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나 사상적 차원에 있는 사람들이 논의에 참여하는 일은 거의 없다. 논의를 한다 하더라도 정치의 흡인력에 빨려 들어가서 아주 쉽게 또 하나의 정치꾼으로 전락하고 만다.


작가의 언행일치가 안된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찍이 작가란 그 시대의 산소며, 미래의 나침반이며, 예지자로서 하나의 정부 같은 존재라고 정의되어왔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작가의 순수한 노력이나 구상이 현실적으로 실현되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 아닌가 합니다. 작가의 생각은 순수하되 자못 이상적이고, 현실을 지배하고 장악하고 있는 국가권력들은 자기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변혁적인 구상이나 발언들을 거부하고 억압하는 법이니까요.

  거기다가 국가권력을 탄생시킨 주인인 국민들의 정치·사회 문제에 대한 고질적인 무신경, 무감각, 무관심이 합세하여 작가들이 제시하는 문제성이나 이상을 실현 불가능한 잠꼬대로 만들어버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안정을 초래하는 주된 힘은, 민간자본의 수익률 r이 장기간에 걸쳐 소득과 생산의 성장률 g를 크게 웃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r>g라는 부등식은 과거에 축적된 부가 생산과 임금보다 더 빨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등식은 근본적인 논리적 모순을 드러낸다. 기업가는 필연적으로 자본소득자가 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노동력밖에 가진 게 없는 이들에 대해 갈수록 더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자본은 한번 형성되면 생산 증가보다 더 빠르게 스스로를 재생산한다. 과거가 미래를 먹어치우는 것이다.
이것이 부의 분배의 장기적인 동학에 미치는 영향은 어쩌면 끔찍할 수있다. 자본수익률이 초기의 투자 규모에 따라 달라지며 부의 분배의 양극화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짐을 함께 생각하면 특히 그렇다.
이 문제는 거대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한 해법은 없다. 물론 교육, 지식,
청정에너지 기술에 투자함으로씨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어느 것도 성장률을 4~5피센트로 높여주지는 않을 것이다. 제2차 세게대전 이후 30년 동안 유럽이 그랬던 것처럼 선진국을 따라잡고 있는 나라들만 그와 같은 속도로 성징할 수 있음을 역사는 보여준다. 세계적인기술 경쟁에서 가장 앞선 나라들 그리고 결국에는 지구촌 전체의 성장률이 어떤 경제정책을 선택하더라도 장기적으로 1~1.5퍼센트를 넘지 못할 것이라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평균 자본수익률이 4~5퍼센트에 이르므로 제1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역사적으로 계속 그랬던 것치럼 21세기에 다시 r>g가 일반적인 상황이 될가능성이 크다. 20세기에는 두 차례의 세계대전이 과거를 지워버리고 자본수익률을 크게 낮췄으며, 그 때문에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r>g)이 극복되었다는 환상이 생겨났다.
물론 민간의 자본수익률을 성장률 이하로 낮추기 위해 자본소득에 대해 충분히 무거운 세금을 물릴 수도 있다. 그러나 무차별적이고 가혹하게 세금을 물리면 자본축적의 동력이 죽고 그에 따라 성장률도 더 낮아질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새로운 기업가들이 나오지 않을 터이므로 기존 기업가들이 더 이상 자본소득자로 바뀔 기회도 없을 것이다.
올바른 해법은 매년 부과하는 누진적인 자본세다. 이는 초기 단계에 새로운 자본축적을 촉진하기 위한 경쟁과 유인을 유지하면서도 끊임없는 불평등의 악순환을 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앞서 나는 예컨대 재산이 100만 유로 미만일 때 0.1 또는 0.5퍼센트, 100만~500만 유로일 때 1퍼센트,
500만~1000만 유로일 때 2퍼센트, 몇억 유로일 때는 5퍼센트 또는 10퍼센트까지 자본세를 물리는 세율 세계를 논의했다. 이는 세계적인 부의 불평등이 무한히 커지지 않도록 억제할 것이다. 이 불평등은 지금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힘든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심지어 자율적인 시장에 대한 가장 열렬한 옹호자들에게도 걱정스러운 일일 것이다. 더욱이 역사적 경험은 이 같은 부의 거대한 불평등이 기업가 정신과는 거의 관련이 없으며 성장을 촉진하는 데 쓸모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불평등은 또한 내가 이 책 첫머리에 소개한 1789년 프랑스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의 멋진 표현을 빌리자면 어떤 ‘공익‘과도 관련이 없다.
- P6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1세기의 세계화된 세습자본주의를 통제하려면, 20세기의 재정국가와 사회적 국가 모델을 재고하여 오늘날의 실정에 맞게 조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분명 지난 세기의 사회 민주주의적 제도와 재정적 자유주의적 프로그램을 적절히 보완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이미 앞선 두 장에서 살펴봤듯이, 우리가 주목한 것은 20세기에 창안되었지만 미래에도 틀림없이 핵심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해야만 할 사회적 국가와 누진적 소득세라는 두 가지 기본 제도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현 세기의 세계화된 금융자본주의를 다시 통제하려면,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개발해야만 할 것이다. 여기서 이상적인 수단은 매우 높은 수준의 국제적 금융 투명성과 결부된 누진적인 글로벌 자본세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세금은 끝없는 불평등의 악순환을 피하고 세계적인 자본집중의 우려스러운 동학을 통제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어떤 정책수단과 규제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든지 간에 이러한 이상에 견주어 평가해야 할 것이다.  - P617

정부가 국가재정을 마련하는 주된 방식은 세금과 부채 두 가지다. 일반적으로 공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부채보다 과세가 훨씬 더 바람직하다. 부채는 상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채권을 통한 자금 조달은 정부에 빌려줄 자산이 있는 사람들에게만 이익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공익적 관점에서는 부자들에게 자금을 빌리는 것보다 부자들에게 과세를 하는 것이 보통 더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고 나쁜 여러 이유로 인해 정부는 때때로 부채를 지고 (이전 정권 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면) 부채를 쌓는 수단에 의지한다. 물론 지금 세계의 부유한 국가들은 외견상 끝없는 부채위기에 휘말려 있다. 제2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사적으로 분명히 공공부채가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을 때가 있었다. 특히 영국은 공공부채가 국민소득의 2배가 넘은 적이 두 번이나 있었는데, 첫 번째는 나폴레옹 전쟁의 종건 시점이었고 다음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였다. 부유한 국가들은아직도 평균적으로 약 1년 치 국민소득(혹은 GDP의 90퍼센트)에 해당되는 공공부채를 떠안고 있는데, 선진국의 이러한 부채 수준은 1945년 이래전례가 없는 일이다. 신흥경제국들은 소득과 자본 측면에서 부유한 국가보다 더 빈곤하긴 하지만 공공부채는 훨씬 더 적다(평균 GDP의 30퍼센트 정도). 이는 공공부채 문제가 부의 분배, 특히 공공부분과 민간부문 사이의 문제이지 절대적인 부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준다. 부유한 국가는 부유하지만, 부유한 국가의 정부는 가난하다. 유럽이 가장 극단적인 사례다. 유럽은 세계 최고 수준의 민간부문의 부를 가진 동시에 공공부채의 위기를 해결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참으로 역설적이다. - P6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년의 금융위기가 대공황만큼 심각한 붕괴를 초래하지 않은 중요한 이유는 부유한 국가들의 정부와 중앙은행이 금융시스템의 붕괴를 허용하지 않았고 1930년대에 전 세계를 대혼란의 나락에 빠뜨렸던 은행의 줄도산을 막기 위해 필수적인 유동성 공급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1929년 주가 대폭락 이후 거의 모든 곳에서 횡행한 "청산주의자"의 통설과는 상반된 이러한 실용주의적 통화정책과 금융정책은 최악의 상황을 피하도록 해주었다.(1929년 후버 미 대통령은 휘청거리는 기업은 청산해야만 한다고 생각했고, 1933년 루스벨트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까지는 실제로 그렇게 청산이 진행되었다.) 이번 금융위기에 대응했던 실용주의적 개입 정책은 또한 중앙은행이 가만히 앉아 손가락을 까닥거리며 인플레이션만 억제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전 세계에 상기시켜주었다. 총체적인 금융공황 상태에서는 정부와 중앙은행이 긴급 자금을 공급하는 최종대부자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사실상 이 두 기관은 비상시에 경제 및 사회체제의 총체적 붕괴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공공기관이다. 물론 이 말은 중앙은행이 전 세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채택된 실용주의적 정책으로 최악의 상황을 피한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 정책은 사실 극심한 금융 투명성의 부족과 불평등의 심화를 포함해,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영속성 있는 대응책을 제공해주지는 않는다. 2008년 세계 경제위기는 21세기의 세계화된 세습자본주의 최초의 위기다. 그리고 마지막 위기도 아닐 것이다. - P5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