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이직 시대 - 데이터로 본 이직 트렌드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105
원티드랩 지음 / 스리체어스 / 2024년 2월
평점 :
대이직 시대, 이직이 권유되고 이직을 해야만 하는 시대다. 고등학교 또는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한 회사에서 정년을 맞는 시대는 갔다. 정년이 보장된 공무원이나 교사조차도 이직을 하는 시대다. 사람들은 더 이상 정년을 원하지 않으며, 정년을 바라며 한 회사에서 쫓아내지 않기만을 바라며 일하는 사람들은 꾸준히 자신을 계발하고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당연하게도, 뒤쳐진다. 그래도 정년을 보장받을 수만 있다면 내가 다른 이들보다 무능하든, 일을 덜하든 무슨 상관이냐 생각할 수도 있다. 여기서부터는 자신의 인생 철학이다. 자기 계발 없이 정년을 바라보고 있었는데 중간에 불가피하게 퇴사당할 수도 있고,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알 수 없다.
나는 누가 채찍질하지 않아도, 닥달하지 않아도, 늘 자신을 계발한다. 일하지 않는 시간에도 피곤해서 누워 있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생산적인 활동을 한다. 그게 일과 관련된 일이든, 일에서 뻗어나간 취미생활이든, 새로운 도전이든.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전선에 섰을 때, 공무원이나 대기업 취직을 준비하는 것이 사회적인 흐름이었다. 그런데 나는 직장이 아니라 직업을 생각했다. 어느 회사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고, 무슨 일을 할 것인가,를 생각했다. 직장이 아닌 직업을 선택한 나는, 이 직업에서 능수능란한 사람이 되기 위해, 유능한 사람이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그 결과, 이직을 여러 번 했다. 매번 새로운 도전이었다.
직장생활 20년 정도 기간 동안 보면, 한 회사에서 투덜투덜 대면서도 퇴사하지 않고 오래 일하는 사람이 있다. 무능해서 못 나가는 사람도 있지만, 유능한데 성향상 여러 회사를 돌아다니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이직은 많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이직한 회사가 전 회사보다 못할 수도 있고, 갔는데 빌런을 만날 수도 있고, 내가 원하지 않는 직무를 갑자기 시킬 수도 있다. 여러 위험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직을 적극 권유한다. 가서 부딪혀라. 부딪히고, 싸우고, 그 경험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라.
경험이 넓어진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다. 이직을 여러 번 하면서도 매번 자신이 이전에 했던 직무만을 하기 원하고, 그 포지션에만 머물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모든 경험은, 자신이 어떤 마음을 가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사람은 이직을 여러 번 한다고 해도 스스로 성장하지 못한다. 이직을 권유하는 이유는, 연봉 상승과 더불어, 커리어 성장, 커리어 확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다른 회사에서 다른 시스템에서, 다른 사람들과 일하면서 나는 성장한다. 내가 성장한다는 느낌은 매우 중요하다. 발전하고 성장하는 경험 없이 정체되어 있기만 하다면, 단순히 월급을 받기 위해 한 달을 채우는 사람에 불과하다.
대이직의 시대. 주니어들이 자꾸 나가고 시니어들이 안 나가는 회사라면, 고민을 해야 한다. 시니어들은 정년을 바라보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고, 주니어들은 성장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내가 성장할 수 없고 발전할 수 없고 배울 것이 없다면, 당연히 아무리 복지와 연봉과 근무환경이 좋은 회사여도 퇴사한다. 회사는 고인 재직자들이 생동감 있게 적극적으로 스스로 나아지려는 시도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보통 이직하는 유형들을 보면, 연봉이 안 올라서, 같이 일하는 동료가 너무 못해서, 상사가 괴롭혀서, 내가 성장할 수 없어서 중 하나다.
조용한 사직이 한때 유행이라고 했지만, 이 책에 따르면 이제 시끄러운 사직이 유행이다. 조용한 사직은 퇴사하지 않고 조용히 자기 일만 묵묵히 하면서 퇴사를 준비하는 것이고, 시끄러운 사직은 “ 퇴사를 고려 중이거나 앞둔 구성원이 자신이 느끼는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하거나 상사에게 반발하는 등 회사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거나 상사에게 반발하는 등 회사에 대한 불만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가리킨다.” 조용한 사직은 회사 구성원으로서는 건강하지 않다. 나갈 준비를 하며 월급을 받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회사가 잘 되고 건강하려면 시끄러운 이들이 솔직하게 말하고, 회사는 이를 경청해야 한다.
이 책은, 매우 얇고 내용 면에서 많이 아쉽다. 살짝 건드리기만 한 느낌이다. 스리체어스의 이 시리즈 자체가 워낙 트렌디한 주제들을 살짝씩 건드리는 방식으로 내고 있기에 어쩔 수 없다.
아무리 연봉이 만족스러워도 조직 문화와 함께 일하는 동료가 잘 맞지 않는다면 직장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 P36
자연스레 현재 몸담은 조직에 미래를 맡기기보다는 여러 직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능력을 키워 앞길을 스스로 개척하려는 사람이 많아졌다. 결국 한 회사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승진하는 것 이상으로 ‘커리어패스를 통해 어떤 역량을 쌓고 얼마나 성장하는지’가 중요해진 것이다. - P59
요즘 세대는 한 조직에 자신의 미래를 고스란히 맡기기보다, 여러 직장을 거치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고 능력을 키워서 필요한 순간에 언제든 다른 회사의 문을 두드릴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경향이 있어요. - P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