 되지 않을까. 영어가 또 세력을 잃으면 중국어나 일본어를 하면 되지 않을까. 그래. 그렇게 쉽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아무런 맥락과 생각 없이 다양성을 위해서 언어 소멸은 안 된다고 구호를 외치는 것보다는 그래도 낫다. 하지만, 언어는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나의 생존과 나의 정체성과 관련된 문제다.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나를 떠올려보라. 만국 공통어로 쓰이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면 그게 더 살아가는데 낫지 않냐고.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이다. 이 책의 저자의 목소리를 빌어 그 이유를 말한다.
"인간만의 발명품인 언어는, 하나의 종으로서 인간에게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문화, 기술, 예술, 음악, 그리고 그 외에도 많은 것들을 가능케 한 것이 언어였다. 모든 인간들이 축적해 놓은 풍요로운 지혜의 원천이 바로 언어이다. 기술은 다른 기술로 대체될 수 있지만, 언어들은 그렇지 않다. 각 언어마다 세계를 보는 자신만의 창이 있다. 모든 언어는 살아 있는 박물관이며, 언어가 스스로 일구어 낸 모든 문화의 기념비와도 같다. 다양성의 상실을 막기 위해 무언가 해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상황에서 다양성의 일부라도 잃게 된다면, 이는 우리 모두에게 손실을 안겨 주는 것이다. 더욱이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언어를 가질 권리, 그 언어를 문화자원으로 보존하고, 자손들에게 물려줄 권리를 갖고 있다."(p34-35)
사람은 물론 말을 하지 않고도 살 수 있고, 필요하다면 다른 언어를 배워 다른 언어 공동체 내에서 살아갈 수도 있다. 하지만 단지 '살아갈 수' 있을 뿐이다. '살아있다'는 말에 대해 생각해본다. 내가 살아있음을 느낄 때는 언제인가, 나는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내가 사용하고 있는 언어와 글이 없어졌을 때, 그것은 비단 언어와 글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가 향유하고 있는 온갖 문화들, 예술, 책, 음악, 시 등에서 느끼는 모든 감정들까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들이 없다고 생각했을 때 내가 온전히 나로서 살아갈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자. 아 힘들겠다, 는 생각이 들면, 당신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지켜내면 된다. 당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된다. 그리고 먼 미래에 당신이 처할 그 위기를 지금 겪고 있는 그들을 위해 목소리를 내주면 된다. 그것이 당신이 '살아있음'을 계속 간직할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