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근로’가 미덕이라는 믿음이 현대 사회에 막대한 해를 끼치고 있다.(버트런드 러셀)
12 극단적인 표현을 빌리자면 헝그리 모티베이션에 의해 움직이던 인간은 벌레와 같은 행동원리로 움직였다고 할 수 있다. 즉, 배고픔에서 벗어나고자 식량을 찾아 이동하고 위험할 때는 안전한 곳으로 몸을 피한다. 이는 모든 생물의 근본을 이루는 행동원리이므로 결코 잘못되었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절대적인 결핍에서 해방된 현대인이 헝그리 정신의 악순환에 더욱더 빠져들어 탐욕스럽게 부와 성공을 좇으며 정보수집에 홀린 오늘날의 모습은 어리석기 짝이 없다.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실존적인 물음을 고민하는 상담자가 늘어나는 현상은 어느 사이엔가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만족이 포화점에 달해 이것만으로 더는 우리에게 ‘살아가는 의미’를 부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22 사람은 자신의 내면에 자리 잡은 공허감을 쫓아내기 위해서 물건을 채워 넣는다. 이러한 사람이 바로 수동적인 인간이다. 수동적 인간은 자신이 보잘것없는 존재라는 불안한 마음에 그 불안을 잊으려 소비하고, 소비인이 된다.(에리히 프롬, "인생과 사랑")
87-88 노동이 가장 경멸받는 최하의 지위에서 인간의 모든 활동 중에서도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최고의 지위로 급격하고도 눈부시게 상승한 것은 존 로크가 ‘노동은 모든 재산의 원천’이라고 내세운 것이 발단이었다. 그 후 애덤 스미스가 ‘노동이 모든 부의 원천’이라고 주장하면서 노동에 대한 평가 상승은 지속되었고 카를 마르크스의 ‘노동체계’에 이르러 정점에 달했다. 이에 노동은 모든 생산성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인간성 자체의 표현이 된 것이다.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133 개인주의의 출현으로 각 개인에게는 자신에 대한 새로운 책임, 곧 자신다운 자신이 되어야 한다는 의무가 부과되었다. 우리는 모두 낭만주의자이며 따라서 자기실현이라는 관념을 확고하게 믿는다. 이미 주어진 자신을 돌아보지 않고 새로운 자아의 형성만을 목표로 한다. 진정한 자아는 스스로 만들어내야 한다. 이제 노동은 스스로 자아를 창출하는 과정에서의 도구다.(라르스 스벤젠, "노동이란 무엇인가")
182 인생을 음미하는 일이 어딘가 패덕(도덕이나 의리 또는 올바른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인 듯 비쳐지고, 간신히 노동이라는 고역을 다한 후에 겨우 ‘포상’으로 조금 허락되는 사치쯤으로 인식되는 실정이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 가령 회사원이 업무를 끝마치고 나서도 혼자만 퇴근하기가 꺼려진다거나 유급휴가를 신청하는 것이 눈치 보이는 일 등은 틀림없이 이와 같은 사회 분위기가 빚어낸 전형적인 결과다.
210-211 개미 신앙은 금욕적으로 노동하며 미래에 대비하는 삶을 과도하게 찬양하고, 그 반작용으로서 ‘현재를 위해 살아가는’ 또는 ‘삶을 즐기는’ 일을 옳지 못하다고 인식하는 왜곡된 가치관을 만들어냈다. 괴로운 일을 참고 견디는 것이야말로 정당한 일이고 즐기거나 마음 편한 일은 타락으로 여겨 죄책감을 느낀다. 그러한 심리 상태로 답답한 인생을 살고 있는 사람이 오늘날에도 많이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