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 - 마종기 산문집
마종기 지음 / &(앤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혹시 마종기 시인 알아. 나도 잘 안다고 말하기는 어려워. 언젠가 산 시집은 여전히 만나지 않고 그 뒤에 나온 시집과 루시드폴과 나눈 편지글만 만났어. 루시드폴과 나눈 전자편지를 보고 예전에 산 시집 보려고 했는데 어쩌다 보니 못 봤어. 그때도 말했을 텐데 마종기 시인 아버지는 동화작가인 마해송이야. 잠깐 내가 동화를 본 적 있어서 이름은 알았어. 마해송 작가는 국어시간에 들었던가. 나도 잘 모르겠어. 어린이날을 만든 방정환 선생도 떠오르는군. 그리고 이원수 선생. 어쩐지 옛날 작가는 선생이라 해야 할 것 같군. 선생님이라는 말이 더 익숙하지만. 요새는 누구한테나 선생이라 하던가. 지금은 동화를 잘 안 보는군. 그래도 내가 생각하는 건 여전히 어린이 같기도 해. 멋진 소설 같은 이야기는 떠올리지 못한다는 말이야.

 

 예전에도 나왔는지 모르겠는데 마종기 시인 어머니도 대단한 분이었더군. 잘 모르지만 한국에서 처음으로 현대무용을 했대. 동화작가와 현대무용가 부모를 둔 마종기 시인은 어릴 때부터 음악이나 미술을 아주 가까이 했대. 부모님이 어릴 때부터 그런 걸 즐기라고 말씀 하셨대. 예술은 어릴 때부터 만나면 나이를 먹어서도 좋겠지. 난 지금도 모르고 어릴 때는 더 몰랐어. 그저 책이나 볼 뿐이야. 책으로만 봐도 괜찮다 여기기도 하는군. 마종기 시인은 그것보다는 실제 듣고 그림을 보는 게 훨씬 좋다고 했어. 그건 맞는 말인 것 같아. 오래전 사람은 거의 연주회에 가서 음악을 들었잖아. 그래도 녹음기술을 발명해서 누구나 편하게 음악을 듣게 됐지. 축음기는 에디슨이 발명했던가. 갑자기 이런 게 생각나다니. 에디슨은 과학자라기보다 발명가에 가깝다는 말을 어디선가 본 것 같기도 해. 예전에는 귀족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만 음악을 들을 수 있었지만, 축음기 인쇄술이 나오고는 많은 사람이 음악이나 문학을 즐기게 됐지. 난 그런 건 좋다고 생각해.

 

 여러 번 말했는데 난 친구 별로 없어. 사람을 잘 사귀지 못해. 이 책 《아름다움, 그 숨은 숨결》을 보니 마종기 시인은 오랫동안 미국에서 의사로 살았다 해도 친구가 많더라고. 한사람을 사귀면 그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소개해주기도 했어. 난 그런 적 없어. 친구의 친구와 친해지는 일. 그런 일이 있기를 바라는 건지. 나도 모르겠어. 나만 그런 거 잘 못한 거겠지. 난 친구의 친구와 친해지면 안 될 것 같은 생각을 하는군. 지금도 그래. 그러니 안 되지. 앞에서 말한 루시드폴도 출판사 사람이 이어준 거더군. 지금도 서로 연락하고 지낼까. 마종기 시인이 한국에 왔을 때 제주도에 가서 루시드폴 만났을지. 별걸 다 알고 싶어하는군. 마종기 시인 친구에는 세상을 떠난 사람도 있더라고. 그 친구가 살았을 때 마종기 시인이 한국에 오면 여러 가지 마음 써줬던데, 친구가 먼저 세상을 떠나서 슬펐겠어. 그건 슬프다는 말로 나타낼 수 없으려나.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물길이 튼다.

한쪽이 슬퍼지면 친구도 가슴 메이고

기뻐서 출렁거리면 그 물살은 밝게 빛나서

친구의 웃음소리가 강물 끝에서도 들린다.

 

처음 열린 물길은 짧고 어색해서

서로 물을 보내고 자주 섞여야겠지만

한세상 유장한 정성의 물길이 흔할 수야 없겠지.

넘치지도 마르지도 않는 수려한 강물이 흔할 수야 없지.

 

긴말 전하지 않아도 미리 물살로 알아듣고

몇 해쯤 만나지 못해도 밤잠이 어렵지 않은 강,

아무려면 큰 강이 아무 뜻도 없이 흐르고 있으랴.

세상에서 사람을 만나 오래 좋아하는 것이

죽고 사는 일처럼 쉽게 가벼울 수 있으랴.

 

큰 강 시작과 끝은 어차피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과 친하고 싶다.

내 혼이 잠잘 때 그대가 나를 지켜보아 주고

그대를 생각할 때면 언제나 싱싱한 강물이 보이는

시원하고 고운 사람을 친하고 싶다.

 

-<우화의 강1>, 110쪽~111쪽

 

 

 

 

 이 시 어떤 책에서 봤는지 모르겠어. 예전에 보고 괜찮게 생각했는데. 여러 사람 시가 담긴 시집이었을지도. 여기에는 마종기 시인 시도 여러 편 실렸어. 내 기억에 있는 시를 만나서 반가웠어. 마종기 시인은 <즐거운 편지>라는 시를 쓴 황동규 시인하고 친구기도 하다니. 친한지 어떤지 나도 잘 모르겠지만. 황동규 시인 아버지는 황순원이라지. 이거 알았을 때도 놀랐던 것 같아.

 

 

 ‘나보다 나을 것이 없고 내게 알맞은 친구가 없거든 차라리 혼자서 길을 가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어리석은 생각을 하고 사는 사람, 헛된 욕심에 사로잡힌 사람과 친구가 되지 마라. 오히려 네가 힘들게 살게 된다.‘  (205쪽)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만 알았는데, 이 책을 보고 앞에 말도 알게 됐어. 이 말은 친구와 상관있는 말이었군. 내가 《법구경》을 볼 일이 없으니 알기 어려운 말이기는 해. 세상에는 좋은 사람도 있고 안 좋은 사람도 있어. 사람을 다 알기는 어렵지. 마종기 시인은 안 좋은 사람을 만나고 힘들어하다가 ‘법구경’에 나오는 말을 보고 친구를 가려 사귀게 됐대. 친구가 있다 해도 다른 나라에서 익숙하지 않은 말로 일하는 건 쉽지 않겠지. 그럴 때 마종기 시인한테 시 쓰기와 음악과 그림이 힘이 되어주었대. 시인은 외로운 거다는 생각도 늘 한다더군. 마종기 시인이 의사면서도 시와 예술에 관심을 놓지 않은 건 다행이야. 그래서 지금도 시인이잖아. 미국은 의대에 다니는 사람도 문학이나 인문학을 배운다더군. 의사는 아픈 사람을 보는 거잖아. 의사는 병이 아닌 사람을 봐야지. 시나 문학은 의사 마음을 잡아주기도 할 것 같아.

 

 예술은 누구한테나 도움이 될 거야. 돈도 안 되고 그런 거 없어도 사는 데 문제 없겠지만, 그래도 아주 모르는 것보다는 낫겠지. 난 그렇게 믿어.

 

 

 

희선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1-12-22 03:32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마종기 시인 처음 들어보는데 완전 인싸(?)에 엄친아네요. 문학을 좋아하는 의사라니 매력 넘치고 좋은 사람 같아요. 친구가 많은게 꼭 좋지만은 않더라구요. 그냥 친한 친구 100명 보다는 진정한 친구 1명이 더 진실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희선 2021-12-23 01:03   좋아요 3 | URL
지금 보면 마종기 시인을 엄친아라 말할 수도 있군요 그때 미국에 간 게 시대 때문이었나 봅니다 공군 군의관일 때 1965년 재경 문인 105인 한·일회담 반대 선언 명단에 이름이 들어가서 잡혀 가고 심문과 고문을 당했답니다 그 뒤로 한국에서는 의사가 되기 어렵겠다 여기고 미국으로 갔는데, 미국으로 가고 석달 뒤에 아버지가 돌아가셨더군요

한사람이라도 좋은 친구가 있으면 가장 좋지요


희선

그레이스 2021-12-22 08:13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동화작가 마해송은 알아요
아들이었군요?

˝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좋아하면
두 사람 사이에 물길이 튼다.˝

좋은데요?!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는 사람을 만나고 싶고,
저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눈가가 촉촉해지는 시!

희선 2021-12-23 00:57   좋아요 2 | URL
물길을 항상 맑게 고집하기 쉽지 않겠습니다 친하다 여긴 사람한테 안 좋은 일을 겪고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그런 사람을 만나기도 하고 좋은 친구도 많은 듯합니다 미국에 있어도 여전히 연락하고 지내는 친구도 있겠지요


희선

프레이야 2021-12-22 09:2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희선 님과 저와의 사이에도 물길이 트였지요.
그 물길이 늘 맑게 빛나며 가벼이 출렁이길^^

희선 2021-12-23 01:01   좋아요 2 | URL
프레이야 님이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기쁩니다 물길이 맑게 빛나고 가볍게 출렁이는 것도 상상하니 멋지네요 그러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희선

페넬로페 2021-12-22 10:33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시인은 부모의 예술성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 같네요.
시의 말도 좋은데~~
저는 법구경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을 많이 좋아해요^^

희선 2021-12-23 01:04   좋아요 2 | URL
부모님이 어렸을 때부터 예술을 가까이 하라고 하셨다는군요 어렸을 때부터 글을 잘 쓰고 등단도 일찍 한 듯합니다 부모님 영향을 많이 받았겠지요

저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는 말만 알았는데, 그 앞에 좋은 말이 있었네요 그 말 기억하고 싶기도 합니다


희선

바람돌이 2021-12-22 14:4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친구가 많으냐 적으냐, 빨리 사귀나 조심스러우냐가 문제가 아니라 단 한명의 친구라도 진심으로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중요한거죠. 그런 의미에서 희선님은 친구에게 최선을 다한 마음을 주실듯해요. ^^

희선 2021-12-23 01:09   좋아요 2 | URL
바람돌이 님 고맙습니다 친구 한사람 한사람한테 마음을 쓰면 좋겠네요 그러려고 하는데 잘 하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부담주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어서... 잘 하는 것도 없는데 이런 말을 했네요

바람돌이 님 오늘 좋은 하루 보내세요


희선

scott 2021-12-23 00:4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아! 루시드 폴과 마종기 시인이 이렇게 연결이 되는 군요! ㅎㅎ

예술은 누구 한테나 도움이 된다는 말에 동감 합니다! ^^

희선 2021-12-23 01:11   좋아요 4 | URL
루시드 폴은 스위스에서 공부하고 마종기 시인은 미국에서 의사로 일하고 시를 썼네요 루시드 폴은 마종기 시인 시를 즐겨 봤다고 합니다

예술을 잘 알면 좋겠지만 잘 몰라도 좋아하면 되겠지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