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conomist (주간 영국판): 2020년 08월 08일 - 영어, 매주 발행
The Economist 지음 / The Economist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리핑은 COVID-19로 개편을 강제받게 된 대학교육의 미래를 다뤘다. 그리고 6주간, 경쟁정책, 최저임금, 인플레이션, 달러화, 공공부채 등에 관한 ‘경제학의 새로운 생각들‘을 다루는 특집이 실린다. 정말 돈값 제대로 하는 잡지가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COVID-19 pandemic is forcing a rethink in macroeconomics," The Economist (Jul 25, 2020) https://www.economist.com/briefing/2020/07/25/the-covid-19-pandemic-is-forcing-a-rethink-in-macroeconomics



Woodford, Michael and Xie, Yinxi, "Fiscal and Monetary Stabilization Policy at the Zero Lower Bound: Consequences of Limited Foresight" (July 2020). NBER Working Paper No. w27521,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649885


Abstract:

This paper reconsiders the degree to which macroeconomic stabilization is possible when the zero lower bound is a relevant constraint on the effectiveness of conventional monetary policy, under an assumption of bounded rationality. In particular, we reconsider the potential role of countercyclical fiscal transfers as a tool of stabilization policy. Because Ricardian Equivalence no longer holds when planning horizons are finite (even when relatively long), we find that fiscal transfers can be a powerful tool to reduce the contractionary impact of an increased financial wedge during a crisis, and can even make possible complete stabilization of both aggregate output and inflation under certain circumstances, despite the binding lower bound on interest rates. However, the power of such policies depends on the degree of monetary policy accommodation. We also show that a higher level of welfare is generally possible if both monetary and fiscal authorities commit themselves to history-dependent policies in the period after the financial disturbance that causes the lower bound to bind has dissipated. Hence forward guidance continue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stabilization policy.





"II. A monetary lifeline: central banks' crisis response," BIS Annual Economic Report (Jun 30, 2020) https://www.bis.org/publ/arpdf/ar2020e2.htm


Key takeaways:

1. In the face of an unprecedented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central banks were again at the forefront of the policy response. In concert with fiscal authorities, they took swift and forceful action, tailored to the specific nature of the stress.

2. Central banks' role as lenders of last resort has seen another important evolution. There has been a marked shift towards providing funds to the non-bank private sector and,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towards interventions in domestic currency asset markets.

3. In the post-crisis period, much higher sovereign debt and heightened uncertainty about the overall economic environment - particularly the inflation process - could further complicate the trade-offs central banks face.



Webinar: Olivier Blanchard on what it will take to save the economy from COVID-19 https://youtu.be/9jSyhtYq_ME (관련 기사: https://promarket.org/2020/04/08/covid-19-central-banks-and-debt-monetization-a-webinar-with-olivier-blanchard/)




Brunnermeier, Markus K., and Yann Koby. “The Reversal Interest Rate,” (Dec 2018). NBER Working Paper No. w25406, https://scholar.princeton.edu/markus/publications/reversal-interest-rate-effective-lower-bound-monetary-policy


Abstract:

The “reversal interest rate” is the rate at which accommodative monetary policy reverses its intended effect and becomes contractionary for lending. It occurs when banks' asset revaluation from duration mismatch is more than offset by decreases in net interest income on new business, lowering banks' net worth and tightening their capital constraints. The determinants of the reversal interest rate are 1) banks' fixed-income holdings, 2) the strictness of capital constraints, 3) the degree of pass-through to deposit rates, and 4) the initial capitalization of banks. Furthermore, quantitative easing increases the reversal interest rate and should only be employed after interest rate cuts are exhausted. Over time the reversal interest rate creeps up since asset revaluation fades out as fixed-income holdings mature while net interest income stays low. We calibrate a New Keynesian model that embeds our banking frictions and show that the economics behind the reversal interest rate carry through general equilibrium.




Atif Mian, Ludwig Straub, and Amir Sufi. Working Paper. “The Saving Glut of the Rich and the Rise in Household Debt” (Jul 2020) https://scholar.harvard.edu/straub/publications/saving-glut-rich-and-rise-household-debt


Abstract:

Rising income inequality since 1980 in the United States has generated a large increase in saving by the top of the income distribution, which we call the saving glut of the rich. The saving glut of the rich has been on the same order of magnitude as the global saving glut, and it has not been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investment. An examination of the distribution of income and wealth reveals that a large fraction of the rise in household borrowing by non-rich households has been financed by rich households through this saving glut. Analysis using variation across states in the rise in top income shares shows that income growth at the top of the income distribution can explain 75% of the accumulation of household debt held as a financial asset by households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Great Recession, evidence suggests that the saving glut of the rich has been financing government deficits to a greater degree.



Mian, Atif R. and Straub, Ludwig and Sufi, Amir, Indebted Demand (April 2020). NBER Working Paper No. w26940,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569405


Abstract:

We propose a theory of indebted demand, capturing the idea that large debt burdens by households and governments lower aggregate demand, and thus natural interest rates. At the core of the theory is the simple yet under-appreciated observation that borrowers and savers differ in their marginal propensities to save out of permanent income. Embedding this insight in a two-agent overlapping-generations model, we find that recent trends in income inequality and financial liberalization lead to indebted household demand, pushing down natural interest rates. Moreover, popular expansionary policies—such as accommodative monetary policy and deficit spending—generate a debt-financed short-run boom at the expense of indebted demand in the future. When demand is sufficiently indebted, the economy gets stuck in a debt-driven liquidity trap, or debt trap. Escaping a debt trap requires consideration of less standard macroeconomic policies, such as those focused on redistribution or those reducing the structural sources of high inequality.




Stansbury, Anna and Summers, Larry, The Declining Worker Power Hypothesis: An Explanation for the Recent Evolution of the American Economy (May 2020). NBER Working Paper No. w27193,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609645


Abstract:

Rising profitability and market valuations of US businesses, sluggish wage growth and a declining labor share of income, and reduced unemployment and inflation, have defined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of the last generation. This paper offers a unified explanation for these phenomena based on reduced worker power. Using individual, industry, and state-level data, we demonstrate that measures of reduced worker power are associated with lower wage levels, higher profit shares, and reductions in measures of the NAIRU. We argue that the declining worker power hypothesis is more compelling as an explanation for observed changes than increases in firms’ market power, both because it can simultaneously explain a falling labor share and a reduced NAIRU, and because it is more directly supported by the data.



Martin Sandbu: The Economics of Belonging (Bristol Festival of Ideas) (Jul 16, 2020)

https://youtu.be/MhjI2RpeHF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적 검증이 필요한 문제겠지만,)

연애에서 ‘밀당‘이 유사 이래 상당히 유력한 전략 중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처럼(테스터 전략? 그러나 단호한 팃포탯에 뼈도 못 추릴 수 있다. 마케팅에서도 Push-Pull Strategy라는 것이 있다),

투표에서도 Swing State 또는 Pivot County인 것이 정치인들의 관심과 정성을 지속적으로 붙들어 매고, 부패하지 않도록 긴장시킬 수 있는 꽤 유력한 전략 같은데(특히 자립도가 떨어지는 지역에서라면. 스스로 최소한도의 매력을 유지하는 한에서... 그러나 인구가 너무 적은 등으로 줄 수 있는 표가 별로 없거나 해버리면 그냥 방기되기 십상이다. 어느새 그런 처지에 떨어져 버리지 않으려면 미리미리 투표 전략을 잘 관리해야 하기도 하고),

아쉽게도 우리나라 정치지형에서 유권자들에게 그런 생각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정치인들을 조련하는 일차적 책임은 유권자에게 있고, 그들을 미시적으로나 대세적으로나 기고만장하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첨부한 그림은 2020년 미국 대선 예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트로이트의 쇠락 그러나 여러 도시와 대학의 혁신 노력으로 대표되는 미국 중서부의 경험은, 우리의 지역균형발전과 도시재생, 대학교육 개편에도 참고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COVID-19가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에 미칠 영향이 또 크겠지만) 예컨대, 산업구조 변화로 도시의 근간이 흔들리게 된 창원, 거제(+ 통영), 울산, 포항과 구미, 군산에 목포·영암·해남, 그리고 광양까지가 부단히 미래를 대비하여야(했어야) 할 지역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차완용, ˝현실이 된 ‘한국판 러스트 벨트’…‘동·서남권이 흔들린다‘˝, 한경 Business 제1195호 (2018. 10. 24.)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18102201195000311 등 참조.

이코노미스트 7월 25일(-31일)호 Special Report: The Midwest에 여러 이야기가 나오지만 다음과 같은 조언들에 눈길이 간다.

첫째, 세제 등 여러 혜택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하는 것 이전에 우선 매력적인 생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좋은 주거 환경, 좋은 교육 환경이 갖추어지면 젊은 부부들이 모이게 마련이다(이는 뒤의 셋째와도 연결된다). 아이들 뛰어노는 소리가 넘쳐야 동네에 활기가 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고도 하는데, 우리 정도로 잘 사는 나라 중에서 우리만큼 아이들에게 적대적인 사회도 드물 것이다. 우리는 언제쯤 아이들이 ‘윗사람‘인 어른들에게 맞추어 감내해야 하는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조금 몸이 크고 먼저 태어났다는 이유로 자신의 알량한 권력을 언제라도 위압적으로 휘두를 준비가 되어있는 유치한 어른들로부터 언제쯤 우리 아이들이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반면 아이들이 많은 동네일수록 아이들의 시간과 속도를 존중할 줄 아는 성숙한 어른도 함께 많다고 느낀다. 그런 환대가 더 많은 아이들을 부른다.]

둘째, 거점이 번성해야 지역 전체가 산다. [덜 배아프기 위해 모두가 덜 행복한-때로는 모두가 불행한- 길에 안주하고 마는 나눠먹기 식 자원배분을 이제는 그만 했으면 좋겠다. 시너지를 ‘애써‘ 막기 위한 하향 평준화, 빠진 독에 돈 붓기를 멈췄으면 좋겠다. 남 잘 되는 꼴을 못 봐서 돈은 돈대로 쓰고 효과는 없게 된 사업이 얼마나 많은가(아, 오송역이여! 수많은 공항들이여!). 입지를 선정할 때도 법을 만들 때도 비용 편익 분석을 철저히 했으면 좋겠다. 정치적으로 안배된 답정너 결론 말고 냉철한 분석과 열린 토론에 터 잡은 치열한 합의를 보고 싶다. 내 지역과 진영의 이익에 당장 반하는 것 같은 결정에 대해서도 깨끗하게 승복하는 문화가 자리 잡기를 바란다. 그럴 수 있으려면 내 손에 잠깐 권력이 들어왔다고 전권을 휘둘러서는 안 된다. 약탈의 악순환을 부를 뿐이다.]

셋째, 좋은 대학이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혁신의 에너지를 북돋워야 한다. [우리나라에 입시정책은 있어도 대학정책은 거의 없다. 있는 정책이란 것도 엄청 크지도 않은 돈을 미끼로 각자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판단을 체념하게 만드는 고약한 것들이다(온 힘을 들이는 입시정책이라고 상황이 나은 것 같지도 않다. 손을 댈수록 부동산 시장처럼 악화되는 것만 같은 느낌적인 느낌ㅠ). 교육부가 관여하는 일들이 너무 많고 시답잖다. 저마다에게 다른 발전의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흔히 생각하지 못하는 길로 치고 나갈 수 있게 길을 터 주어야 한다. 그러려면 정부가 손을 좀 떼야 하고 단기적 성과에 대한 욕심을 버려야 한다. 그래야 세계에서 경쟁력도 생긴다(정부의 역할은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가 되어 대학이 하는 일들을 시시콜콜 쥐고 흔드는 게 아니라, 돈이 되는 분야는 대학이 자율적으로 펀딩을 할 수 있게 해주면서 당장 돈이 되지 않아 소외될 수 있는 분야를 긴 안목으로 보듬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도리어 정부가 성과를 채근하는 형국이고, 대학의 자원배분, 의사결정 전반에 지나치게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 싱가포르 난양공대처럼 클 수 있게 해주어야(연구만 할 수 있게 내버려둬야) 한다. 전 미 상원의원 Daniel Patrick Moynihan(1927-2003)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위대한 도시를 건설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좋은 대학을 만들어라. 그리고 200년을 기다려라.‘ 악조건 속에서도 UNIST의 최근 성장세는 특기할 만하다. 권유진, ˝11년차 신참 UNIST, 논문 평가서 4년 연속 ‘국내 1위‘…비결은?˝, 중앙일보 (2020. 7. 9.) https://news.joins.com/article/23821232 학문도 창업도 자유와 자율의 토양에서 싹 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洋)The Economist 2020年 7月 31日號
日販IPS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 중서부(Midwest) 지역의 이슈 전반을 다룬 Special Report가 지극히 유익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