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product/30344/12/cover150/e692530232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513/pimg_7905981333856522.jpg)
디탄공원 남문 由Potatohai - User:Potatohai took this photo at Temple of Earth.,CC BY-SA 4.0 위키미디어커먼즈
디탄공원 공식 웹사이트http://www.dtpark.com/
절망의 산에서 지팡이가 되어주다, 중국인에게 스톄성의 사색기로 기억되는 디탄공원(한겨레21) https://h21.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48912.html
스테셩(사철생)은 영화 '현 위의 인생' 원작자이다.
![](https://image.aladin.co.kr/product/27905/9/coveroff/e562539161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0239/70/coveroff/e702530526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97/97/coveroff/8980386109_1.jpg)
중국 작가 스테셩史鐵生이라는 분의 에세이 『나와 디탄』에서 롤랑 바르트를 언급하는 것을 보았다. 작가가 청년 시절 하반신 마비로 방황의 시절을 보낼 때 무엇이든 써야겠다는 마음의 소리를 듣고 롤랑 바르트의 『글쓰기의 영도』라는 책을 읽고 큰 감동을 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신에게 있어 이 책은 ‘삶의 시작점’이라고 했다. 내게는 너무 힘들었던 롤랑 바르트를 이렇게나 예찬하며 언급하다니. 호기심과 관심이 다시 생기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롤랑 바르트의 책을 다시 집었다. 처음 읽었던 때와 달리 낯선 거리에서 낯선 풍경을 구경하는 화자의 모습이 떠올랐고 신선함마저도 느껴졌다. 전혀 다른 책이 되어 있었다. 그 사이 어떤 일이 일어난 걸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