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에떼 - 문화와 정치의 주변 풍경
고종석 지음 / 개마고원 / 2007년 2월
절판


중요한 것은 균형을 잃지 않는 일이다. 그 균형은 개인성과 집단성 사이의 균형이거나 회의와 수용 사이의 균형이겠지만, 더 일반적으로는 우익적 세계관과 좌익적 세계관 사이의 균형과도 무관치 않다. 인간은 불평등하게 마련이라는 생각과 인간은 평등해야 한다는 생각 사이의 균형, 인간은 유전적으로 결정된다는 생각과 인간은 사회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는 생각 사이의 균형 말이다. 그 균형은, 더 나아가, 인간은 (사회적으로든 유전적으로든) 결정될 수 밖에 없다는 차가운 인식과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니고 있다는, 지녀야 한다는 뜨거운 믿음 사이의 균형이기도 하다. 그런 균형을 유지한다는 것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비평적 거리를 유지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구겨진 기억 속에서] 中-58-59쪽

요컨대 [변호]의 저자는 친일파 내지는 친일 행위와 일본 식민통치를 동시에 변호하고 있다. 친일파에 대한 변호의 논거는 식민통치가 유난히 혹독했고 잔인했으므로 거기에 대한 저항이 불가능했다는 데 있고, 일본 식민통치에 대한 변호의 논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조선 사람들의 생존에 이전보다 그리고 동시대의 다른 많은 사회보다 상당히 나은 환경을 제공했다는 데 있다. 그러니까 [변호]의 저자의 생각에 따름녀 일본의 식민통치는 조선인의 저항을 불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는 나빴지만 (정치적으로 나빴지만), 조선인의 생활 조건을 개선했다는 점에서는 좋았다(경제적으로 좋았다).
사실 친일파의 입장에서 이보다 더 만족스러운 변호도 없다. "그때는 저항할 처지가 아니었다구, 그만큼 일본 애들이 악독했다니까...... 그런데, 사실 저항할 필요도 없었어, 사실은 일본 애들이 좋은 일을 많이했거든." 어디서 많이 듣던 얘기 아닌가? "유신 체제와 5공을 찬양하고 협력한게 잘 한 일은 아니지만 그땐 그럴 수 밖에 없었다구, 그 체제가 사람을 가만히 놔두지 않을 정도로 혹독했거든... 그런데, 어찌 보면 사실 거기 저항할 필요도 없었어. 박정희, 전두환 때 우리 경제가 얼마나 나아졌는데."
그런데 이런 '균형' , 정치적 차원의 비판과 경제적 차원의 찬사 사이의 균형이 오래 가는 법은 없다. 너무도 쉽게 정치는 경제에 포섭된다.

[식민주의적 상상력] 中-106-107쪽

기실 [변호]의 저자도 자신의 첫 평론집 [현실과 지향](문학과 지성사, 1990)에 실린 '보수주의 논객을 기다리며'라는 글에서 보수주의라는 말에 아우라를 씌우려고 애쓴 바 있다. 그가 그 글에서 인용한 새뮤얼 브리튼에 따르면, 보수주의는 시장에서 나오는 소득과 재산의 분배 상태를 수락하는 데 비해 자유주의는 강력한 재분배 조세를 추천한다. 또 보수주의는 개인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을 경우에만 시장에 개입하는데 비해, 자유주의는 개인적 비용과 사회적 비용 사이의 차이에 대해 민감하고 시장에 훨씬 많이 개입한다. 자연히, 보수주의는 민간 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자유주의는 민간 기업에 대해 별다르게 강조하지 않는다.

[식민주의적 상상력] 中
-110쪽

우리가 인과율의 엄격함을 받아들인다면, 이것이 그 자체로 틀린 말들은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과거가 운명이므로 우리는 그것을 늘 다소곳하게 긍정해야 할까? "우리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역사적 사실의 산물이다. 만일 조선이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지 않았다면, 우리는 존재할 수 없었다."는 이유로 우리가 친일과 식민통치를 긍정해야 한다는 것은, 결국 존재하는 모든 것은 과거를 긍정해야 한다는 말이다. 오로지 그 과거 때문에 자신이 있게 됐다는 이유 때문에 말이다. 그렇다면, 폴란드의 절멸 수용소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미국으로 건너간 유대인 여성의 손녀는 "나는 아우슈비츠라는 역사적 사실의 산물이다. 아우슈비츠가 없었다면 나는 존재할 수 없었다."는 이유로 홀로코스트와 거기 협력한 사람들에게 이해의 눈길을 보내야 할까? 킬링필드의 광란을 피해 20대 시절의 캄보디아인 아버지가 프랑스로 망명한 덕에 '존재하게 된' 프랑스 청년은 "나는 킬링필드라는 역사적 사실의 산물이다. 킬링필드가 없었다면 나는 존재할 수 없었다"는 이유로 킬링필드와 그것을 주도하거나 협력한 사람들을 이해의 눈길로 바라보아야 할까? 이것은 거의 자기 모멸의 실존이라 할 만하다.

[식민주의적 상상력] 中

-116-117쪽

그러나 그런 사정이, [변호]가 시도하듯, 친일에 면죄부를 줄 수 있는 것은 안디ㅏ. 친일에 면죄부를 줄 수 없는 것은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법적 기반이 일본 제국주의의 부정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뜻하는 것은 적어도 적극적 친일파는 해방된 조국에서 변두리로 물러나야 했다는 뜻이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 실제의 역사는 첫 걸음부터 그렇지 못했다. 그것은 제 한 몸 깨끗한 체하며 친일파를 권력 기반으로 삼았던 이승만 개인의 잘못만도 아니었다. 그것은 차라리 해방 공간을 메우고 있던 힘의 관계 때문이었다. 그 힘의 관계는 민족 내부의 역학이기도 했고, 국제 정치의 역학이기도 했다. 우리는 그 힘의 관계를 뒤집지 못한 채 해방 반세기를 넘겼다.
논리적으로라면, 해방 공간에서 적극적 친일파에게 남겨진 길은 둘이었다. 첫째는, 자신의 과거를 철저히 비판하고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었다. 둘째는, 비록 미국의 힘에 눌려 좌절하기는 했으나 대동아 공영권은 아시아의 궁극적 미래라는 논리를 굽히지 않은 채 일본으로 망명하거나 국내의 소수파로 남는 것이었다. 그러나 꾀 많은 그들은 둘 다를 거부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친일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숨긴채, 이제 새로운 가치가 된 반공의 전사가 되었다. 그 꾀는 적중해 그들은 해방된 조국의 주류로 남았다.

[식민주의적 상상력] 中
-118-119쪽

보수주의는 일반적으로 변화를 피하고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사상이나 습속, 태도를 가리킨다. 그것은 존재하는 것은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어서 존재하는 것이니 무슨 이유에서든 그것을 억지로 바꾸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나 태도다. 거기에는,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거의 예외 없이 또 다른 문제를 만들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는 비판적 방어 심리가 깔려 있다. 보수주의적 세계관에 따르면, 존재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이거나 적어도 덜 나쁜 것, 견딜 만한 것이다.

[작달만한 시민들의 우람한 보수주의] 中-144쪽

그렇다고 여성과 남성 사이에 또렷한 자연적 차이, 생물학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부인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대부분의 스포츠 경기에서 여성은 여성끼리, 남성은 남성끼리 경쟁한다. 더 나아가 그런 자연적 차이, 생물학적 차이가 사회적 차이를 어느 정도까지는 정당화할 수 있다는 사실까지도 굳이 부인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와 함께, 인간 사회에서 전형적으로 구성된 문화나 문명이라는 것은, 이제는 초등학교 학생들도 이해하고 있듯, 자연에 거스른다는 의미에서 근본적으로 반생물학적이라는 점도 늘 기억해야 할 것이다. 문화는 자연의 지침을 수동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가치의 실현을 위해서 자연을 제어하는 것이다. 위계적 질서는 자연적 질서다. 평등적 질서는 부자연스러운 질서다. 그러나 자연계에서 오직 인간만이 평등적 질서를 열망하고, 그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서 싸운다. 평등에 대한 열망은, 그 부자연스러움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구별하는 유력한 표지 가운데 하나다. 당위는 존재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다. 남성의 지배가 실질적으로 보편적이라는 관찰이 이런 위계적 질서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으로 반드시 이어져야 할 이유는 없다. 마찬가지로, 남성의 정치 독점이 역사적으로 보편적이었다는 관찰이 앞으로도 그래야 한다는 주장으로 반드시 이어져야 할 이유는 없다. 우리는 문화와 문명을 건설한 인간이기 때문이다.

[반생물학을 위하여] 中-171-17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